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화성 화재' 외양간 고치기 나선 정부…배터리 제조업체 합동 점검(종합)

등록 2024.06.28 13:37:08수정 2024.06.28 15:20:51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한화진 환경부 장관, 국회 환노위 참석

"화성 공장화재, 유해물질 모니터링 중"

"아직까지 검출되진 않아…지속 실시"

"완제품, 재활용 등 관리 방안 등 개선"

[서울=뉴시스] 조성봉 기자= 한화진 환경부 장관과 이정식 고용노동부 장관이 28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환경노동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증인 선서를 하고 있다. 2024.06.28. suncho21@newsis.com

[서울=뉴시스] 조성봉 기자= 한화진 환경부 장관과 이정식 고용노동부 장관이 28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환경노동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증인 선서를 하고 있다. 2024.06.28. [email protected]


[서울=뉴시스] 구무서 성소의 기자 = 정부가 화성 리튬 배터리 공장 화재를 계기로 국내 배터리 제조업체들을 점검해 재발 방지대책을 마련하겠다고 28일 밝혔다.

한화진 환경부 장관은 이날 오전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전체회의에 참석해 "화성 아리셀 공장 화재로 안타까운 인명사고가 발생했다. 돌아가신 분들의 명복을 빌며 유가족 여러분께 심심한 위로 말씀을 드린다"고 말했다.

이어 "환경부는 유관기관과 함께 사고 대응에 적극 협력하고 있다"며 "유해화학물질 유출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주변 지역 대기오염 농도 모니터링을 지속 수행 중이며 상황 종료 시까지 철저히 모니터링하겠다"고 밝혔다.

또 업무보고를 통해 유해 화학물질 취급 사업장의 안전점검도 강화하겠다고 했다.

그는 "유해화학물질 취급 사업장이 안전관리 기준을 충실히 준수했는지, 방재 소화 설비를 적절히 구비했는지 등 안전점검을 강화하겠다"며 "취약 업종·중소기업의 설비 개선과 컨설팅을 지원해서 화학사고 예방에 만전을 기하겠다"고 말했다.

손옥주 환경부 기획조정실장은 "이번 사고는 배터리 완제품 사고로 추정되나, 제조업체는 다수의 유해화학물질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화학사고 발생 우려가 있다"고 말했다.

이어 "국내 배터리 제조업체 중심으로 관계부처 합동 점검을 추진하는 중"이라며 "전지 등 화학 방지대책 태스크포스(TF)을 통해 재발방지 대책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이번 화성 리튬 배터리 공장 화재로 인한 유해 화학물질 유출 우려에 대해서는 계속 모니터링 중이라며 현재까지는 검출되지 않았다고 했다.

손 실장은 "해당 사업장에 취급하는 유해 화학물질과 리튬배터리 연소 과정에서 발생할 우려가 있는 불화수소 등이 주변 지역에서 검출되는지 모니터링을 지속 추진하고 있다"며 "측정 결과 검출되지 않거나 기준치 미만임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또 "화재 현장에서 사용된 소화용수 유출 방지를 위해 인근 하천인 구름천 합류지점 전에 방재선 구축을 했고 하천 유입을 검사한 결과 특이사항이 없었다"며 "화재사고가 발생한 3동 1층 제조시설에서 폐전해액과 잔류전해액이 확인돼서 지정폐기물 처리작업을 완료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상황 종료 시까지 주변 지역 오염물질 모니터링을 지속하고 검경 등 사고원인 조사에 적극 협조하겠다"고 덧붙였다.

한 장관은 위험물질이 포함된 완제품 관리 방안에 대해 "물질 자체의 위해성뿐만 아니라 제품에 물질이 들어갔을 경우 어떻게 안전관리를 할 수 있을지에 대한 부분에 대해 더 꼼꼼하게 살펴보겠다"고 말했다.

또 "폐배터리 운반, 보관, 재활용 전반에 대한 안전관리 기준을 개선하고 보완을 적극 검토하겠다"고 덧붙였다.

이병화 환경부 차관은 군부대에서 다수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진 일차전지 관련 사고에 대해 "현장에서 계속 화재가 나서 환경부에서 관리지침 가이드라인을 군부대에 통보했다"며 "대대 이하 부대는 여전히 부적정 보관되고 있고 방치될 우려가 있어서 국방부와 협업을 강화해 전수조사를 하겠다"고 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