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희대 비교문화연구소 '인문한국 3.0 지원사업' 선정
행정시대의 돌봄인문학 주제
"돌봄사회로의 전환 선도 목표"

경희대 비교문화연구소가 '2025년 인문한국(HK) 3.0 지원사업'에 선정됐다. (사진=경희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비교문화연구소는 연구 거점형으로 선정돼 '행정시대의 돌봄인문학 : 단절과 고립에서 상호 의존과 보살핌의 공생 네트워크로'를 아젠다(과제)로 연구에 나선다.
비교문화연구소는 고립의 확산, 기술 양극화, 기후 재난 등 사회 전반을 둘러싼 다층적인 위기에 돌봄을 사회 공동체 회복을 위한 시대적 과제로 인식하고, 기존 돌봄의 개념을 넘어 사회 및 기술, 생태를 포괄한 ‘행성돌봄’이라는 인문융합적 패러다임을 제안했다. 이를 토대로 '한국 사회의 돌봄 위기에 대한 응답' '지구손상과 기술불평등이 초래한 위기 대응' '돌봄연구의 전 지구적 관점 확보' '기존 돌봄 패러다임을 극복한 행성돌봄인문학 정립'이라는 세부 연구 목표를 세웠다.
연구는 2단계, 3개 영역으로 진행된다. 1단계에서는 '돌봄위기의 분석과 행성돌봄인문학 모색'을 주제로, 2단계에서는 '행성돌봄인문학 이론화와 실천모델 제시'를 주제로 연구한다. 각 단계는 사회, 기술, 생태 3개 영역으로 구분되며 전 세계 7개 지역의 사례를 분석한다.
비교문화연구소는 학제 간 융합 연구로 개별 학문 분야 별 진행됐던 연구의 지평을 확장할 계획이다. 또한 지역별 비교연구를 통해 돌봄연구를 활성화하고, 행성돌봄 연구를 통해 지구적 문제에 적극적으로 기여해 이론과 실천을 결합한 인문학 모델을 창출할 예정이다.
학문후속세대를 육성하기 위한 생애주기 연구 돌봄 프로그램도 운영한다. C2C(Care to Care)로 이름 붙여진 이 프로그램은 학부생부터 교수까지의 성장을 돕도록 설계됐다. 이를 통해 비교문화연구소는 연구 성과의 사회적 확산을 도모하고, 돌봄실천의 허브 연구소로 거듭날 계획이다.
이택광 비교문화연구소장은 "비교문화연구소는 행성돌봄 연구를 통해 돌봄사회로의 전환을 선도하기 위한 연구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soooo@newsis.com
Copyright © NEWSIS.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