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의 루나' 공포…수 백개 알트코인 `옥석 가리기' 가능할까
[서울=뉴시스] 김제이 기자 = 지난날 초 발생한 테라-루나 사태로 암호화폐 시장의 전체 시가총액이 줄어든 상황이지만 국내 거래소에서는 여전히 수많은 알트코인이 거래되고 있다. 글로벌 코인 순위 상위 10위권 안에 들던 루나(루나클래식)의 급락으로 메이저 알트코인이라고 하더라도 언제든 몰락할 수 있다는 불안감이 시장심리를 옥죄고 있다.
5일 글로벌 암호화폐 시황 중계 사이트 코인마켓캡에 따르면 지난달 3일부터 한 달간 전체 암호화폐 시장의 시가 총액은 1조7399억달러(약 2164조원)에서 1조2532억달러(약 1560조원)로 28%가량 하락했다. 미국의 금리인상 기조로 이미 상승이 제한된 코인 시장에 테라-루나 사태 급락으로 전반적인 투자심리가 얼어붙었기 때문이다.
테라-루나 급락이 시장에 큰 충격을 준 데에는 두 가지 이유가 꼽힌다. 스테이블 코인은 언제든 '언스테이블' 해질 수 있다는 것과 시가총액이 큰 상위권 가상자산(암호화폐)라고 하더라도 안전장치가 없다면 뱅크런(대규모 예금 인출 사태)은 언제든지 일어날 수 있다는 것이다.
루나 급락에 투자자들 "메이저 코인도 불안해"
루나클래식(구 루나)은 메이저 코인이었지만 비트코인이나 이더리움에 비교하면 시가총액이 크지는 않았다.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이 전체 코인 시장 시총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이유에서다. 지난달 2일 기준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의 시가총액은 각각 약 913조원, 약 429조원이다. 같은 날 루나(LUNC)는 약 27조원이었다.
따라서 해외 거래소에서는 비교적 변동성이나 뱅크런의 위험이 적은 비트코인이나 이더리움에 대한 투자 비율이 높은 편이다. 하지만 국내는 코인 투자에 있어서 '초단타 거래' 등으로 시세 차익을 얻으려고 하는 투자행태가 주를 이루기 때문에 알트코인이나 잡코인 등 시가총액이 작은 코인에 돈이 몰리고 있다.
국내 투자자들, 해외보다 투기적 성향 더 강해
이달 3일 오후 3시40분 기준 업비트 코인별 거래대금만 확인하더라도 비트코인 약 1132억원보다 높은 알트코인은 웨이브, 골렘, 누사이퍼, 위믹스 등 4개나 존재했다. 웨이브의 이날 업비트 내 거래대금은 무려 7111억원을 기록했다.
지난해 9월 특정금융정보법(특금법) 개정안이 시행되면서 흔히 '잡코인'이라 불리는 알트코인들이 거래소에서 대부분 퇴출당했지만, 여전히 수십, 수백여개의 코인들이 거래되고 있는 실정이다. 코인 거래소는 주식시장처럼 중앙 관리 기구에 의해 운영되는 것이 아닌 민간이 자율적으로 운영하다 보니 거래소별 상장 기준과 상장폐지 기준이 다르기 때문이다.
더불어민주당 김병욱 의원실에 따르면 2018년부터 지난해 2월 말까지 약 3년 동안 국내 4대(업비트·빗썸·코인원·코빗) 거래소에 새롭게 상장된 암호화폐는 546개, 상장 폐지된 암호화폐는 175개였다. 특금법 시행일이 다가올수록 상폐를 당하는 코인의 수는 점차 많아졌다.
이에 거래소별로 제각각인 상장, 상폐 기준을 맞추자는 얘기도 나오며 무분별한 알트코인을 솎아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지만, 이는 쉽지 않은 일이다. 애초에 암호화폐 자체가 '탈중앙화 화폐'를 목표로 만들어졌기 때문이다.
"상장 기준 공동 가이드라인 제정하자" VS "쉽지 않은 일" 상충
중소형 코인 거래소 중심의 한국디지털자산사업자연합회에서는 "루나·테라 코인 대폭락 사태를 계기로 긴급 당정회의에서도 거래소 공동 가이드라인이 필요하다는 데에 기초적 공감대가 형성된 바가 있다"면서 "투자자 보호 및 건전한 가상자산 생태계 조성을 위해 ▲이용자들의 투자 여부 결정에 핵심적 역할을 하는 상장 심사 기준 ▲상장 후 유의종목 지정, 거래지원 및 입출금 중단 등을 대상으로 공동 가이드라인 제정에 나서기로 했다"고 밝혔다.
아울러 연합회에서는 "5개 원화 거래소들이 마련하려는 '상장 후 관리방안'인 유의 종목 지정, 거래지원 중단, 입출금 중단에 대한 가이드 라인과 함께 이용자들의 투자 결정에 핵심적 요인인 상장 가이드라인도 동시에 마련돼야 한다"는 입장이다.
한편, 대형 거래소 관계자는 "자율경쟁 체제인 코인 거래소 업계 특성상 개별 거래소의 특징이 부각돼야 하는데 동일한 상장 심사 기준 등이 생기게 되면 경쟁력을 키울 수 있는 주요 부분이 사라지는 것과 마찬가지"라면서 "투자자 보호를 위해 명확한 기준이 필요하다는 건 공감하지만 이를 정립하기 위해서는 많은 이해관계가 얽혀있기에 쉽지 않아 보인다"고 토로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Copyright © NEWSIS.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