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년간 보이스피싱 피해 1조6645억…'카톡' 이용 피싱 급증
대출빙자 대신 '지인사칭' 메신저피싱 증가 추세
![[그래픽]](https://img1.newsis.com/2022/06/10/NISI20220610_0001017278_web.jpg?rnd=20220610130211)
[그래픽]
21일 금융감독원이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강민국 국민의힘 의원에게 제출한 '보이스피싱 피해 현황' 자료에 따르면 지난 2018~2022년 보이스피싱 피해 건수는 22만7126건, 피해액은 1조6645억원을 기록했다.
올 들어서도 지난 1월에 불과 한 달 동안 발생한 보이스피싱 피해 건수만도 총 843건에 피해액은 35억원으로 집계됐다.
지난 5년 간의 보이스피싱 피해건수를 유형별로 보면 대출빙자가 전체의 57.9%인 13만1427건(9998억원)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메신저피싱(지인사칭)이 7만7655건(2849억원), 기관사칭 1만8044건(3799억원)이었다.
대출빙자의 경우 지난 2020년부터 급감하고 있는 추세인 반면 최근에는 메신저 피싱이 절대 다수를 차지하고 있다.
지인을 사칭한 메신저피싱이 전체 보이스피싱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피해건수 기준으로 2018년 14%(9607건), 2019년 11%(8306건), 2020년 34%(8921건), 2021년 85%(2만5287건), 2022년 89%(2만5534건) 등으로 급증했다.
피해액 역시 2018년 216억원, 2019년 342억원, 2020년 373억원, 2021년 991억원, 2022년 927억원 등으로 빠르게 불어나고 있다.
메신저피싱에 사용된 메신저를 살펴보면 피해 신고시 메신저 종류를 함께 신고한 2만4808건(831억5000만원) 중 무려 95%가 '카카오톡'을 이용한 피해였다. 카카오톡을 통한 피해 건수는 2만 3602건, 피해액은 771억원이다.
강 의원은 "지난 3년간 메신저를 통한 보이스피싱이 급증하고 있고 지난해에는 우리 국민이 당한 보이스피싱 피해 10건 중 9건이 메신저피싱으로 인한 피해인데도 금융당국이 제대로 된 대책을 마련하지 못하고 있는 것은 명백한 직무유기"라며 "금융위원회와 금감원은 카카오톡을 통한 메신저피싱을 차단하기 위한 근본적인 대책을 관련 기관과 협의하고 신속히 마련하라"고 촉구했다.
![[서울=뉴시스]지난 2018~2022년 보이스피싱 피해 현황. (자료=강민국 의원실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https://img1.newsis.com/2023/02/21/NISI20230221_0001200154_web.jpg?rnd=20230221090159)
[서울=뉴시스]지난 2018~2022년 보이스피싱 피해 현황. (자료=강민국 의원실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공감언론 뉴시스 ephites@newsis.com
Copyright © NEWSIS.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