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뷰노, 2분기 영업손실 31억…전년比 적자폭 감소

등록 2024.08.14 09:16:38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매출 64억원…전년동기比 113% 증가

필수의료 뷰노메드 딥카스 성장 지속

[서울=뉴시스] 14일 의료 인공지능(AI) 기업 뷰노는 올해 2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약 64억원과 영업손실 31억 4000만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사진=뷰노 제공) 2024.08.14.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 14일 의료 인공지능(AI) 기업 뷰노는 올해 2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약 64억원과 영업손실 31억 4000만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사진=뷰노 제공) 2024.08.14. [email protected]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송종호 기자 = 의료 인공지능(AI) 기업 뷰노는 올해 2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약 64억원과 영업손실 31억 4000만원을 기록했다고 14일 밝혔다.

매출은 전년동기 30억 1000만원 대비 약 113% 증가한 수치이며 지난 분기 55억 4000만원보다 약 15% 증가한 기록이다. 뷰노는 2023년 1분기 이후 여섯 분기 연속 매출 증가세를 이어가고 있다. 올해 상반기 누적 기준 매출은 약 120억원으로 전년 연간 매출 133억원에 육박한다.

또한 해외 임상 및 연구개발 등 미국 시장 진입을 위한 비용 투자가 있었음에도 전분기 대비 영업손실 규모를 줄였다. 올해 2분기 영업손실 약 31억 4000만원은 전년동기 약 57억 8000만원 대비 약 46% 적자 폭이 감소했으며 지난 분기 38억 6000만원보다도 약 19% 줄었다.

뷰노는 "주력 제품인 AI 기반 심정지 발생 위험 감시 의료기기 뷰노메드 딥카스가 의료 현장에서 필수의료로 자리매김하며 꾸준한 성장을 이끌고 있다"고 설명했다. 현재 뷰노메드 딥카스™를 청구하고 있는 병원은 상급종합병원 17곳을 포함해 총 95곳이다. 전체 청구 병상 수도 4만개에 달한다.

뷰노에 따르면 해당 제품의 2분기 매출은 약 54억 8000만원으로, 뷰노의 지난 1분기 전체 매출과 유사한 수준이며 단일 제품 기준 국내 의료 AI 업계 최고 수준의 매출 기록이다.

뷰노는 올해 하반기 미국 진출 성과를 본격화할 예정이다. 최근 현지 공식 런칭한 AI 기반 뇌 정량화 의료기기 뷰노메드 딥브레인의 원활한 시장 진입을 위해 주요 이해관계자(KOL)와의 접점을 늘리고 영업망 구축에 주력할 계획이다. 또 뇌 MRI 정량화 기술에 수요가 있는 기업과의 파트너십 논의도 지속 추진할 예정이다.

또한 국내 의료 AI 업계 최초 미국 FDA 혁신의료기기로 지정된 뷰노메드 딥카스를 포함해 AI 기반 흉부엑스레이( X-ray) 판독 보조 솔루션 뷰노메드 체스트 엑스레이도 연내 FDA 인허가 획득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외에도 일본에서 파트너사와 함께 의료 현장에 확산되고 있는 AI 기반 흉부 컴퓨터단층촬영(CT) 판독 보조 솔루션 뷰노메드 흉부 CT AI의 현지 영업에 속도를 낼 계획이다. B2C(기업-소비자) 형태로 사업을 전개하고 있는 만성질환 관리 브랜드 하티브의 영업 및 마케팅을 강화하는 한편, 올해 연이어 식품의약품안전처 허가를 획득한 AI 기반 급성심근경색 및 심부전 선별 소프트웨어를 가정용 심전도 측정 의료기기 하티브 P30과 연동하는 작업도 지속 추진할 방침이다.

김준홍 뷰노 최고재무책임자(CFO)는 "뷰노메드 딥카스의 견조한 성장세가 돋보이는 가운데 여섯 분기 연속 매출 증가를 기록하며 올해 하반기 분기 기준 손익분기점(BEP) 달성 가능성을 높였다"라며 "이와 같은 흐름이라면 3분기에는 매출 증가세를 지속하면서 영업손실 규모를 더 줄이고, 4분기에는 분기 BEP 달성이 충분히 가능할 전망이다"라고 말했다.

이어 "올해 연간 매출은 최소 전년 대비 2배 이상 달성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되며, 연내 뷰노메드 딥카스의 미국 FDA 승인 등 기존 목표에도 차질이 없다는 점에서 내년에는 해외 매출 증대를 포함한 양적∙질적인 성장으로 최종 연간 흑자 달성을 해낼 계획이다"라고 덧붙였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