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제3자 변제안...여 “이재명 감싸려 반일몰이” 야 “계묘늑약 최악의 외교 패착”

등록 2023.03.07 22:00:00수정 2023.03.07 22:01:45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여당 "정부 결단으로 꽉 막혔던 한일 관계가 복원되고 있어"

야당 "尹정권 역사의 정의를 저버리고 일본에 머리 조아려"

[서울=뉴시스] 이영환 기자 = 주호영 국민의힘 원내대표가 7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원내대책회의에서 발언을 하고 있다. 2023.03.07. 20hwan@newsis.com

[서울=뉴시스] 이영환 기자 = 주호영 국민의힘 원내대표가 7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원내대책회의에서 발언을 하고 있다. 2023.03.07. [email protected]

[서울=뉴시스] 이재우 기자 = 국민의힘과 더불어민주당은 7일 정부의 일제 강제징용 피해자 제3자 변제안을 두고 공방을 이어갔다. 국민의힘은 이재명 민주당 대표를 감싸기 위한 반일몰이라고 반발했고 민주당은 최악의 외교 패착이라고 공격했다.

양금희 국민의힘 수석대변인은 이날 논평을 내어 민주당이 정부의 일제 강제징용 피해자 제3자 변제안을 비판하는 것에 대해 "이재명 대표를 감싸기 위해 공격의 화살을 정부로 돌리는데 혈안이 돼있다"고 비판했다.

그는 "민주당은 정부의 공식 발표 이전부터 극단적으로 비판하더니, 오늘은 비상시국선언을 한다며 대표가 나서 참여를 독려하고 있다"며 "파란 풍선을 쥐고 재명수호를 외치게 했던 그 자리로 반일을 선동해 사람들을 불러들이고 있다"고 말했다.

양 수석대변인은 "민주당 집권 시절처럼 실질적으로 의지도 성과도 없으면서 고령의 피해자에게 희망고문을 주는 비겁함이 맞냐"며 "일본의 수출규제에도 그저 당하기만 했고 외교는 사실상 파업상태였음을 벌써 잊었냐"고 반문했다.

그는 "대통령이 자신의 인기만을 생각한다면 친일로 비판받을 일에는 눈감고 반일을 노래하면 될 일"이라며 "어떤 대통령이라도 친일이니 매국이니 날아올 화살을 피하지 않고, 대한민국 역사를 앞으로 담대하게 전진시키는 일을 해야한다"고 했다.

양 수석대변인은 "오늘 일본 기업들이 우리 정부 산하의 피해자 지원 재단에 참여할 가능성이 크다는 보도가 있었다"며 "우리 정부의 결단으로 피해자 지원에 대한 논의가 시작되고 꽉 막혔던 한일 관계가 복원되고 있는 것"이라고 했다.

그는 "민주당은 비상시국 운운하며 당내 위기를 반일몰이로 극복하고자 하는 생각일랑 접고 개딸들에 포위 당한 당이나 비상한 각오로 수습하라"며 "일본을 향해 호응을 촉구하기는커녕 반일몰이에 혈안인 민주당이 개탄스럽다"고 꼬집었다.

김미애 원내대변인도 논평에서 "이제 민주당식 손쉬운 죽창가 정치, 국민 선동 정치가 그 어떤 문제도 해결하지 못한다는 것을 국민께서는 안다"고 했다.

김 원내대변인은 "지난 문재인 정권과 당시 집권 여당 민주당은 일본 기업의 배상 책임을 명시한 2018년 대법원판결 이후에도 해법 마련에는 손을 놓았다"며 "오히려 이를 반일 선동의 호재로 이용하는 무책임한 태도로 일관했다"고 지적했다.

그는 "문재인 정권 당시 역대 최악의 한일 관계가 이를 증명한다"며 "그런데 반일 선동에 군침을 흘리며 표만 계산하는 민주당이 이제는 제2의 경술국치, 삼전도 굴욕 운운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반면 민주당은 같은날 정부의 일제 강제징용 제3자 배상안과 관련 "역사는 윤석열 정부를 매국, 위헌, 친일의 길로 간 정부라고 기록할 것"이라며 "국가 자존심을 짓밟고 피해자 상처를 두 번 헤집는 '계묘늑약'"이라고 비판을 쏟아냈다.

이재명 당 대표는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평화·안보대책위원회 제4차 전체회의에 참석해 "일본 전쟁범죄에 면죄부를 주는 최악의 외교적 패착이자 국치"라며 "국가 자존심을 짓밟고 피해자 상처를 두 번 헤집는 '계묘늑약'과 진배없다"고 강도 높게 비판했다.

그는 "윤석열 정권이 역사의 정의를 저버리고 일본에 머리를 조아렸다"며 "새 사죄를 받는 게 능사가 아니라고 하는데, 대한민국 정부인지 의문이 간다"고 지적했다.

[안양=뉴시스] 김종택 기자 =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7일 오후 경기도 안양시 만안구 한 사우나에서 열린 소상공인 에너지 지원법 관련 현장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2023.03.07. jtk@newsis.com

[안양=뉴시스] 김종택 기자 =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7일 오후 경기도 안양시 만안구 한 사우나에서 열린 소상공인 에너지 지원법 관련 현장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2023.03.07. [email protected]

이어 "수십 년간 투쟁한 피해자가 원하는 건 일본의 진정한 사죄와 배상"이라며 "가해자의 사과도 없이 피해자가 피해자에게 배상하는 건 불의이고 비상식"이라고 꼬집었다.

아울러 "(정부는) 소위 말하는 '다케시마의 날'에 동해상에서 한미일 군사훈련을 강행하고, 미국과 일본이 훈련 후에 동해를 일본해라 표기해도 항의조차 제대로 못 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북한 도발에 대한 대비는 당연히 필요하다"면서도 "일본의 재무장을 무비판적으로 용인하고 미국과 일본의 봉쇄정책 아바타를 자처하는 건 또 다른 문제다. 자칫 대한민국이 미일 동맹의 하위 파트너, 일본의 발밑으로 들어가는 거나 마찬가지가 될 수 있기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또 "윤석열 대통령은 일본을 공통의 가치를 공유하는 파트너라고 했다"며 "일본이 지금처럼 과거 침략전쟁을 반성하지 않는다면 평화와 인권이라는 보편적 가치를 과연 공유한다고 말할 수 있겠나. 정부는 굴욕적 강제동원 해법을 즉각 철회하고 피해자에 사죄해야 마땅하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피해자가 동의하지 않고 국민이 납득하지 않는다면 어떤 미사여구를 동원해도 굴종이고 치욕이다. 국민과 역사를 두려워해야 한다"고 밝혔다.

그는 회의가 끝나고 나오는 길에 취재진에게 "(정부 3자 배상안이) 과거 위안부 부당합의와 비슷한 경로가 아닌가 생각이 든다"며 "앞으로 한일 관계가 종속 관계로 전환되는 하나의 계기가 되지 않을까 걱정된다"고 말했다.

대책위 위원장인 이인영 의원은 이날 "(제3자 변제안이) 해법이라는 (정부의) 주장은 한마디로 궤변이고 제2차 경술국치, 을사늑약이라는 표현이 더 정확할 것 같다"며 "역사는 윤석열 정부를 매국, 위헌, 친일의 길로 간 정부라고 기록할 것"이라고 일갈했다.

이 의원은 "윤석열 정부가 강제동원의 불법성을 적시하고 전범 기업이 배상하게 한 대법원판결을 무력화하고 파괴했다. 한마디로 헌법 질서를 유린한 것"이라며 "일본 식민 지배가 합법이라고 주장하는 게 아니라면 주권 국가로서 절대 있을 수 없는 일"이라고 주장했다.

아울러 "나라 팔아먹은 제1차 매국에 이어 역사 팔아먹은 제2차 매국이나 마찬가지라는 비판을 똑똑히 듣기 바란다"며 "신(新) 친일의 길로 가는 정부라고 불러도 과언이 아닐 것 같다"고 말했다.

고민정 최고위원은 이날 "강제동원 피해자는 식민지 시대였던 그때나 지금이나 나를 지켜주는 국가가 없다고 생각할 것 같다"며 "지금도 일본이 강제로 용서를 강요하는 상황에서도 국가가 붙잡아주지 않고 있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아울러 "산업통상자원부는 일본 수출 규제가 풀리기도 전에 WTO(세계무역기구) 제소 중단을 발표했다"며 "오늘의 대한민국과 강제동원 피해자들에겐 국민을 보호하고 지켜주는 국가도 대통령도 없어 보인다"고 덧붙였다.
[서울=뉴시스] 정병혁 기자 = 6일 오후 서울 용산구 용산역광장에 세워진 강제징용노동자상 앞에서 한 시민이 사진을 찍고 있다. 정부는 이날 일제 강제징용 해법과 관련해 행정안전부 산하 '일제강제동원피해자지원재단'이 강제지용 피해자인 원고에 판결금 및 지연 이자를 지급할 것이라고 밝혔다. 재단의 재원은 민간의 자발적 기여 등을 통해 마련하기로 했다. 2023.03.06. jhope@newsis.com

[서울=뉴시스] 정병혁 기자 = 6일 오후 서울 용산구 용산역광장에 세워진 강제징용노동자상 앞에서 한 시민이 사진을 찍고 있다. 정부는 이날 일제 강제징용 해법과 관련해 행정안전부 산하 '일제강제동원피해자지원재단'이 강제지용 피해자인 원고에 판결금 및 지연 이자를 지급할 것이라고 밝혔다. 재단의 재원은 민간의 자발적 기여 등을 통해 마련하기로 했다.
 2023.03.06. [email protected]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