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라산 백록담, 드디어 열렸다…출입통제 54일만에 개방
![[제주=뉴시스] 한라산 백록담이 22일 재개방됐다. 성판악탐방로의 진달래밭대피소에서 안전요원을 따라 백록담 정상을 향한 등산객들은 화창한 백록담분화구 절경을 즐겼다. 정상 표지석에는 기념사진을 찍으려는 등산객이 줄지어 서기도 했다. (사진=한라산국립공원관리소 제공) 2025.03.22. photo@newsis.com](https://img1.newsis.com/2025/03/22/NISI20250322_0001798038_web.jpg?rnd=20250322121512)
[제주=뉴시스] 한라산 백록담이 22일 재개방됐다. 성판악탐방로의 진달래밭대피소에서 안전요원을 따라 백록담 정상을 향한 등산객들은 화창한 백록담분화구 절경을 즐겼다. 정상 표지석에는 기념사진을 찍으려는 등산객이 줄지어 서기도 했다. (사진=한라산국립공원관리소 제공) 2025.03.22. photo@newsis.com
이날 성판악탐방로를 이용한 등산객 300여명은 해발 1500m 진달래밭대피소에 모였다가 오전 9시30분께 한라산국립공원 안전요원 등의 인솔아래 백록담 동릉 정상으로 향했다.
해발 1600~1900m 구간은 기존 탐방로 표식을 찾지 못할 정도로 눈이 쌓였다. 사전에 안전요원이 표시한 유도 로프를 따라 등산객들이 걸었다.
정상에 도착한 등산객들은 '한라산천연보호구역 백록담'이 쓰인 표지석에서 인증 사진을 찍으면서 오랜만에 열린 백록담분화구의 전경을 즐겼다.
성판악탐방로 외에 관음사탐방로는 이날도 삼각봉대피소(해발 1500m)에서 백록담 정상으로 가는 구간에 대한 출입을 통제했다.
![[제주=뉴시스] 한라산 백록담이 22일 재개방됐다. 성판악탐방로의 진달래밭대피소에서 안전요원을 따라 백록담 정상을 향한 등산객들은 화창한 백록담분화구 절경을 즐겼다. 정상 표지석에는 기념사진을 찍으려는 등산객이 줄지어 서기도 했다. (사진=한라산국립공원관리소 제공) 2025.03.22. photo@newsis.com](https://img1.newsis.com/2025/03/22/NISI20250322_0001798042_web.jpg?rnd=20250322121650)
[제주=뉴시스] 한라산 백록담이 22일 재개방됐다. 성판악탐방로의 진달래밭대피소에서 안전요원을 따라 백록담 정상을 향한 등산객들은 화창한 백록담분화구 절경을 즐겼다. 정상 표지석에는 기념사진을 찍으려는 등산객이 줄지어 서기도 했다. (사진=한라산국립공원관리소 제공) 2025.03.22. photo@newsis.com
한라산국립공원관리소 관계자는 "관음사탐방로 정상 구간에 대한 모니터링을 실시 후 별도로 개방시기를 결정하기로 했다"며 "눈이 녹는 해빙기를 맞아 탐방로 곳곳에 위험이 상존하기 때문에 겨울 산행장비를 반드시 착용하고 2~3명이 함께 산행하기를 권장한다"고 말했다.
겨울철 적설 등으로 인해 백록담 정상 통제가 이번처럼 오래 진행되기는 이례적이다.
눈이 쌓이거나 태풍이 불었어도 백록담 탐방 통제 기간은 2~5일 정도에 불과했다. 올해처럼 장기간 지속적으로 이뤄지지는 않았다.
![[제주=뉴시스] 한라산 백록담이 22일 재개방됐다. 성판악탐방로의 진달래밭대피소에서 안전요원을 따라 백록담 정상을 향한 등산객들은 화창한 백록담분화구 절경을 즐겼다. 정상 표지석에는 기념사진을 찍으려는 등산객이 줄지어 서기도 했다. (사진=한라산국립공원관리소 제공) 2025.03.22. photo@newsis.com](https://img1.newsis.com/2025/03/22/NISI20250322_0001798043_web.jpg?rnd=20250322121755)
[제주=뉴시스] 한라산 백록담이 22일 재개방됐다. 성판악탐방로의 진달래밭대피소에서 안전요원을 따라 백록담 정상을 향한 등산객들은 화창한 백록담분화구 절경을 즐겼다. 정상 표지석에는 기념사진을 찍으려는 등산객이 줄지어 서기도 했다. (사진=한라산국립공원관리소 제공) 2025.03.22. photo@newsis.com
◎공감언론 뉴시스 ijy788@newsis.com
Copyright © NEWSIS.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