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트럼프 당선' 중소기업도 촉각…"수출 어려움 커질 수도"

등록 2024.11.08 08:01:00수정 2024.11.08 08:06:16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보편관세 등 수출 중소기업에 악영향

금리인하 제동·미중 갈등도 타격끼쳐

"당장은 정부·국회 역할 가장 중요해"

[웨스트팜비치=AP/뉴시스] 미국 공화당 대선 후보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6일(현지시각) 플로리다주 웨스트팜비치 팜비치 컨벤션 센터에서 대선 승리 연설을 한 뒤 멜라니아 여사와 인사하고 있다. 2024.11.07.

[웨스트팜비치=AP/뉴시스] 미국 공화당 대선 후보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6일(현지시각) 플로리다주 웨스트팜비치 팜비치 컨벤션 센터에서 대선 승리 연설을 한 뒤 멜라니아 여사와 인사하고 있다. 2024.11.07.


[서울=뉴시스]권혁진 이승주 기자 =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귀환에 성공하면서 국내 경제계가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미국 수출로 재미를 쏠쏠히 보고 있는 중소기업계 역시 불가피한 변화에 대응하고자 부지런히 계산기를 두드리고 있다.

중소기업계가 가장 우려하는 대목 중 하나는 수입 관세의 인상이다.

트럼프는 대선 기간 중 미국 우선주의의 일환으로 수입품에 대한 공격적인 관세부과를 예고한 바 있다. 특히 미국 내 제조업 일자리 보호를 위해 국가에 관계없이 전 세계 수입품 대상 10~20%의 보편관세 부과를 공약으로 내걸었다.

미국을 최대 수출국으로 두고 있는 중소기업계엔 그리 달갑지 않은 현상이다. 올해 3분기 국내 중소기업이 미국에 수출한 금액은 45억5000만 달러에 달한다. 수출국 2위인 중국(43억6000만 달러)보다 2억 달러 가까이 많다.

강인수 숙명여대 경제학부 교수는 8일 "트럼프의 당선이 중소기업계에 썩 유리할 것 같진 않다. 지금 미국 관세율이 2~3% 수준인데 (보편관세가 시행되면) 가격이 비싸지니 미국 소비자들의 수요가 줄어들 가능성이 있다"면서 "품목별 편차는 있겠지만 미국 수출을 하던 중소기업들은 어려움이 커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정환 한양대 경제금융학부 교수는 "미국에서 파는 우리 중소기업 상품이 엄청나게 많진 않지만 공급망 자체가 연결되니 아무래도 좀 피해를 받을 수밖에 없다"며 "좋은 뉴스가 많지는 않은 것 같다"고 정리했다.

트럼프가 관세를 볼모로 외국 기업들의 미국 현지 공장 신설을 유도할 경우 중소기업계가 더 위기에 빠질 수 있다는 의견도 제기됐다. 

추문갑 중기중앙회 경제정책본부장은 "지금 우리 중소기업 협력사들이 미국에 진출한 한국 자동차 공장으로 부품을 수출 중인데, 관세를 올리면서 현지에 지으라고 한다면 경쟁력이 악화될 것"이라며 "우리 자동차 기업들이 미국에서 밸류체인을 만들어 버린다면 (수출 중인 중소기업 협력업체들은) 피해를 볼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미중 무역전쟁 후폭풍이 어떤 영향을 끼칠 지도 중소기업계가 주목하는 부분이다.

트럼프는 중국의 항구적 정상무역관계(PNTR) 지휘를 박탈하고, 모든 중국산 제품에 60%의 관세를 부과하는 등으로 전면적 디커플링 추진하겠다는 입장을 공공연히 밝혀왔다.

중국의 성장률 저하는 국내 경제와 직결된다. 강 교수는 "원래 8%대이던 중국의 성장률이 거의 반토막 났다. 중국 성장세가 둔화되면 중국 수입 수요가 줄어들게 될 것이다. 우리나라 수출 기업들한테 타격을 미칠 것"이라고 점쳤다.

중소벤처기업연구원장을 지냈던 오동윤 동아대 경제학과 교수는 트럼프의 등장이 작금의 상황을 드라마틱한 변화로 이어지게끔 만들진 않을 것이라고 봤다.

오 교수는 "60% 관세 부과는 트럼프가 비전문가이기에 이야기하는 것이다. 실제 그렇게 할 수도 없다"면서 "WTO 규정대로라면 중국뿐 아니라 모든 나라에 60%를 매겨야 한다. 물론 그런 것들을 무시하는 게 트럼프이긴 한데 실행하긴 어려울 것"이라며 "사실 관세 측면에서 보면 바이든 때와 큰 차이가 없을 것 같다. 바이든이 조금 더 고급스럽게 접근했을 뿐"이라고 설명했다.  

트럼프의 백악관 재입성이 금리 낮추기에 제동을 걸 수 있다는 점 또한 부정적인 요소다. 이미 현지 언론들은 연방준비제도(Fed)가 그간 상정한 수준의 대폭적인 금리인하를 실시하진 않을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고 있다.

강 교수는 "트럼프는 괜찮을 것이라고 주장하지만 관세를 올리는데 물가가 떨어질 리 없다. 물가 상승 압력이 생기면 금리를 낮추기 어렵다"면서 "미국이 그 정책을 유지하면 우리도 금리를 못 내린다. 금융 부담이 가뜩이나 큰 중소기업들에게는 이 역시도 어려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다양한 불확실성 해소를 위해서는 정부가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는 게 전문가들의 공통적인 반응이다. 트럼프 행정부 2기의 보폭에 맞춰 대응력을 키우는 것 못지않게 시장 다변화를 꾀하는 것 역시 중소기업들에는 중요하다고도 제언했다.

오 교수는 "예전에는 대·중소 동반 진출로 중국에도 많이 나갔지만, 전통 산업이기에 중소기업의 참여도가 높았을 뿐이다. 첨단 산업에서는 중소기업의 참여가 배제된 상태인데 이는 더 가속화가 될 것"이라며 "자국중심주의가 확산되는 가운데 우리 중소기업 정책도 이제 산업을 어떻게 바라보고, 어떻게 재편을 할 것인가가 중요하다. (트럼프 대통령 당선이)그 계기가 됐다"고 강조했다.

강 교수는 "미국과 중국 의존도를 줄이는 방향으로 시장 개척을 적극적으로 할 필요가 있다. 중소기업이기에 엄청난 투자는 어렵겠지만 틈새시장을 찾아 우리가 잘할 수 있는 것을 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추 본부장은 "중소기업들은 스스로 경쟁력을 강화하면서도 정부만 바라볼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이같은 문제들은 정책에 관한 부분이기에 정부와 국회의 역할이 당장은 더 중요할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