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최상목 "과일류 28종·채소류 4종, 하반기 할당관세 적용"

등록 2024.06.04 10:00:00수정 2024.06.04 11:04:54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오렌지농축액 등 식품원료 19종 할당관세 적용

기업·공공기관에 서민체감 물가 안정 동참 요구

[세종=뉴시스]최상목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4일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물가관계장관회의를 주재하며 ▲5월 소비자물가 동향 및 주요 특징 ▲최근 물가동향 및 대응방안 ▲주요 품목별 가격 동향 및 대응방안 등을 논의했다.(사진=기재부 제공)

[세종=뉴시스]최상목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4일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물가관계장관회의를 주재하며 ▲5월 소비자물가 동향 및 주요 특징 ▲최근 물가동향 및 대응방안 ▲주요 품목별 가격 동향 및 대응방안 등을 논의했다.(사진=기재부 제공)


[세종=뉴시스]김동현 기자 = 최상목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4일 "이달 종료 예정인 바나나 등 과일류 28종에 대한 할당관세를 하반기까지 연장하고, 무·양배추 등 채소류 4종에도 할당관세를 신규 적용 또는 연장해 장바구니 부담을 완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최상목 부총리는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물가관계장관회의를 주재하고 이 같은 내용의 ▲5월 소비자물가 동향 및 주요 특징 ▲최근 물가동향 및 대응방안 ▲주요 품목별 가격 동향 및 대응방안 등을 논의했다.

최 부총리는 "5월 소비자물가는 2.7%를 기록하면서 지난 3월(3.1%)을 정점으로 둔화 흐름이 이어지는 모습"이라며 "근원물가도 2.2%로 하락하면서 추가 충격이 없다면 하반기로 갈수록 물가가 2% 초중반대로 안정화될 전망"이라고 평가했다.

다만 "모든 경제주체들이 함께 노력한 결과, 물가상승률은 2%대로 둔화되었지만 전반적인 물가 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서민생활의 어려움은 지속되고 있다"며 "국민들이 느끼는 생활물가와 장바구니 물가 안정을 위해서는 정부·기업 등 모든 경제주체들이 함께 더 힘을 모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서울=뉴시스] 김금보 기자 = 21일 서울시내한 대형마트에 파인애플 상품이 진열돼있다. 2024.05.21. kgb@newsis.com

[서울=뉴시스] 김금보 기자 = 21일 서울시내한 대형마트에 파인애플 상품이 진열돼있다. 2024.05.21. [email protected]


이어 "과일류 28종에 대한 할당관세를 하반기까지 연장하고 최근 가격이 상승한 무에 할당관세를 적용하는 한편 양배추 할당관세를 연장하는 등 공급을 확대하겠다"며 "국민들이 합리적인 소비를 할 수 있도록 주요 농수산물 가격 동향과 할인행사 등 정보 제공도 확대하겠다"고 설명했다.

최 부총리는 기업들이 물가 안정에 적극 동참해줄 것을 요청했다. 그러면서 "국제원자재 가격 하락에도 연초 적용했던 원당, 계란가공품 등에 대한 할당관세를 하반기에도 유지하고 최근 가격이 급등한 오렌지·커피농축액 등을 추가해 총 19종의 식품원료에 대한 원가 부담을 덜어주겠다"고 지원을 약속했다.

최 부총리는 공공요금과 관련해 "공공기관도 공공요금을 최대한 안정적으로 관리해 주시기 바란다"며 "공공요금은 서민과 소상공인 등 민생과 직결된 만큼 강도 높은 자구노력 등을 통해 요금 인상을 최대한 자제해 달라"고 당부했다.

그러면서 "불가피한 경우 국민이 납득할 수 있는 수준으로 인상폭을 최소화하는 것이 국민에 대한 책무를 다하는 것"이라며 "정부도 발전연료로 사용되는 LNG에 대한 관세를 하반기까지 면제하는 등 공공기관의 원가절감 노력을 적극 뒷받침하겠다"고 덧붙였다.
[세종=뉴시스]최상목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4일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물가관계장관회의를 주재하며 ▲5월 소비자물가 동향 및 주요 특징 ▲최근 물가동향 및 대응방안 ▲주요 품목별 가격 동향 및 대응방안 등을 논의했다.(사진=기재부 제공)

[세종=뉴시스]최상목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4일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물가관계장관회의를 주재하며 ▲5월 소비자물가 동향 및 주요 특징 ▲최근 물가동향 및 대응방안 ▲주요 품목별 가격 동향 및 대응방안 등을 논의했다.(사진=기재부 제공)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