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조선무기 조사연구보고서Ⅰ'소형화약무기' 발간

등록 2020.06.18 10:39:11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진주박물관, 고려말기~조선중기 이후 국내 소형화약무기 748점

[진주=뉴시스] 승자총통.

[진주=뉴시스] 승자총통.


[진주=뉴시스] 정경규 기자 = 경남 진주박물관은 18일 고려 말기부터 조선 중기까지 제작된 각종 소형총통과 부속품 등을 조사·연구한 '조선무기 조사연구 보고서Ⅰ(소형화약무기)'를 발간했다고 밝혔다.

국내 유일 임진왜란 전문 박물관인 진주박물관은 지난 2018년부터 2년여 기간동안 국내 소형 화약무기의 조사·연구를 진행했다.

소형 화약무기 800여점을 조사하고 보고서에 실린 수량만도 총 748점에 달한다.

이 보고서는 대량의 실물 자료를 바탕으로 과학적 조사와 문헌 자료를 연계해 종합적인 연구 결과를 도출했다.

'조선무기 조사연구 보고서Ⅰ(소형화약무기)'는 국내 최대의 화약무기류 자료 집성이자 진주박물관이 계획·추진하고 있는 우리나라 전통 화약무기 조사 사업의 첫 결실이다.

[진주=뉴시스] 소형총통 주조 시 내외형과 채플릿의 배치 추정 모식도.

[진주=뉴시스] 소형총통 주조 시 내외형과 채플릿의 배치 추정 모식도.


보고서에는 조사대상 800여점 중 선별한 소형 총통 총 275건 292점과 조총 48건 50점(총신 24점 포함)의 사진 및 제원이 상세히 실려 있다.

이와함께 화약무기의 기원과 발달, 명문과 기록으로 본 소형 총통과 조총, 소형 총통의 발전과 제작 기술, 조총의 등장과 원리, 화약의 도입과 발전 등 관련 연구 결과를 담은 논고도 함께 수록했다.

진주박물관은 지난 2년 동안 자료조사를 시작으로 상세 제원 측정과 재료 성분 분석, 내시경 조사, 3차원 스캔(3D SCAN), 컴퓨터 단층(CT) 촬영 등을 진행했다.

그 결과, 이전에는 알지 못했던 많은 새로운 사실이 밝혀졌다. 무엇보다 명문 조사와 3D 스캔 등을 통해 조선 전기 소형 총통에 보이는 죽절의 의미를 다시 보게됐다. 죽절 개수의 차이에서 총통의 종류에 따른 규칙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기존 연구에서 죽절이 총통의 표면적을 넓혀 발사 후 냉각 속도를 빠르게 해준다는 견해는 적어도 소형 총통에서는 큰 의미가 없다는 것이 밝혀졌다.

특히진주박물관은 이번 보고서 발간을 위해 중앙박물관·경주박물관 등 국립중앙박물관 소속 8개 국립박물관과 문화재청 국립고궁박물관, 서울역사박물관, 전쟁기념관, 육군사관학교 육군박물관·해군사관학교박물관, 경희대학교 중앙박물관 등 총 19개 기관의 소장품을 조사했다.

이밖에 문화재청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와 경기도박물관, 한강문화재연구원으로부터는 자료를 제공받았다.

이번 조사 결과와 보고서를 바탕으로 조선전기 소형 총통의 격목과 당시 화약 분석 작업 등을 추가로 진행할 예정이다.

또한 현재 과학적 보존처리가 진행 중인 비격진천뢰와 천자·지자·현자·황자총통 등 현존하는 조선시대 대형 화포에 대한 조사·연구도 추진할 계획이다.

진주박물관 관계자는 “화약무기는 당대 최첨단 기술의 집합체로 시대나 나라별로 발전과 교류를 확인할 수 있는 매우 중요한 자료이다”며 “그간 전통 무기 연구 분야는 가까운 중국, 일본 등의 연구 업적에 비해 상대적으로 미진했던 것이 사실이지만 이번에 CT, 3D 스캔 등 중앙박물관의 최첨단 장비를 활용한 연구를 통해 많은 새로운 사실을 밝혀낼 수 있었다”고 말했다.
[진주=뉴시스] 별양자 총통.

[진주=뉴시스] 별양자 총통.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