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실현가능한 탄소중립' 尹…신기술로 기후위기 뚫나

등록 2022.03.20 12:00:00수정 2022.03.20 13:29:43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대통령인수위 탄소중립 기술·신산업 전문가

'탄소중립 연료' 개발…CCUS 등 집중 가능성

이산화탄소 활용 제고…전반적 상용화 아직

[서울=뉴시스] 국회사진기자단 =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지난 18일 서울 종로구 통의동 인수위원회에서 열린 전체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2022.03.18. photo@newsis.com

[서울=뉴시스] 국회사진기자단 =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지난 18일 서울 종로구 통의동 인수위원회에서 열린 전체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2022.03.18. photo@newsis.com

[서울=뉴시스] 정성원 기자 =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의 대통령직인수위원회가 본격적으로 업무에 돌입한 가운데 인수위에 탄소중립 기술 개발에 앞장선 전문가들이 포진해 있는 점에도 눈길이 쏠린다.

이를 통해 차기 정부가 이산화탄소 포집·저장·활용(CCUS)과 같은 탄소중립 관련 기술 개발을 통해 '신산업 창출'과 '기후변화 대응'을 동시에 추구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20일 정치권에 따르면 인수위는 지난 17일 인수위원 인선 결과를 발표한 데 이어 18일 현판식을 열고 본격적으로 업무에 돌입했다.

인수위에는 환경·기후위기 대응·탄소중립 분과가 별도로 구성되지 않았다. 대신 산업과 일자리를 다루는 경제2분과, 과학기술 등을 관장하는 과학기술교육 분과에서 탄소중립과 관련된 정책 기초를 마련할 것으로 보인다.

탄소중립 기술과 가까운 전문가로는 과학기술교육분과 인수위원으로 임명된 남기태 서울대 재료공학부 교수가 있다.

인수위에 따르면 남 교수는 세계 최초로 자연계 생체연료 합성시스템을 모방한 전기화학적 이산화탄소 전환 기술을 개발했다. 이어 이산화탄소를 이용해 신개념 '탄소중립 연료'(e-fuel)라 할 수 있는 연료용 카보네이트 합성에 성공했다.

남 교수 외에도 신산업 전문가들이 포진한 점을 고려하면 차기 정부는 탄소중립과 기후위기 대응 관련 기술 개발에 역량을 집중할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앞서 윤 당선인은 '실현 가능한 탄소중립과 원전 최강국 건설'을 10대 공약 중 아홉 번째로 제시했다. 실효성 있는 온실가스 감축과 기후위기 적응대책을 추진하고, 원자력과 청정에너지 기술을 개발해 탄소중립을 달성하겠다는 입장이다.

특히 4차 산업혁명과 신기술을 공약으로 내세웠던 안철수 국민의당 대선후보가 인수위원장으로 합류하면서 탄소중립 관련 신기술 개발에 시동이 걸릴 것이라는 평가도 나온다. 이를 종합하면 탄소중립의 실현 가능성을 높이기 위한 적극적인 기술 활용에 초점을 둘 것으로 풀이된다.

학계에 따르면 남 교수가 개발한 이산화탄소 합성기술은 넓은 의미에서 이산화탄소 포집·저장·활용(CCU) 기술 분야에 해당한다.

해당 기술은 배출원이나 대기 중에서 이산화탄소를 포집(capture)해 저장(storage)하고, 유용한 물질로 전환하거나 직접 이용(utilization)하는 기술이다. 예를 들어 열촉매나 전기, 화학반응 등으로 전환한 다양한 탄소 화합물을 화석연료 대체물질 등으로 사용할 수 있다.
[서울=뉴시스] 이산화탄소 포집·저장(CCS) 기술 모식도. 이산화탄소 활용 기술은 여기서 한발 더 나아가 이산화탄소를 고부가가치 제품으로 만드는 기술이다. (자료=뉴시스 DB). photo@newsis.com

[서울=뉴시스] 이산화탄소 포집·저장(CCS) 기술 모식도. 이산화탄소 활용 기술은 여기서 한발 더 나아가 이산화탄소를 고부가가치 제품으로 만드는 기술이다. (자료=뉴시스 DB). photo@newsis.com

남 교수 연구팀은 재생에너지로 만든 전기에너지를 이용해 이산화탄소를 탄소중립 연료로 전환하는 방식을 연구했다. 포집은 아니지만 이산화탄소로 새로운 대체연료를 만든 '이산화탄소 활용' 사례로 볼 수 있다는 것이다.

오동재 기후솔루션 연구원은 "이런 기술이 상용화되면서 자연스럽게 포집된 이산화탄소에 대한 활용도가 높아지는 측면이 있을 것"이라며 "주목할 지점은 연구 수행시 합성하는 과정에서 사용되는 전기를 재생에너지로 사용했다는 것이다. 재생에너지를 활용했을 때 가격 경쟁력이 있는지를 살펴본 것 같다"고 말했다.

현재 전 세계적으로 이산화탄소 포집·저장·활용 기술을 통해 연간 4000만t 규모의 이산화탄소를 처리하고 있다. 다만 75~80%가량은 순수하게 탄소를 포집해 저장하는 게 아니라 압력을 이용해 땅속으로 이산화탄소를 보내고 원유를 뽑아내는 용도로 이용된다. 배출원에서 나오거나 대기 중에 있는 이산화탄소를 포집하는 기술은 많은 비용이 드는 단점이 있다.

특히 이산화탄소를 고부가가치 제품으로 생산하면 신산업 창출과 기후위기 대응을 동시에 추구할 수 있다는 평가를 받는다.

우리나라를 비롯한 전 세계에서 연구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도 '3050 이산화탄소 포집·활용 기술개발 및 통합실증' 사업 추진을 밝힌 바 있다. 환경부가 지난해 말 발표한 한국형 녹색분류체계(K-택소노미)에서도 이산화탄소 포집 연구개발을 녹색부문으로 정의했다.

다만 성장 잠재력에도 불구하고 실제로 미래 먹거리 산업으로 성장하고 기후위기 대응에도 도움이 될지는 미지수라는 시각도 있다. 일각에서는 이산화탄소 포집·저장 기술이 역으로 화석연료 사용을 늘릴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오 연구원은 "이산화탄소 포집·활용 자체가 활성화된 상황이 아니다. 포집은 에너지가 많이 들어가는 공정이다. 많은 비용을 들여 개발했는데 실제 얼만큼 편익이 나올지는 알 수 없는 상황"이라며 "실제로 상용화에 얼마나 걸릴지에 대해서는 고민이 필요하다. 이 부분은 차기 정부의 과제가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jungsw@newsis.com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