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임정백년]①사탕수수밭 5센트…대한민국은 시작됐다

등록 2019.04.11 05:30:00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미국 공동묘지 쓸쓸히 잠든 무국적 조선인 213위

"돈 벌어보자"고 미국 왔는데…노예 노동에 고통

"잃어버린 나라 구하자" 독립운동 자금 지원 앞장

일당 5센트 돈 모아서 상해임시정부에 자금 지원

【서울=뉴시스】 김태겸 기자 = 지난 2월 12일, 상해 임시정부 100주년 취재차 갔던 미 서부 중가주 다뉴바시에서 만난 한인역사연구회 차만자 박사(캘리포니아 주립대 정치학과 명예교수)가 한인 이주노동자들의 기록물이 전시돼 있는 투라레카운티 박물관(Tulare County Museum)에서 당시 한인들이 사용했던 태극기를 보여주고 있다.  1903년 구한말 갤릭호에 올라 하와이를 거쳐 미국 본토로 온 한인 이주 노동자들은 노예처럼 일해서 번 일당 5센트 가운데 상당액을 독립운동자금으로 기꺼이 내놓아 상해임시정부 재정에 크게 기여했지만 고국에 돌아오지 못하고 이역만리에서 제대로된 묘비명도 없이 쓸쓸하게 최후를 맞이했다. 1903~1905년 사이 고종은 수민원(綏民院. immigration office)이라는 이민귀화국을 신설하고 한인 노동자 약 7200여명을 미국 하와이 사탕수수 농장으로 집단 이주 시켰다. 이 중 약 2000여명은 노동기간을 마치고 미국 본토인 샌프란시스코로 향한다. 그 중 일부는 탄광이나 은광으로 일부는 미 서부 중가주 리들리 다뉴바 과일 농장으로 향한다. 이들이 바로 상해 임시정부의 수립 자금의 60%를 낸 500여명의 민초 독립운동가들이다. 2019.04.10.  patk21@newsis.com

【서울=뉴시스】 김태겸 기자 = 지난 2월 12일, 상해 임시정부 100주년 취재차 갔던 미 서부 중가주 다뉴바시에서 만난 한인역사연구회 차만자 박사(캘리포니아 주립대 정치학과 명예교수)가 한인 이주노동자들의 기록물이 전시돼 있는 투라레카운티 박물관(Tulare County Museum)에서 당시 한인들이 사용했던 태극기를 보여주고 있다. 1903년 구한말 갤릭호에 올라 하와이를 거쳐 미국 본토로 온 한인 이주 노동자들은 노예처럼 일해서 번 일당 5센트 가운데 상당액을 독립운동자금으로 기꺼이 내놓아 상해임시정부 재정에 크게 기여했지만 고국에 돌아오지 못하고 이역만리에서 제대로된 묘비명도 없이 쓸쓸하게 최후를 맞이했다.1903~1905년 사이 고종은 수민원(綏民院. immigration office)이라는 이민귀화국을 신설하고 한인 노동자 약 7200여명을 미국 하와이 사탕수수 농장으로 집단 이주 시켰다. 이 중 약 2000여명은 노동기간을 마치고 미국 본토인 샌프란시스코로 향한다. 그 중 일부는 탄광이나 은광으로 일부는 미 서부 중가주 리들리 다뉴바 과일 농장으로 향한다. 이들이 바로  상해 임시정부의 수립 자금의 60%를 낸 500여명의 민초 독립운동가들이다. 2019.04.10. [email protected]


[편집자주]미국 캘리포니아 중부 벌판. 이곳엔 213명의 한인이 작은 콘크리트 무덤에 잠들어 있다. 누구도 찾지 않는 이 무덤의 주인공은 1903년 하와이행 증기선 갤릭호에 탄 한인 이주 노동자들이다. 그들은 인종차별과 노예노동을 견뎌가며 번 일당 5센트에서 큰 몫을 떼 독립운동 자금으로 내놨다. 그 돈은 상해 임시정부 수립과 운영에 크게 기여했다. 하지만 그들은 독립한 조국으로 돌아가지 못하고 이역만리에서 쓸쓸한 최후를 맞았다. 뉴시스는 '무명의 독립운동가'로 기록된 이들에게 조국의 의미는 어땠을지 임시정부 수립 100주년을 맞아 조명했다.

【캘리포니아=뉴시스】김태겸 박종우 기자 = 미국 캘리포니아주(州) 중심에서 자동차를 타고 남동쪽으로 다섯 시간을 달리면 조선인 155명을 만날 수 있다. 포도농장과 밀밭, 끝이 보이지 않는 평원을 지나 도착한 리들리 공동묘지에서다.

그들을 찾은 날은 지난해 8월, 공동묘지에는 적막만 감돌았다. 'KIM', 'LEE', 'PARK'. 빛 바랜 콘크리트 비석을 바짝 들여다 봐야 보이는 반 쪽 짜리 이름만 이 무덤의 주인이 조선인임을 짐작하게 했다.

누군가 다녀간 흔적은 이미 낡아버린 조화가 전부다. 삶만큼 죽음도 외로운 이들의 묘지는 중가주(캘리포니아와 로스앤젤레스 사이 지역) 한인역사연구회의 차만재 회장이 관리한다.

이 곳에서 동쪽으로 12km 떨어진 다뉴바 공동묘지에도 조선인 58명이 고된 삶을 마치고 잠들어 있다.

차 회장은 "리들리와 다뉴바에 213명의 조선인이 묻혀 있다"고 했다.

차 회장에 따르면 그 중 가장 장수한 사람은 강화중 선생이다. 강 선생의 아들인 윌리 강은 작고 전 차 회장과 만나 아버지에 대한 기억을 이렇게 떠올렸다.
"우리 집에 저녁을 먹으러 와서 아버지(강 선생)에게 현금으로 300~400달러를 내놓는 한인 이주 노동자들이 많았어요. 평생을 타지에서 일했는데 일흔이 넘도록 고작 그만큼 돈을 모은게 전부인 사람들이었지. 죽으면 묻는 데 써 달라고 이름을 적어놓고 가서, 아버지가 자주 눈물을 훔치셨죠."

이들은 대부분 구한말 극심한 가뭄과 식량난을 피해 '아메리칸 드림’을 꿈꾸며 하와이 사탕수수 농장으로 일하러 온 이주 노동자들이다. 1903년 증기선 갤릭호를 타고 하와이에 도착해 미국 본토로 흘러 들어가 중가주(캘리포니아와 로스앤젤레스 사이 지역)의 노동자로 정착했다.
【서울=뉴시스】 김태겸 기자 = 기자가 지난 2월 12일, '3.1운동 및 상해 임시정부 100주년' 취재차 방문한 미 서부 중가주 리들리시이다. 사진은 미 중가주 리들리 공동묘지로 1903년 구한말 갤릭호에 올라 하와이를 거쳐 미국 본토로 온 한인 이주 노동자 중 한사람의 무덤이다. 이들은 노예처럼 일해서 번 일당 5센트 가운데 상당액을 독립운동자금으로 기꺼이 내놓아 상해임시정부 재정에 크게 기여했지만 고국에 돌아오지 못하고 이역만리에서 제대로된 묘비명도 없이 쓸쓸하게 최후를 맞이했다.  1903~1905년 사이 고종은 수민원(綏民院. immigration office)이라는 이민귀화국을 신설하고 한인 노동자 약 7200여명을 미국 하와이 사탕수수 농장으로 집단 이주 시켰다. 이 중 약 2000여명은 노동기간을 마치고 미국 본토인 샌프란시스코로 향한다. 그 중 일부는 탄광이나 은광으로 일부는 미 서부 중가주 리들리 다뉴바 과일 농장으로 향한다. 이들이 바로 상해 임시정부의 수립 자금의 60%를 낸 500여명의 민초 독립운동가들이다. 2019.04.10.  patk21@newsis.com

【서울=뉴시스】 김태겸 기자 = 기자가 지난 2월 12일, '3.1운동 및 상해 임시정부 100주년' 취재차 방문한 미 서부 중가주 리들리시이다. 사진은 미 중가주 리들리 공동묘지로 1903년 구한말 갤릭호에 올라 하와이를 거쳐 미국 본토로 온 한인 이주 노동자 중 한사람의 무덤이다. 이들은 노예처럼 일해서 번 일당 5센트 가운데 상당액을 독립운동자금으로 기꺼이 내놓아 상해임시정부 재정에 크게 기여했지만 고국에 돌아오지 못하고 이역만리에서 제대로된 묘비명도 없이 쓸쓸하게 최후를 맞이했다.  1903~1905년 사이 고종은 수민원(綏民院. immigration office)이라는 이민귀화국을 신설하고 한인 노동자 약 7200여명을 미국 하와이 사탕수수 농장으로 집단 이주 시켰다. 이 중 약 2000여명은 노동기간을 마치고 미국 본토인 샌프란시스코로 향한다. 그 중 일부는 탄광이나 은광으로 일부는 미 서부 중가주 리들리 다뉴바 과일 농장으로 향한다. 이들이 바로  상해 임시정부의 수립 자금의 60%를 낸 500여명의 민초 독립운동가들이다. 2019.04.10.  [email protected]

돈을 벌어 고국으로 가겠다는 일념으로 인종차별과 노예노동을 견디던 것도 잠시, 1910년 대한제국이 일본의 식민지가 되면서 그 꿈마저 좌절되고 만다.

삶의 목적을 잃은 당시 한인 노동자들은 미국을 찾아 "잃어버린 나라를 구하기 위해서는 독립운동 자금이 필요하다"고 호소하는 독립 운동가들에게서 새로운 희망을 봤다.

12시간 동안 이어진 고달픈 노동의 대가인 일당 5센트 가운데 상당액을 독립운동 자금으로 기꺼이 내놓은 이유다.

미주국민회 자료집에 따르면 당시 리들리·다뉴바 한인들은 1918년부터 1919년까지 상해 임시정부 수립을 위한 독립운동자금 특별모금을 진행해 13만8350달러를 상해로 보냈다.

임시정부 수립 이후에는 조국을 되찾겠다는 일념 하나로 없는 살림에 돈을 모아 운영자금의 약 60%를 조달하며 임시정부의 든든한 후원자가 됐다.

그러나 결국 이들은 조국 땅을 밟지 못하고 머나먼 타국에서 후손도 없이 쓸쓸한 생을 마쳐야 했다. 100년이 지난 2019년에도 그들의 무덤에는 쓸쓸함 뿐이다.

[email protected],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