'LK-99' 논문 저자 권영완 교수 "LK-99 여전히 초전도체라고 믿는다"
고려대 조사 결과…LK-99 논문 등재 연구윤리 위반 아냐
LK-99 재현 실패 두고는 "짧은 시간이라 충분히 검토 안된 듯"
퀀텀에너지연구소 및 한양대 연구진이 공개한 상온 초전도체 'LK-99'. (사진=김현탁 교수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권 교수는 11일 서울 성북구 고려대학교 R&D센터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LK-99라는 물질이 여전히 초전도체라고 믿고 있느냐"는 질문에 "그렇게 믿고 있다"고 답했다.
이날 간담회는 고려대 연구진실성위원회가 LK-99 관련 연구 부정 의혹을 조사한 결과 권 교수의 아카이브 논문 등재가 부정행위에 해당하지 않는다는 결론을 내리면서 개최됐다.
권 교수는 지난 7월22일 논문 사전공개사이트 '아카이브'에 등재된 LK-99 제조법 관련 논문에 공동저자로 이름을 올린 이다. 해당 논문에는 권 교수와 함께 이석배 퀀텀에너지연구소 대표, 김지훈 연구소장이 논문 저자로 등재됐다.
권 교수의 아카이브 등재 직후 김현탁 윌리엄앤메리대 연구교수는 이석배·김지훈·김현탁·오근호·임성연·안수민 등 6명이 저자로 등재된 같은 내용의 논문을 공개했다. 이를 두고 김 교수는 권 교수가 다른 저자 동의 없이 논문을 무단 공개하는 연구부정 행위 등을 저질렀다고 고려대 연구진실성위원회에 제보했다.
하지만 연구진실성위원회는 권 교수의 저자 자격에 대한 이해 부족과 학술지 투고 규정의 불명료성 등에 의해 나타난 일인 만큼 권 교수가 연구부정 행위를 저질렀다고 볼 객관적 증거나 정황이 확인되지 않았다고 판단했다. 다만 권 교수가 이석배 대표 등의 동의 없이 공동 저자로 명시한 것은 부적절한 만큼 재협의가 필요하다고 단서를 달았다.
LK-99 개발 핵심 관계자인 이석배 대표도 참고인 조사 과정에서 "연구를 하면서 연구윤리 부분에서 무단히 애를 쓰고 관련된 절차를 다 따랐다고 생각하나, 김현탁과 권영완 모두 욕심이 앞서 이번 사태가 발생한 것으로 생각하고 있다"고 진술했다.
[서울=뉴시스]권영완 고려대 연구교수가 11일 서울 성북구 고려대학교 R&D센터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상온 상압 초전도체 'LK-99'의 아카이브 사전 공개한 것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사진=윤현성 기자)
그는 "현재 파악된 바로는 국내에서 제가 논문에 제시한 (LK-99) 실현 방법을 사용한 것 같은데, 실제로 정확한 구조를 합성했는지는 알 수 없다"며 "제가 이석배 대표만 LK-99를 만들 수 있다고 얘기했다는데 그런 적 없고, 처음 발명한 김지훈 박사나 합성을 해낸 저도 당연히 만들어 낼 수 있다. 실험실 안에서 재현 실험을 충분히 했는데, 상용화를 염두에 두고 검증을 진행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다만 권 교수는 LK-99 재현 실험을 공개할 수 있냐는 질문에는 "지금은 준비하고 있어서 공개해드릴 수는 없다"고 선을 그었다.
또 권 교수는 서울대, 고려대, 성균관대, 경희대, 부산대, 포항공대(포스텍), 한국표준과학연구원(KRISS) 등 국내 학계가 구성한 'LK-99 검증위원회'가 상온 초전도체를 재현하지 못한 것에 대한 의견도 밝혔다.
이에 대해서는 "그 물질(LK-99)에 대한 정확한 화학식도 알려드렸고, 어떤 방식이나 원인으로 인해 초전도 현상이 나타나는지도 제가 논문에 썼는데 그 부분까지 충분히 확인을 해야 한다"며 "한두달 내에 그런 부분을 확인한다는 건 불가능한 일이다. 너무 짧은 기간이라 충분히 검토되지 않았다고 판단한다"고 말했다.
한편 LK-99를 둘러싼 상온 초전도체 논란은 지난 7월 아카이브에 LK-99 제조법이 담긴 논문이 등재되면서 국내외 과학계를 휩쓴 바 있다.
우리나라 뿐 아니라 미국, 중국, 유럽 등의 연구실에서 해당 제조법을 토대로 재현 실험에 나섰으나 모두 상온 초전도성 구현에 실패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현 시점에서는 과학계의 '해프닝'이었다는 반응이 지배적이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Copyright © NEWSIS.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