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산비용↑"…중소기업 2곳 중 1곳은 '환율 급등' 피해
중기중앙회, '고환율 관련 중소기업 실태조사' 결과 발표
작년 중소기업 평균 수입액 56억…원자재 비중 59%
![[서울=뉴시스]](https://img1.newsis.com/2025/02/20/NISI20250220_0001774339_web.jpg?rnd=20250220101331)
[서울=뉴시스]
중소기업중앙회는 지난 달 14일부터 31일까지 중소기업 360개 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고(高)환율 관련 중소기업 실태조사' 결과를 20일 발표했다.
조사 결과 수입 중소기업의 지난해 평균 수입액은 56억3000만원으로, 품목별 수입액 비중은 원자재(59.1%)가 평균 33억3000만원으로 가장 높았다.
국내 업체를 통해 간접 수입 중인 중소기업의 지난해 평균 수입액은 19억9000만원으로 원자재(64.8%) 비중은 12억9000만원이었다.
최근 환율이 급등해 '피해가 발생'한 중소기업은 51.4%로 조사됐다. '이익 발생' 중소기업은 13.3%에 그쳤다.
'피해가 발생'했다고 응답한 기업 가운데 수입만 하는 기업이 82.8%로 가장 많았고, 수입과 수출을 모두 하는 기업(62.1%), 수출입을 하지 않는 내수기업(48.4%), 수출만 하는 기업(26.2%) 순으로 높았다.
환율 급등에 따른 피해 유형 조사 결과(복수응답) '환차손 발생'과 '고환율로 인한 생산비용 증가'로 응답한 기업이 각 51.4%로 가장 많았다. ▲수입 비용 증가로 인한 가격경쟁력 저하(49.2%) ▲환율상승분에 대한 납품단가 미반영(40.0%) 등이 그 뒤를 이었다.
수입기업 중 수출을 하지 않은 기업은 '환율 상승으로 인한 생산비용 증가'가 63.6%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환율 상승으로 인한 수입 비용 증가액에 대해서는 중소기업의 70.3%가 '1억 원 미만'으로 응답했다. 1억 이상~3억 미만도 12.8% 였다. 수입기업의 경우 1억 이상~3억 미만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환율 상승 대응을 위해 필요한 정부 지원책으로는 '대출만기연장 및 금리인하'가 42.8%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운임 및 선복 등 물류지원 확대(26.7%) ▲환변동 보험 및 무역 보증 지원(26.1%) 등이 그 뒤를 이었다.
또 미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에 따른 환율 전망은 '상승할 것'이라는 의견이 66.4%로 가장 높았다.
조사 시점 기준 기업이 영업 적자를 보기 시작하는 '손익분기점 환율'은 1달러 기준 평균 1334.6원으로 응답했으며, 기업의 목표 영업이익 달성을 위한 '적정 환율'은 평균 1304.0원으로 조사됐다.
김철우 중기중앙회 통상정책실장은 "최근 원·달러 환율이 1400원대 수준에 머물면서 수출입 중소기업의 피해가 늘고 있다"며 "환율안정을 위한 정부의 적극적인 정책 대응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you@newsis.com
Copyright © NEWSIS.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