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故박종철 모친, 남영동 대공분실 인권의 장소되길 바라"

등록 2024.04.17 17:22:40수정 2024.04.17 18:36:53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박종철 열사 어머니 정차순 여사 별세

"민주유공자법 제정이 큰 염원이었다"

강동성심병원 장례식장에 빈소 마련

[부산=뉴시스] 하경민 기자 = 고 박종철 열사 어머니 정차순씨. 사진은 지난 2018년 7월28일 부산 부산진구 시민장례식장에 마련된 남편 박정기 씨의 빈소를 조문한 문무일 당시 검찰총장과 인사하는 모습. 2018.07.28. photo@newsis.com

[부산=뉴시스] 하경민 기자 = 고 박종철 열사 어머니 정차순씨. 사진은 지난 2018년 7월28일 부산 부산진구 시민장례식장에 마련된 남편 박정기 씨의 빈소를 조문한 문무일 당시 검찰총장과 인사하는 모습. 2018.07.28. [email protected]

[서울=뉴시스] 김남희 박선정 기자 = 1987년 6월 민주항쟁의 기폭제가 된 '박종철 고문치사 사건'의 고(故) 박종철 열사 어머니 정차순씨가 17일 별세했다. 향년 91세.

박종철기념사업회의 이현주 박종철센터 센터장은 이날 오후 서울 강동성심병원 장례식장에 마련된 빈소에서 취재진과 만나 "민주유공자법 제정이 아버님과 어머님의 큰 염원이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어머니의 마지막 염원은 남영동 대공분실이 인권의 장소가 되는 것이었다"며 "아들이 명예롭게 역사에 기록되는 게 민주유공자로 인정 받는 건데, 그런 부분에서 아쉬움이 굉장히 크셨을 것이라 생각해서 마음이 아프다"고 말했다.

정씨는 이날 오전 서울 강동구의 한 요양병원에서 노환으로 별세했다. 가족들은 정씨에게 지병은 없었지만 약 한 달 전 노환으로 위독했다가 반나절 만에 회복했다고 전했다. 정씨는 이틀 전 밤에 다시 위독해졌다 전날 회복했으나 끝내 숨을 거뒀다.

아들이자 박종철 열사의 형인 박종부씨는 "어머니는 강한 분이었다. 죽은 아들 이야기를 잘 안 하셨다"면서도 "제일 좋아하셨던 건 죽은 아들의 생일에 산소에 가서 비빔밥을 먹는 것이었다. 종철이 생일이 4월1일이었다"고 회상했다.

이어 "어머니가 돌아가셨으니 세대가 바뀌는 것 같다"며 "종철이도 아버지도 어머니도 모두를 위한 세상을 꿈꿨다. 3명 중 2명이 찬성할 때 찬성하지 않은 1명도 보듬어 주는 게 민주주의고 그게 잘 사는 세상"이라고 덧붙였다.

민주유공자 예우에 관한 법률안(민주유공자법)은 민주화 운동 사망자와 부상자 등을 민주화유공자로 인정하고 예우하는 것이 골자다.

[서울=뉴시스]김명원 기자 = 6월 항쟁 34주년을 맞은 10일 서울 용산구 옛 남영동 대공분실 509호에 박종철 열사의 추모 공간이 마련돼있다. 509호는 박종철 열사가 경찰 고문을 받다 숨진 조사실이다. (공동취재사진) 2021.06.10. photo@newsis.com

[서울=뉴시스]김명원 기자 = 6월 항쟁 34주년을 맞은 10일 서울 용산구 옛 남영동 대공분실 509호에 박종철 열사의 추모 공간이 마련돼있다. 509호는 박종철 열사가 경찰 고문을 받다 숨진 조사실이다. (공동취재사진) 2021.06.10. [email protected]

법이 통과되면 현행법상 민주화유공자로 인정받지 못한 박종철, 이한열 열사 등을 유공자로 인정할 수 있게 된다. 현재 여당 반대로 국회 법제사법위원회에서 계류 중이다.

정씨의 발인은 오는 19일 금요일 오전 8시이며 장지는 서울시립승화원 후 모란공원이다.

이날 빈소에는 우상호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정치인 중 가장 먼저 도착해 조문했다. 우 의원은 연세대학교 총학생회장 출신으로 고 이한열 열사의 동지인 대표적인 86 운동권 출신 정치인이다.

정당에서는 조국혁신당의 조화가 가장 먼저 도착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