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은행장 경영승계 절차 어떻게 바뀌나[5대 은행장 인사③]

등록 2024.10.06 14:00:00수정 2024.10.06 14:10:17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서울=뉴시스] 정병혁 기자 = 사진은 4일 서울시내 시중은행 ATM기의 모습. 2024.03.04. jhope@newsis.com

[서울=뉴시스] 정병혁 기자 = 사진은 4일 서울시내 시중은행 ATM기의 모습. 2024.03.04. [email protected]


[서울=뉴시스] 최홍 기자 = 국내 5대금융 지주가 본격적인 은행장 인선에 돌입한 가운데, 향후 금융당국의 경영승계 가이드라인이 제대로 적용됐는지도 관전 포인트가 될 전망이다. 금융당국은 올바른 경영 승계 프로그램이 건전한 지배구조를 확립하고, 금융사고 방지 등 내부통제 시스템을 비롯해 경영 안정성에도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 있다.

6일 금융권에 따르면 최근 5대 금융지주(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는 자회사 대표이사 후보추천위원회(자추위)를 열고 승계 작업에 착수했다. 이재근 국민은행장은 연말에 임기가 만료되고, 조병규 우리은행장, 이승열 하나은행장, 이석용 농협은행장, 정상혁 신한은행장도 연말에 임기 만료를 앞두고 있다.

현재로선 연임보다는 교체될 것이라는 시각이 지배적이다. 시중은행들이 홍콩 주가연계증권(ELS) 불완전판매, 이상 외화송금, 횡령, 부당대출 등 각종 금융사고에 연루되면서, 내부통제 관리에 대한 책임이 요구되고 있기 때문이다.

지난해 처음 나온 금융당국의 지배구조 모범관행이 이번 은행장 인사에 제대로 적용될지도 지켜봐야 할 부분이다.

그간 금융당국은 기존의 금융지주와 은행장의 경영승계 프로그램에 대해 비판적인 입장을 드러내왔다. 금융지주·은행이 주인 없는 회사라는 구조적 특성을 이용해, 특정 인사를 중심으로 파벌을 형성하거나 이해관계에 따라 임원을 선임해왔다는 것이다.

금융지주와 은행의 제왕적 지배구조는 내부 견제·감시 없이 단기 실적에 치중하는 잘못된 영업 관행을 초래하고, 나아가 불완전판매 등 대규모 소비자 피해를 낳는다.

금융당국은 건강한 금융시장 조성을 위해서라도 투명한 절차를 거쳐 최고경영자(CEO)를 선임하는 제도적인 기틀을 마련하고, 불공평한 지배구조 세습을 타파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통상 지주·은행의 CEO 선임 및 경영승계 절차는 '상시후보군 관리→승계절차 개시→롱리스트(long-list) 확정→숏리스트(short-list) 확정→최종후보 확정' 순으로 진행된다.

기존에는 평가기준이나 후보군 압축방식 등이 문서화되지 않고 있어 선임과정이 불투명하고, CEO 자격 요건도 구체적이지 않았다.

이에 금융당국은 지난해 지주·은행 지배구조 모범관행을 발표하며, 후보군 선정부터 육성·평가, 최종선임까지 모든 과정을 기록으로 남겨 문서화하도록 했다. 승계절차도 전임자 임기만료 최소 3개월 전 명문화 하도록 했다.

CEO 자격요건도 도덕성, 업무전문성, 학력 및 경력, 조직관리 역량, 연령, 회사비전 공유 등 세부적인 기준을 제시하도록 했다. '낙하산 인사'를 방지하기 위해 외부후보군과 관련해 추천 경로 및 절차도 명확히하고 체계적인 검증 절차를 거치도록 했다.

금융당국은 CEO후보 검증 강화 등 금융지주들이 지켜야할 지배구조 원칙 30가지를 제시하고, 구체적인 가이드라인을 각 지주·은행들로부터 제출받은 상태다. 현재 지주·은행들은 해당 가이드라인을 모두 내규에 반영하기로 합의하고, 실행 가능한 것부터 하나둘씩 이행 중이다.

우선 지주들은 연말에 실시될 은행장·계열사 대표 선임 절차를 위해 3개월 전인 현재부터 전 과정을 문서화하는 중이다.

앞으로 각 이사회들은 지주·은행의 승계 프로세스가 제대로 이행되고 있는지, 후보자들이 회사에 맞는 잠재적 리더십을 제대로 보유하고 있는지도 점검해야 한다. 아울러 외부평가기관, 외부전문가, 심층 평판조회 등을 통해 공정성도 확보해야 한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현재 지배구조 모범관행에 따라 은행들이 모두 제도개선을 이행하고 있다"며 "이번 경영승계 절차에도 관련 내용들이 적용될 것"이라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