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생보사, '고령층 특화 플랫폼' 회사로 변화 필요"

등록 2024.07.24 12:00:00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수원=뉴시스] 김종택 기자 = 초복을 엿새 앞둔 9일 경기도 수원시 권선구 평동행정복지센터에서 새마을 부녀회 회원들이 관내 홀몸노인 등 소외계층에 전달할 삼계탕을 만들어 용기에 담고 있다. 2024.07.09. jtk@newsis.com

[수원=뉴시스] 김종택 기자 = 초복을 엿새 앞둔 9일 경기도 수원시 권선구 평동행정복지센터에서 새마을 부녀회 회원들이 관내 홀몸노인 등 소외계층에 전달할 삼계탕을 만들어 용기에 담고 있다. 2024.07.09. [email protected]

[서울=뉴시스] 남정현 기자 = 생명보험사가 인구구조의 변화로 인해 구조적인 어려움을 겪고 있는 가운데 경쟁력 있는 새 사업으로 '고령층 특화 플랫폼 사업'을 추진해 볼 수 있다는 제언했다.

보험연구원 임준  연구위원은 24일 '생명보험회사의 고령화 대응 전략'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베이비붐 1세대(1955년~1964년 출생)와 2세대(1965년~1974년 출생)가 모두 60세 이상이 되는 2035년에는 60세 이상 인구수가 거의 2000만명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이 같은 수치는 30~50대의 인구수를 합한 규모와 거의 비슷해 숫자 측면에서만 본다면 두 인구 그룹이 거의 유사한 시장 규모를 갖게 된다.

이같은 인구구조의 고령화로 인해 생명보험사는 비즈니스 모델 측면에서 구조적 어려움에 직면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동안 생명보험사의 비즈니스 모델은 소비자가 젊었을 때 납부한 보험료를 채권 등 안전자산 투자를 통해 운용한 후 그들이 나이가 들었을 때 보험금을 지급하는 방식으로 운영됐다.

따라서 젊은 층이 감소하고 고령층이 증가하게 되면 생명보험사는 지속적인 성장이 어려울 수 있다.

임 연구위원은 고령화에 대응하기 위한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의 대안 가운데 하나로 '고령층 특화 플랫폼 사업자 모델'을 제안했다.

생명보험사가 단순히 생명보험상품만을 판매하는 것을 넘어 장기적으로 고령층의 다양한 수요를 충족시켜 줄 수 있는 고령층의 삶에 관한 사업자로 발전하는 것이다.

고령층과 관련된 후보 사업군으로는 ▲보험(질병과 상해 위험 등 보장) ▲돌봄서비스(노인 요양, 실버타운 등) ▲노후 자산관리(주택연금, 신탁 등) ▲웰빙 관련 사업(건강, 여행, 교육 등) 등을 꼽았다.

임 연구위원은 "개별 사업의 경우 직접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고, 다른 사업자와의 제휴를 통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식을 선택할 수도 있다. 개별 회사 상황 및 서비스 특성에 따라 적절한 사업방식을 선택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또 고령층 특화 브랜드 구축을 위해서는 별도의 자회사를 설립해 고령층 관련 사업을 추진하는 것이 더 적절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현재는 은퇴자들이 은퇴 이후에 어떤 기관을 가장 먼저 접촉해야 할지 그 대상이 잘 떠오르지 않는데 고령층 마케팅을 위해 은퇴 이후 가장 먼저 떠오를 수 있는 브랜드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다.

고령층 특화 브랜드 구축을 위해 단기적으로는 장기요양서비스와 실버타운 관련 자회사를 설립하고 이후 점차적으로 사업 범위를 확대하는 방안을 생각해 볼 수 있다는 것이다.

임 연구위원은 "고령층에게 양질의 서비스와 신뢰감을 제공하기 위해 법, 세무, 부동산, 자산관리, 건강, 여행, 교육 등 고령층과 관련된 다양한 이슈에 자문해 줄 수 있는 고령층 특화 전문 인력을 조직 내 보강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고령층과 관련된 교육 과정을 이수하게 되면 고령층 특화 설계사 자격증을 부여하는 인증제도 도입도 고령층 고객의 신뢰도 제고 방안의 하나로 검토해 볼 것을 제안한다"고 덧붙였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