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韓 신재생 에너지 발전 15년 뒤처져"…잇딴 경고음

등록 2024.08.16 10:36:17수정 2024.08.16 15:16:17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작년 신재생에너지 발전 비중 9.6%…OECD평균 33.5% 미달

美빅테크, EU 車 등 고객사 신재생 전력 사용 여부에 민감

"韓 반도체 산업, 향후 온실가스 저감 압박에 봉착할 가능성"

"韓 신재생 에너지 발전 15년 뒤처져"…잇딴 경고음


[서울=뉴시스]이인준 기자 = 한국의 신재생 에너지 발전 수준이 세계 주요 국가 대비 15년 이상 뒤처졌다는 분석이 제기됐다.

16일 미국 에너지경제·재무분석연구소가 최근 발간한 '글로벌 재생에너지 전환을 놓칠 위험에 처한 한국 경제'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한국의 신재생에너지 발전은 전체 전력 믹스의 9.64%에 불과했다.

이는 전 세계 평균인 30.25%,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 33.49%는 물론 아시아 평균 26.73%를 크게 밑도는 수준이다. 한국이 '재생에너지 30%' 이미 달성한 전 세계 국가들에 비해 15년이나 뒤처졌다는 게 보고서의 진단이다.

반면 화석연료 감축 속도는 현저히 둔화하는 추세다. 최근 발표된 정부 '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따르면 LNG(액화천연가스) 발전 비중은 기존 목표치인 '2036년 9.3%'에서 '2038년 11.1%'로 후퇴했다.

SK하이닉스도 2027년 준공 예정인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에 필요한 열(스팀)을 관계사인 SK E&S의 LNG 발전을 통해 공급받는다는 계획을 세웠다.

SK E&S뿐 아니라 한화 에너지, 포스코 인터내셔널, GS E&R, 한양 등이 자가소비를 위한 LNG 발전 신규 허가를 신청했다. 반도체 클러스터, AI 데이터 센터 및 각종 산업 공단의 늘어나는 전력 수요를 충당한다는 이유다.

에너지경제·재무분석연구소는 한국의 신재생에너지 보급 지연이 미래 핵심산업인 반도체와 인공지능(AI) 부문의 경쟁력을 심각하게 훼손할 것으로 전망했다.

AI 반도체와 메모리 핵심 고객인 미국의 팹리스(설계) 업체들은 RE100(재생에너지 전력 100%) 가입 회원사 규모가 가장 큰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의 탄소 관련 규제 강화로 인해 앞으로 신재생 전력을 사용하는 팹(Fab) 업체를 선호할 수 있다.

자율주행 자동차 등 분야에서 전 세계를 선도하는 유럽 역시 탄소국경조정제도(CBAM)를 도입 중이다. 신재생 전력을 사용하지 않아 탄소집약도가 높은 한국 반도체 기업의 유럽 시장 경쟁력을 크게 떨어뜨릴 수 있다. 향후 LNG에 부과될 탄소세는 LNG 기반 전력 생산 및 구매 비용을 크게 증가시킬 것으로 예측됐다.

보고서의 저자인 김채원 한국담당 수석 연구원은 "LNG 발전을 통한 전력을 사용하는 한국 반도체 기업들은 직·간접 온실가스 배출량 등 향후 도입될 지속가능한 회계기준의 영향으로 더 큰 국제사회의 압박에 봉착할 것"으로 전망했다.

한편 국제반도체장비재료협회(SEMI)가 최근 발간한 '국내 저탄소 에너지 확대 및 조달을 위한 과제와 잠재적 해결방안' 보고서도 현재 정부 '2050 탄소중립 추진전략' 로드맵 대로면 국내 기업들이 2030년 저탄소 에너지 도입 목표치에 최대 30% 미달할 것이라며 우려를 제기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