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김 여사, 우울·불안 환자에 "삶의 위기 제게도 있었다"

등록 2024.06.26 19:04:41수정 2024.06.26 19:07:28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절 통해 정신질환 사회적 인식 개선되길"

김 여사, 세 번째 '정신건강' 간담회 진행

[서울=뉴시스] 최진석 기자 = 윤석열 대통령 부인 김건희 여사가 26일 서울 광진구 보건복지부 국립정신건강센터에서 정신건강정책 혁신위원 및 지원활동가 등과 함께한 '회복과 위로를 위한 대화'에서 서울 자살예방센터 자작나무 동료지원가의 발언을 경청하고 있다. (사진=대통령실 제공) 2024.06.26.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 최진석 기자 = 윤석열 대통령 부인 김건희 여사가 26일 서울 광진구 보건복지부 국립정신건강센터에서 정신건강정책 혁신위원 및 지원활동가 등과 함께한 '회복과 위로를 위한 대화'에서 서울 자살예방센터 자작나무 동료지원가의 발언을 경청하고 있다. (사진=대통령실 제공) 2024.06.26. [email protected]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 양소리 기자 = 윤석열 대통령의 부인인 김건희 여사는 우울·불안 등 정신질환 경험자과 자살 유가족 등에 "삶의 위기, 어려움이 저에게도 왔었다"며 "저를 통해 정신질환에 대한 인식 개선이 이뤄지길 바란다"고 말했다.

김 여사는 26일  서울 광진구 국립정신건강센터에서 정신질환 경험자, 자살 유가족, 정신건강 현장 근무자, 자살구조 경찰관 등 10여 명과 만났다.

그는 "누구에게나 인생을 살다보면 찾아오는 삶의 위기, 어려움이 저에게도 왔었고 그로 인해 저 역시 몇 년 동안 심하게 아팠었다"며 "깜깜한 밤하늘이 나를 향해 무너져내리는 듯한 불안감을 경험했었다"고 아픔을 공유했다.

김 여사는 "제가 고통스러웠던 과거를 이렇게 밝히는 것도 어려운 일이지만 저를 통해 정신질환에 대한 사회적 인식 개선이 이루어지길 바란다"고 했다.

이어 "정신적으로 어려운 분들께서 편견 없이 치료받을 수 있는 사회가 되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김 여사는 정신질환을 겪은 후 지원 쉼터에서 활동 중인 청년들의 이야기, 가족의 자살을 겪은 후 극복을 위한 노력, 정신질환 관련 입원비 부담 완화 등 애로 사항을 경청했다.
[서울=뉴시스] 최진석 기자 = 윤석열 대통령 부인 김건희 여사가 26일 서울 광진구 보건복지부 국립정신건강센터에서 정신건강정책 혁신위원 및 지원활동가 등과 함께한 '회복과 위로를 위한 대화'에서 후견신탁 연구센터 동료지원활동가의 말에 경청하고 있다. (사진=대통령실 제공) 2024.06.26.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 최진석 기자 = 윤석열 대통령 부인 김건희 여사가 26일 서울 광진구 보건복지부 국립정신건강센터에서 정신건강정책 혁신위원 및 지원활동가 등과 함께한 '회복과 위로를 위한 대화'에서 후견신탁 연구센터 동료지원활동가의 말에 경청하고 있다. (사진=대통령실 제공) 2024.06.26. [email protected] *재판매 및 DB 금지


김 여사는 다양한 이야기를 들은 뒤 대통령 배우자로서 역할을 떠나 비슷한 경험을 한 친구로 여러분 곁에 찾아가겠다고 약속했다.

참석자들은 당사자들의 깊은 얘기를 들어주시는 이런 자리가 마련됐음에 감사하다는 뜻을 전했다.

또 김 여사가 우리 사회의 정신건강 증진을 위해 노력하는 데에 감사를 표했다.

김 여사는 정신 건강 정책 등에 깊은 관심을 보이며 적극 참여하고 있다.

김 여사의 이번 간담회는 작년 8월 자살시도자 구조 경찰관들과의 간담회, 9월 마음 건강을 위한 대화에 이어 3번째로 열린 정신건강 관련 행사다.

당초 이 행사에는 윤석열 대통령이 동행하기로 돼 있었으나 참석자들의 편안한 대화를 위해 김 여사가 홀로 간담회를 진행하는 방식으로 변경됐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