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美 관세인상, 일본 기업 타격…생산거점 변경·해운대란 우려도"

등록 2024.11.27 11:28:38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멕시코·캐나다에 자동차 수출거점 둔 日기업, '美관세 25%' 경계

[도쿄=AP/뉴시스]지난 2021년 11월2일 요코하마 항구에서 화물선에 수출용 자동차가 실리고 있는 모습. 2024.11.27.

[도쿄=AP/뉴시스]지난 2021년 11월2일 요코하마 항구에서 화물선에 수출용 자동차가 실리고 있는 모습. 2024.11.27.

[서울=뉴시스] 박준호 기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이 멕시코와 중국 등에 대한 관세 인상을 표명하면서 해당국가에 공장을 둔 일본 기업들이 타격을 입을 우려가 커지고 있다고 지지(時事)통신 등이 27일 보도했다.

트럼프 당선인은 25일 소셜미디어(SNS)에 올린 글에서 내년 1월 취임 후 멕시코와 캐나다로부터의 수입품에 25%의 관세, 중국에 대해서는 10% 추가 관세를 각각 부과하겠다고 표명했다.

이같은 관세 인상 선언에 일본 제조업계에서는 생산지나 판매처에 대해 관세 영향이 비교적 작은 국가로 옮기는 것을 검토하는 기업이 있는가 하면, 해운 등 물류 측면에서 혼란을 경계하는 목소리도 나온다고 통신이 전했다.    

도쿠라 마사카즈 일본 게이단렌(경제단체연합회) 회장은 전날 기자회견에서 "정말 그렇게 되면 일본 기업에 대한 영향은 심대하게 될 우려가 있다. 주시하겠다"며 위기감을 나타냈다.

멕시코에는 도요타자동차와 혼다, 닛산자동차 등 일본계 자동차 대기업이 공장을 보유해 미국으로 수출하고 있다.

KPMG컨설팅은 관세 인상은 제품 이익율의 압박으로 연결된다고 분석하고, 일본 기업도 관세 인상분을 판매가격 인상으로 전가할지, 멕시코 거점을 미국에 옮길지 선택해야 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일본 최대 공조기 업체 다이킨공업은 멕시코에서 생산하는 미국 전용 공조 관련 제품에 대해 "아르헨티나 등 남미 전용 사양으로 바꾸는 안도 있다"며 판매처 변경을 검토하고 있다. 일본 사무기기·광학기기 제조업체 리코는 관세 인상에 대비해 중국에서 미국으로 수출하는 사무기기의 생산 거점을 태국으로 옮길 방침이다.

캐나다와 멕시코 양국에 생산 거점을 둔 일본 자동차 업계도 경계를 강화하고 있다.

요미우리신문은 멕시코와 캐나다에서 미국 수출에는 현재 무역협정 조건을 충족하면 관세가 붙지 않지만 전제가 바뀌면 수출 거점으로서의 매력은 떨어지고 생산체제 개편을 추진하는 기업이 나올 가능성도 있다고 짚었다.

캐나다와 멕시코에는 많은 일본 자동차 대기업들이 완성차 공장을 두고 있다. 멕시코나 캐나다는 미국에 비해 인건비 등이 싸고, 자동차 대기업에 있어서는 미국 전용 자동차의 생산 원가를 낮출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캐나다에서는 도요타자동차가 2023년 미국에서 가장 많이 팔린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라브4 등을 생산하고 있으며, 혼다도 일부 차종을 생산해 미국에 수출하고 있다. 혼다는 올해 4월 최대 약 1조2000억엔을 들여 캐나다 온타리오주에 전기자동차 및 전기차 배터리 생산공장을 신설할 계획도 발표했다.

또 멕시코에는 혼다와 도요타, 닛산자동차, 마쓰다의 생산거점이 있어 미국 등에 차를 수출하고 있다. 이 중 혼다는 멕시코에서 연간 약 20만대를 생산하고 있는데 그 중 약 80%는 미국 시장 판매용이다. 이밖에 자동차 대기업에 부품이나 소재를 공급하는 기업도 진출해 있는데, 도레이는 자동차 전용 에어백 생산 거점, JFE스틸은 자동차용 고급 강재의 가공 공장을 각각 멕시코에 마련하고 있다.

트럼프발(發) '관세 쇼크'가 물류업계 해운 대란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관측도 있다.

일본해사센터가 공표한 자료에 따르면, 트럼프 재선 가능성이 일반적으로 의식되기 시작한 지난 7월 이후, 중국으로부터 미국 전용 선박으로의 수송은 전년 동월 대비 20% 안팎으로 많은 수준을 보여왔다.

이를 놓고 일각에서는 관세 인상을 겨냥한 '막바지 수송'이 발생했다는 견해가 있으며, 해운 업계 관계자는 "앞으로 무역 패턴에 변경이 생길 가능성이 있다"고 지지통신에 말했다.

니혼게이자이신문에 따르면, 중국으로부터의 수입품에는 통상법 301조에 근거한 추가 관세가 이미 걸려 있다. 트럼프 1기 행정부가 2018년에 발동시켜 대상 품목은 1만 품목 이상에 달한다. 트럼프의 관세정책을 이어받은 바이든 행정부도 9월 말 배터리와 전기차 등을 대상으로 세율을 인상했다.

트럼프 2기 행정부에서는 세율이 더 올라간다. 이미 25%의 추가 관세가 부과된 중국산 배터리가 대상이 되면 35%로 올라간다. 마찬가지로 전기차에 대한 추가 관세는 110%에 달한다.

추가 관세 이유로 중국에서 멕시코 등을 경유해 합성마약 '펜타닐'이 유입되고 있는 점을 지적했다. 중국 외교부는 26일 대변인 담화를 내고 "중국은 미국과 마약 퇴치 협력을 계속하기 바란다"고 강조할 뿐 관세는 언급하지 않았다.

니혼게이자이는 트럼프 당선인이 내년 1월20일 취임 후 중국으로부터의 거의 모든 수입품에 10%의 추가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선언한 데 대해 "중국을 압박해 우회 수출을 포함한 중국 제품의 유입을 막겠다는 의도로 풀이된다"고 해석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