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비정규노조 31일 총파업'…광주·전남교육청, 빵·우유 대체급식(종합)

[광주=뉴시스] 빵·우유로 급식 대신하는 초등학생들. (사진=뉴시스DB). photo@newsis.com
광주와 전남도교육청은 전국학교비정규직연대회의의 31일 총파업으로 인한 학생들의 학습권 침해 최소화를 위해 급식·돌봄 등의 대책을 마련해 초·중·고·특수학교 등에 안내했다고 29일 밝혔다.
현재 광주지역 교육공무직 직원은 급식종사자, 돌봄교사, 방과후 교사 등 4300명이다. 전남은 8900여명으로 파악되고 있다.
또 교육공무직 직원 대부분이 학교비정규직연대회의에서 활동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으며 오는 31일 각 시·도교육청 앞에서 총파업 집회를 통해 '임금체계 단일화' '임금인상' '복리후생 차별금지' 구호 등을 외친다.
시·도교육청은 파업으로 인한 학교 운영 공백 최소화를 위해 급식은 학교 사정에 따라 빵·우유·도시락지참 등으로 대체 할 수 있도록 학부모들에게 안내했다.
돌봄교실·특수교육을 포함해 업무 공백이 예상되는 분야는 사전에 학부모·학생에게 안내하고 교장·교감 등이 대체교사로 투입하는 등 대책을 마련하고 있다.
직원들의 업무 재조정을 통해 특수학생 학업을 지원하고 내부인력이 부족할 경우 타 기관과 연계하는 방안도 고려하고 있다.
교육청 관계자는 "지난해 9월부터 전국학교비정규직연대회의와 집단임금교섭을 진행하고 있지만 노조의 요구안에 대한 교육부·시도교육청과의 입장 차이가 커 31일 총파업 강행이 예상된다"고 밝혔다.
이어 "파업으로 인한 학부모들의 불편을 최소화하고 학생들의 학습권 침해가 없도록 대책을 마련하고 있다"고 밝혔다.
지난해 11월 진행된 학교비정규직연대회의 총파업 당시에는 광주 조합원 4303명 중 901명(20.9%)이 참여하는 것으로 파악됐으며 전체 254개교 중 122개교가 빵·우유·도시락·학사일정 조정 방식으로 파업에 대응했다.
전남은 급식운영학교 877개교 중 134개교가 학사 일정 차질을 빚었다.
◎공감언론 뉴시스 hgryu77@newsis.com
Copyright © NEWSIS.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