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나는 물가, 뛰는 실업률…국민고통지수 7년 내 최고

등록 2022.07.05 11:39:57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한경연 국민고통지수 상승의 경제적효과 및 정책시사점

가계 어려움 커지며 소비 위축 우려…기업활력 제고 필요

나는 물가, 뛰는 실업률…국민고통지수 7년 내 최고


[서울=뉴시스] 이인준 기자 = 올해 1분기(1~3월) 국민고통지수가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국민고통지수는 소비자물가 상승률에 실업률을 더한 것이다. 미국 경제학자 오쿤(Arthur Okun)이 고안한 지수다. 고통지수가 높다는 것은 물가가 큰 폭 상승했거나 실업자가 늘어났다는 것을 의미하기 떄문에 그만큼 국민들이 체감하는 삶의 질이 낮아졌다고 해석할 수 있다.

5일 한국경제연구원(한경연)에 따르면 올해 1분기 국민고통지수는 10.6로, 관련 통계 작성 이래 최고치를 기록했다.

한경연이 확장실업률이 발표되기 시작한 2015년 1분기부터 2022년 1분기까지의 분기별 국민고통지수를 산출한 결과다. 일반적으로 국민고통지수는 소비자물가 상승률에 실업률을 더해서 구하는데, 한경연은 체감 실업률 지표로 많이 사용하는 '확장실업률'을 적용했다.

올해 1분기 국민고통지수는 분석 기간 평균치 7.7의 1.38배 수준이다.

국민고통지수는 분기별로 등락하며 2020년까지는 10을 밑돌았으나, 지난해 1분기 10.5로 치솟았다. 이후 같은 해 3분기 9.1로 낮아지다 4분기 9.8로 재차 상승세다.

물가상승률은 3.8%로 지난 2015년 1분기 이래 최고치다. 확장실업률도 코로나19 유행 직전인 2019년 4분기(10~12월) 5.7%보다도 높은 수준이다.

국제원자재 가격의 고공행진에 따른 소비자물가 급등으로 가계에 어려움이 큰 상황이다.

더구나 국민고통지수 상승은 민간 소비위축 등 국내경제에 부정적 영향을 초래한다.

한경연에 따르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국민고통지수 증가율이 1%p(포인트) 높아지면 민간소비증가율은 0.13%p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앞으로가 문제다. 현재는 생산자물가가 소비자물가에 비해 완만하게 상승해, 기업들이 국제원자재가격 급등에 따른 원가 부담의 일부를 자체 흡수하고 있다고 한경연은 판단했다.

다만 국제원자재가격 급등이 지속된다면, 기업들의 흡수 여력이 약해져 소비자물가도 생산자물가처럼 가파른 상승세를 보일 가능성이 크다고 덧붙였다.

추광호 한경연 경제정책실장은 "국민고통지수가 높아질 경우, 소비위축 등 경제 악영향으로 실업이 증가해 국민고통지수가 다시 높아지는 악순환에 빠져들 수 있다"며 "부족한 재정여력, 취약한 민간의 금융방어력 등으로 거시정책 운용의 한계가 존재하는 만큼, 기업의 활력제고를 통한 경제의 총공급능력 확충으로 물가를 안정시키고 양질의 일자리를 보다 많이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