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의료폐기물 23만t 육박…소각장 신설 주민 반대에 '난항'

등록 2024.05.19 12:58:58수정 2024.05.19 13:00:52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주사기·붕대 등 의료폐기물 대부분 소각 처리

[서울=뉴시스] 정병혁 기자 = 서울 은평구 서북병원에서 의료진이 의료폐기물을 정리하고 있다. 2022.03.30. jhope@newsis.com

[서울=뉴시스] 정병혁 기자 =  서울 은평구 서북병원에서 의료진이 의료폐기물을 정리하고 있다. 2022.03.30. [email protected]


[세종=뉴시스] 박영주 기자 = 의료폐기물 발생량이 23만t에 육박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 사회에서는 이를 처리할 소각장 신설이 추진되고 있지만, 지방자치단체와 지역주민들의 반대로 좀처럼 진척이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19일 환경부 등에 따르면 전국 환경폐기물 연간 발생량은 2022년 기준 22만9503t으로 조사됐다.

일반의료폐기물이 14만1123t으로 가장 많았으며 격리의료폐기물(3만522t), 혈액오염폐기물(1만8313t), 병리계폐기물(1만6088t), 조직물폐기물(9578t), 생물화학폐기물(7390t), 손상성폐기물(6464t)이 뒤따랐다.

의료폐기물은 병의원, 보건소, 의료 관계 연구소 등에서 배출하는 폐기물로서 탈지면·가제·붕대·주사기·주사침·체온계·시험관 등이 포함된다.

의료폐기물은 의료기관 자체적으로 처리하거나 외부 업체에 맡겨 위탁 처리하고 있다. 특히 위탁 처리하는 의료폐기물 중 22만3847t은 소각했고 나머지 26t만 재활용으로 처리됐다. 전체 의료 폐기물의 상당수가 소각으로 처리되는 셈이다.
[광주=뉴시스] 광주 북구 상시선별진료소 내 의료폐기물 통에 코로나19 자가 진단 키트가 담겨 있다. (사진=광주 북구 제공) 2022.03.24.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광주=뉴시스] 광주 북구 상시선별진료소 내 의료폐기물 통에 코로나19 자가 진단 키트가 담겨 있다. (사진=광주 북구 제공) 2022.03.24. [email protected] *재판매 및 DB 금지


연간 23만t에 육박하는 의료폐기물이 발생하지만, 이를 처리할 전국 소각장은 13곳에 불과하다. 소각장을 추가로 건립하려는 움직임은 있지만, 지자체와 지역 주민 반대로 이마저 쉽지 않은 상황이다.

경기 포천시는 의료폐기물 소각업체가 한강유역환경청에 소각시설 증설 등 내용을 담은 폐기물처리업 변경 허가 신청서를 접수했지만, 주민 반대 등에 부딪혀 업체가 자진 취소했다.

경기 안성시는 17년 전부터 업체가 계속 시도 중이지만 한강유역환경청에서 사업계획서 검토 단계에서 세 차례 반려 통보했다. 업체는 지난해 하반기 사업계획을 보완해 다시 신청했으며, 이 역시 한강유역환경청에서 사업계획을 보완 요청했다. 현재는 보완 사업계획서를 제출하고 한강유역환경청의 검토를 기다리는 중이다.

부산 기장면은 소각업체의 사업계획서가 낙동강유역환경청에 접수됐지만, 지자체 및 지역 주민 반대 등에 직면하고 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