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대통령실 "윤, 이태원 참사 의혹 전부 조사 지시…김진표 왜곡 개탄"

등록 2024.06.27 18:23:15수정 2024.06.27 20:42:52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윤, '차선 열지않은 것 이해안돼' 입장 밝혀와"

"119신고 다 공개…이태원특별법 과감히 수용"

[서울=뉴시스] 조수정 기자 = 윤석열 대통령과 김진표 전 국회의장. (대통령실통신사진기자단) 2024.03.31. chocrystal@newsis.com

[서울=뉴시스] 조수정 기자 = 윤석열 대통령과 김진표 전 국회의장. (대통령실통신사진기자단) 2024.03.31. [email protected]


[서울=뉴시스] 김승민 기자 = 대통령실은 27일 윤석열 대통령이 '이태원 참사 조작 가능성'을 언급했다는 김진표 전 국회의장 회고록 논란에 대해 "대통령은 당시 참사 수습 및 예방을 위한 관계 기관 회의가 열릴 때마다 언론에서 제기된 다양한 의혹을 전부 조사하라고 지시한 바 있다"고 반박했다.

대통령실 이날 오후 대변인실 명의의 입장문을 내고 김 전 의장의 회고록 논란에 유감을 표명했다.

대통령실은 "국회의장을 지내신 분이 국가조찬기도회에서 대통령에게 독대를 요청해 나누었던 이야기를 멋대로 왜곡해서 세상에 알리는 것은 개탄스러운 일"이라고 했다.

이어 윤 대통령은 참사 직후 제기됐던 다양한 의혹을 모두 조사하라고 지시했었다고 강조했다.

대통령실은 "대통령은 특히, 차선 한 개만 개방해도 인도의 인파 압력이 떨어져서 사고를 막을 수 있었는데도 차선을 열지 않은 것이 이해되지 않는다는 입장을 밝혀왔다"며 "사고 당일 민주노총의 광화문 시위 때에도 차선을 열어 인파를 관리했었다"고 설명했다.

대통령실은 그러면서 "대통령은 사고 당시 119 신고 내용까지 다 공개하도록 지시한 바 있으며, 최근에는 이태원특별법을 과감하게 수용했다"고 덧붙였다.

김 전 의장은 회고록 '대한민국은 무엇을 축적해왔는가'에서 이태원 참사 1개월여 뒤인 2022년 12월5일 국가조찬기도회에서 윤 대통령과 나눈 대화를 기술했다.

김 전 의장은 당시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이 정치적 책임을 지고 사의를 표하는 것이 옳다'고 말했다며 "윤 대통령은 내 말이 다 맞으나, 자신이 이태원 참사에 관해 지금 강하게 의심이 가는 게 있어 아무래도 결정을 못 하겠다고 말했다"고 적었다.

그러면서 "내가 그게 무엇인지 물었더니, 자신은 이 사고가 특정 세력에 의해 유도되고 조작된 사건일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는 것이었다. 그럴 경우 이 장관을 물러나게 한다면 그것은 억울한 일이라는 얘기를 이어갔다"고 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