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文공약 "치매환자 국가가 책임진다"…72만명 관리비용 13조 달해

등록 2017.05.25 15:41:59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서울=뉴시스】김정환 기자 = 인구 고령화와 더불어 치매 질환이 사회 이슈가 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60세 이상 노인 중 약 20%가 경도 인지장애를 포함한 치매 증상을 보인다. 이 가운데 60%는 알츠하이머병 치매인 것으로 알려졌다.  일종의 뇌 질환인 치매의 종류는 여럿이다. 알츠하이머병 치매, 혈관성 치매, 파킨슨 치매, 외상에서 오는 치매, 음주와 흡연에서 오는 치매 등이다. 여러 종류의 치매 중 가장 흔한 치매는 알츠하이머병 치매와 혈관성 치매다. 알츠하이머 치매는 ‘베타 아밀로이드’라고 불리는 단백질과 관련성이 높고, 혈관성 치매는 뇌졸중이나 중풍처럼 뇌 혈관과 관련이 많다. 이 두 가지는 여러 종류의 치매 검사로 구별이 가능하다.  알츠하이머병 치매의 원인은 베타 아밀로이드가 뇌 신경세포 내 미토콘드리아에서 배출되는 활성산소를 증가시키며 생긴다. 증가된 활성산소는 뇌조직에 염증을 일으켜 뇌 세포 내 단백질이나 DNA에 치명적인 손상을 입혀 치매 증상의 원인이 된다. 혈관성 치매 역시 알츠하이머 치매와 진행 과정이 비슷하다. 혈관이 막히면서 뇌세포를 손상 또는 사망시켜 치매 증상을 일으킨다.  기존의 치매 치료는 아리셉트 또는 엑셀론 패치라는 약물로 치료하는 것이다. 여러 종류의 치매 검사 후 치료를 시작하는데 원인 치료가 아니고 증상 치료다. 치매증상 자체가 좋아지는 것보다는 치매증상 악화 속도를 줄여주는 역할을 한다.  최근에는 줄기세포 촉진제 치료제로 치매원인 치료가 가능해졌다. 줄기세포 촉진제는 뇌세포의 사망을 막고 아밀로이드의 형성을 감소시키는 반면, 뇌의 혈관 형성을 도와 치매 증상을 완화한다. 줄기세포 촉진제가 알츠하이머 치매와 혈관성 치매 치료에 큰 도움을 줄 수 있는 것이다.  미국 남플로리다 대학병원 치매센터는 줄기세포 촉진제 치매 치료제가 알츠하이머 치매의 베타 아밀로이드를 감소시키는 데 좋은 효과가 있을 수 있다고 세계적인 학술지(ISO)에 보고했다. 이 대학 치매센터 산체스 박사는 8명의 알츠하이머 치매 환자들을 무작위로 배정해 줄기세포 촉진제로 치료하는 비교실험을 했다. 그 결과, 알츠하이머 치매 환자를 대상으로 한 줄기세포 촉진제 치료는 큰 부작용도 없고, 알츠하이머 치매증상 치료에 효과도 좋을 수 있다고 보고했다.  또 미국 텍사스의 여러 대학병원 치매센터들의 컨소시엄은 알츠하이머 치매 환자 197명과 정상인 203명의 혈장 줄기세포 촉진제 용량을 측정했다. 알츠하이머 치매 환자의 혈장에는 줄기세포 촉진제 함량이 정상인에 비해 크게 부족하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이는 유럽 학술지에 보고됐다.  한국의 스템스 줄기세포 치매 클리닉 박재우 박사는 65~80세 알츠하이머 치매 환자 20명(여 16·남 4명)을 대상으로 줄기세포 촉진제 치매 치료에 관한 연구를 했다. 이 환자들은 모두 국내 대학병원에서 여러 가지 치매 검사 후 알츠하이머 치매 진단을 받았다. 이 중 중증 알츠하이머병 치매 환자 5명(MMSE 기억력 검사 14 이하), 초기-중기 알츠하이머병 치매 환자 10명 (MMSE 기억력검사 15-19), 알츠하이머병 경도인지장애 환자 (MMSE 20-24) 5명을 대상으로 연구했다. 그 결과, 알츠하이머병 치매 환자 대상 줄기세포 촉진제 치매 치료는 큰 부작용이 없고, 알츠하이머 치매증상 치료에 효과도 좋았다. 특히 치매 초기 및 경도 인지장애 치매 환자들은 MMSE 기억력 검사 결과가 29까지도 나와서 거의 완치 수준에 이르렀다.  박 박사는 “치매에는 아직 효과적인 치료법이 없지만 이 줄기세포 촉진제 치료는 알츠하이머병 치매의 원인인 베타 아밀로이드를 감소시키고, 혈관성 치매에서는 혈관을 재생성할 수 있으므로 획기적 치매 원인 치료”라고 밝혔다.   ace@newsis.com

국내 치매 유병률 10.2%...60~69세 100명당 3명 발병
 치매환자 1인당 연간 비용 2033만원…중증화시 7∼8배↑
 문 대통령 내달 둘째주중 결제 예상…가족부담 해소 기대

【서울=뉴시스】강수윤 기자 = 문재인 정부가 25일 치매를 국가가 직접 관리하는 '치매 국가책임제'를 도입할 것으로 알려지면서 치매환자들과 가족들의 고통을 덜 수 있을 지 주목된다.

 '국가치매 책임제'는 ▲치매책임병원 설립 ▲노인장기요양보험 본인부담 상한제 도입 ▲치매 의료비 90% 건강보험 적용 등을 골자로 한 문 대통령의 어르신 핵심 공약중 하나다.

 치매문제를 개별 가정 차원이 아닌 국가 돌봄 차원으로 해결하겠다는 게 핵심이다. 정부가 지역사회 치매지원센터를 확대해 치매 검진을 쉽게 할 수 있게 함으로써 치매 조기발견이 가능토록 한다는 방침이다.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올해 5월 기준 우리나라 치매환자수는 72만4000여명으로 추정되며 유병률은 10.2%다.

 ▲60~69세의 경우 100명당 3명 정도에서 치매가 발병했고  ▲70~74세에서 6명(이하 100명당) ▲75~79세 12명 ▲80~84세 25명 ▲85세 이상에서 무려 40명이 발생했다.  

 치매 환자가 늘어나면서 들어가는 비용도 매년 늘고 있다. 2015년 치매환자 총 관리비용은 13조2000억원에 달했다. 2020년엔 18조8000억원, 2040년에는 63조9000억원에 이를 것으로 추산된다.

 치매는 환자 자신뿐만 아니라 가족들에게도 경제적인 고통을 안겨 준다. 치매환자 1명에게 들어가는 연간 총 비용은 2015년 기준 약 2033만원. 특히 초기에 적절한 치매 치료와 관리를 못해 중증화되면 부담은 7∼8배 늘어난다.

 이에따라 복지부는 치매확진후 보건소에 치매환자로 등록하는 경우 소득분위에 따라 진료비와 약제비 등 월 3만원 한도내에서 지원받을 수 있도록 했다. 또 장기요양 1·2등급중 치매환자에 대해서는 연간 6일 범위내에서 24시간 방문요양서비스를 제공한다. 77개 공립요양병원을 대상으로 치매전문변동 시범사업을 추진한 뒤 전국적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현재 60세 이상 노인들은 무료로 전국 보건소 치매상담센터와 지자체 치매지원센터에서 인지감퇴에 대한 선별검사를 받을 수 있다. 선별검사에서 이상이 나타나면 정밀검사를 받아야 한다. 소득수준에 따라 무료 혹은 50% 부담하면 정밀검사를 받을 수 있다.

 하지만 선별검사 등 조기검진사업이 지자체별로 진행되고 있어 노인들이 받는 치매서비스 정도가 편차가 크고 정부의 지원이 부족하다는 지적이 있어 왔다.

 문 대통령이 이르면 다음달 둘째주중 회의를 열고 치매 국가책임제에 대한 구체적 방침과 실천 방안을 결재할 것으로 알려지면서 치매 예방과 검진치료 사업이 강화되고 인력과 예산을 확보될 것이란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