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쌀 남아돈다는데 가격은 오름세…유통업자 배만 불린다?

등록 2024.06.08 09:00:00수정 2024.06.08 09:20:52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쌀 물가, 전년 저가 기저 효과로 11개월째 상승

올해 여름께 쌀 물가 상승률, 마이너스 전환 관측

4월 기준 쌀 재고, 37%↑…마진율 높아질 가능성

[용인=뉴시스] 김종택 기자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원삼면 용인시농협쌀조합공동사업법인 저온저장고에서 관계자가 가득 쌓여 있는 벼 포대를 살펴보고 있다. 2023.04.04. jtk@newsis.com

[용인=뉴시스] 김종택 기자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원삼면 용인시농협쌀조합공동사업법인 저온저장고에서 관계자가 가득 쌓여 있는 벼 포대를 살펴보고 있다. 2023.04.04. [email protected]


[세종=뉴시스]임하은 기자 = 쌀 재고량이 많다는데 쌀 소비자물가지수는 1년 가까이 상승세다. 쌀 가격이 낮았던 전년 대비 기저효과가 작용한 결과다. 올해 쌀 재고량 역시 전년보다 37% 높을 거로 전망되면서 쌀을 매입하는 유통업체가 싼값에 매입한 쌀을 비싸게 팔 가능성이 높다.

8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달 쌀 소비자물가지수는 100.38(2020=100)로 전년 같은 달보다 6.7% 상승했다. 쌀 물가는 11개월 연속 상승세를 기록 중이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 농산물유통정보의 쌀 소매가도 유사한 증가율을 보인다. 쌀(20㎏·상품) 소매가격은 5일 기준 5만3942원으로 전년보다 6.7% 높다.

농촌경제연구원 관계자는 "올해는 수확기 가격이 높은 수준으로 출발했기 때문에 (전월 대비) 하락세를 보여 왔어도, 지난해와 비교하면 가격이 높을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실제 쌀 소매가를 전월 대비로 살펴보면 지난해 10월18일 6만2022원까지 상승했다가 전반적인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농식품부에 따르면 올해 4월 평균 소비자 쌀값은 20㎏ 기준 5만812원으로, 작년 10월(5만9100원)에 비해 14%가량 하락했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 농산물유통정보의 올해 1월부터 6월까지 쌀 소매가 추이. (자료 = 농산물유통정보 캡처) 2024.06.07. *재판매 및 DB 금지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 농산물유통정보의 올해 1월부터 6월까지 쌀 소매가 추이. (자료 = 농산물유통정보 캡처) 2024.06.07.  *재판매 및 DB 금지


쌀 물가가 전년 대비 1년가량 상승한 배경은 지난해 값이 낮았던 기저효과에 있다. 쌀의 경우 2021년산은 역대급 풍작 후 2022년산은 흉작을 겪었다.

정부는 2021년산 쌀값이 큰 폭으로 하락하면서 2022년산 쌀값을 반등시키기 위해 역대 최대 규모인 90만t 정부 매입 계획을 추진했다.

그러면서 지난해 벼 재배면적과 생산량이 감소해 수확기 쌀값이 적정 수준을 유지할 거로 관측했다. 하지만 산지 유통업체의 재고 부담이 늘고, 현장의 불안감이 확산하면서 산지 쌀값은 하락세를 보였다.

당시 농협과 민간 모두 저가로 쌀을 판매하면서 지난해 6월까지 쌀 가격이 하락세를 보였다. 그러다 재고가 떨어지면서 7월부터 점차 가격이 상승하기 시작했다. 지난해 쌀의 물가상승률은 마이너스 상승률을 보이다 7월(0.4%) 전년 대비 0%대 상승 이후 8월(7.9%), 9월(14.7%), 10월(19.3%) 20% 가까이 치솟은 바 있다. 이후 상승률은 둔화했다.
[서울=뉴시스] 김혜진 기자 = 서울 시내 대형마트에서 고객이 장을 보고 있다. 2024.01.26. jini@newsis.com

[서울=뉴시스] 김혜진 기자 = 서울 시내 대형마트에서 고객이 장을 보고 있다. 2024.01.26. [email protected]


이렇다 보니 지난해 쌀 가격이 급등했던 기저효과를 고려하면 올해 여름께에는 쌀 물가상승률이 마이너스를 기록할 가능성도 높다. 농촌경제연구원 관계자는 "올해 7~8월이 되면 아마 작년보다 쌀 소비자가격이 더 낮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올해는 쌀 재고량이 전년·평년 대비 많은 상황이 되면서 산지는 을의 입장으로 저가로 쌀을 팔 가능성이 높다. 유통업체들은 싸게 매입 후 마진을 높게 붙여 소비자가로 팔 수 있는 상황인 셈이다.

농촌경제연구원에 따르면 4월 말 기준 산지유통업체의 쌀 재고량은 92만5000t으로 전년보다 25만t(37.0%)이 많다. 평년보다도 20만t(28.1%) 높다.

산지 쌀값은 수확기인 10~12월 80㎏ 20만원에서 지속 하락해 5월에는 18만9401원으로 6.6% 하락했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벼가 쌀로 도정돼야만 판매될 수 있는 특성을 고려한다면, 쌀의 도정 단계 이후 생산원가와 소비자가격의 차이는 약 15% 수준"이라며 "소비자쌀값은 작년 10월부터 올해 4월까지 하향세를 보이고 있다. 농식품부는 쌀 소비자가격 안정을 위해 더욱 노력하겠다"고 덧붙였다. 
[서울=뉴시스] 최진석 기자 = 농협 하나로마트 양재점에 진열된 쌀 제품의 모습. 2023.11.02. myjs@newsis.com

[서울=뉴시스] 최진석 기자 = 농협 하나로마트 양재점에 진열된 쌀 제품의 모습. 2023.11.02. [email protected]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