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비아그라 이런 효과가?…英 옥스퍼드대 "치매 예방 도움돼"

등록 2024.06.15 06:20:00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뉴욕=AP/뉴시스] 이해를 돕기 위한 사진으로 본문과 관계 없음 *재판매 및 DB 금지

[뉴욕=AP/뉴시스] 이해를 돕기 위한 사진으로 본문과 관계 없음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황진현 인턴 기자 = 발기부전 치료제로 알려진 '비아그라'가 뇌혈관성 치매 예방에 도움 된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15일 영국 옥스퍼드대학교 등 공동 연구진은 미세 뇌경색을 경험한 적 있는 고령층 성인 75명을 대상으로 비아그라의 주성분인 '실데나필'이 뇌혈관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했다.

실험 참가자는 연구 시작 전부터 이미 가볍거나 중간 정도의 뇌혈관질환을 가지고 있었다. 연구진은 참가자를 비아그라, 실로스타졸, 위약군 중 무작위로 배정해 3주간 복용하게 했다.

실로스타졸은 혈전 생성을 억제하는 항혈소판제로 뇌경색을 경험한 환자의 재발 방지 목적으로 사용된다. 위약군은 환자에게 심리적 효과를 얻도록 하려고 주는 가짜 약을 먹은 집단을 의미한다.

연구 결과, 뇌혈관성 치매 고위험군에서 실데나필 성분이 뇌혈관 기능을 향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데나필과 실로스타졸 모두 뇌의 혈관 저항성을 낮췄다. 그런데 실데나필은 저항성을 낮출 뿐 아니라 뇌혈관의 혈류도 증가시켰다.

뇌혈관 저항성이 낮아지고 혈류가 증가하면 혈액이 더 원활하게 뇌로 공급된다. 그로 인해 뇌로 향하는 혈류가 감소해 발생하는 뇌혈관성 치매를 예방할 수 있다. 이 밖에도 실데나필 성분은 실로스타졸에 비해 설사 등 부작용이 적었다.

옥스퍼드대 울프슨 뇌졸중치매예방센터 알라스테어 웹 교수는 "이것은 실데나필이 이 질환이 있는 사람들의 뇌혈관에 들어가서 혈류를 개선한다는 것을 보여주는 첫 번째 실험이다"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뇌혈관 손상은 혈관성 치매뿐 아니라 뇌졸중과 뇌출혈로도 이어질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며 "널리 상용화된 치료제인 비아그라를 치매 예방에도 쓸 수 있다면 혈관성 치매 예방·치료법이 크게 달라질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향후 연구 규모를 키워 추가 실험을 진행해야 한다"며 연구의 한계를 지적하기도 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미국 심장학회 학술지 '순환 연구(Circulation Research)'에 지난 4일 발표됐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