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외부인이 산책로 배변 안 치워"…'반려견 등록제' 도입한 신축 아파트

등록 2024.06.27 11:45:48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신축 대단지 중심 입주민 반려견 등록·인식표

"조경 훼손, 쓰레기 투척 외부인 반려견 식별"

반려견 인구, '숲세권' 수요↑…산책 공원 부족

반려견 놀이터에서 강아지들이 뛰놀고 있는 모습. 사진은 기사와 무관하다.

반려견 놀이터에서 강아지들이 뛰놀고 있는 모습. 사진은 기사와 무관하다.


[서울=뉴시스]정진형 기자 = "나도 강아지를 키우지만 산책로에 안 치운 배설물이 있으면 눈살이 찌푸려진다. 자기 아파트라면 그대로 뒀을까 싶다." (서울 동작구 아파트 주민)

반려견을 기르는 인구가 늘며 산책 중 방치된 배설물 문제가 떠오르는 가운데 신축 아파트 단지를 중심으로 외부인의 산책을 제한하는 반려견 등록제가 속속 도입되고 있다.

27일 업계에 따르면, 서울 강남구 개포동의 한 신축 아파트 생활지원센터(관리사무소)는 지난 3일부터 입주민에게 개당 1000원에 반려견 인식 배지를 배포했다.

센터는 "단지 내 조경 훼손, 쓰레기 투척 등 공동생활 질서를 위반하는 외부인의 반려견을 식별하기 위함"이라며 "반려견을 양육하는 입주자 여러분의 적극적인 협조를 부탁한다"고 설명했다.

인근의 또 다른 신축 대단지 아파트도 지난달 9일부터 이달 초까지 입주민에게 반려동물 인식표 조치를 안내한 뒤 시행하고 있다. 산책을 하는 반려견이 대상으로 대형견 4400원, 소형견 3300원이 관리비로 청구된다.

이 아파트 커뮤니티는 지난해 말부터 외부 반려견의 배변 문제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 바 있다. 생활지원센터는 인식표 착용을 하지 않은 반려견과 견주는 단지 밖으로 이동시킨다는 방침이다.

동작구 흑석동의 한 신축 아파트 역시 최근 반려견 인식표를 도입하고 단지 내 놀이터 인근에 안내 현수막을 걸었다.

이 단지 주민은 "저녁에는 산책할 때마다 바닥을 보면서 다녀야 한다"며 "종종 주민이 아닌 분들이 강아지를 데리고 왔다가 배설물을 안 치우고 그대로 나가는 일이 있다"고 말했다.

이처럼 반려견 산책을 둘러싼 갈등이 커진 것은 코로나19를 거치며 반려견 양육 인구가 크게 늘어난 데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KB금융지주가 지난해 낸 '2023 한국 반려동물 보고서'에 따르면, 2022년 말 기준 한국의 반려가구는 552만 가구로 전체 가구의 25.7% 비중이며 반려인은 1262만명으로 추산된다. 이중 반려견 가구가 71.4% 수준이다.

이와 함께 정비업계에선 최근 '숲세권'을 갖추기 위해 녹지와 조경을 잘 꾸민 개방형 신축 아파트가 늘어나면서 이 단지들이 입주민과 외부인을 가릴 거 없이 산책 코스로 선호 받게 된 영향으로 보고 있다.

더욱이 집 근처나 아파트 단지 내에 공원과 녹지가 있는 숲세권에 대한 수요는 꾸준히 늘었지만 주거 환경이 여전히 따라가지 못하는 게 요인으로 지적된다.

서울시에 따르면 1인당 공원 면적은 2022년 기준 17.9㎡이지만 도시자연공원과 국립공원 등을 제외하고 실제 시민이 가까이에서 이용할 수 있는 '도보생활권' 공원으로 보면 5.71㎡로 줄어든다.

오세훈 서울시장이 '정원도시 서울'을 표방한 데 이어 서울시는 오는 2026년까지 총 1007개의 정원을 조성할 방침이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