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자도 못 갚는 기업·가계 속출…5대 은행 '깡통대출' 4조 돌파
5대 은행 무수익여신 지난해 4조원 돌파
기업 무수익여신 전년 대비 5862억원↑
가계 무수익여신도 2586억원 늘어나
![[평택=뉴시스] 김종택 기자 = 3일 경기도 평택시 포승읍 평택항 수출 야적장에 컨테이너들이 쌓여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일(현지시간) 한국에서 생산돼 미국으로 수입되는 모든 제품에 25%의 상호관세를 부과한다고 공식 발표 했다. 2025.04.03. jtk@newsis.com](https://img1.newsis.com/2025/04/03/NISI20250403_0020758970_web.jpg?rnd=20250403152127)
[평택=뉴시스] 김종택 기자 = 3일 경기도 평택시 포승읍 평택항 수출 야적장에 컨테이너들이 쌓여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일(현지시간) 한국에서 생산돼 미국으로 수입되는 모든 제품에 25%의 상호관세를 부과한다고 공식 발표 했다. 2025.04.03. jtk@newsis.com
[서울=뉴시스] 조현아 기자 = 대출을 내주고도 이자를 받지 못해 이른바 '깡통대출'로 분류되는 시중은행의 무수익여신이 4조원을 돌파한 것으로 나타났다.
8일 금융권에 따르면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은행 등 5대 은행의 지난해 말 무수익여신 잔액은 총 4조3736억원으로 전년 말(3조5208억원) 대비 8529억원(24.2%)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무수익여신은 원금은 커녕 이자조차 못갚는 대출을 의미한다. 90일(3개월) 이상 연체가 이뤄진 대출과 법정관리, 부도업체에 대한 대출로 이자 수익이 전혀 발생하지 않아 '깡통 대출'로 불린다.
은행별로는 농협은행이 1조1949억원으로 전년 대비 4267억원(55.5%) 늘어나 증가폭이 가장 컸다. 이로 인해 농협은행의 무수익여신 비율은 전년 0.26%에서 0.38%로 확대됐다.
이어 국민은행(9231억원)의 무수익여신이 전년 대비 23.1% 늘어 증가폭이 두 번째로 컸고 우리은행(6246억원)은 전년 대비 18.1%, 하나은행(9909억원)은 전년 대비 14.2%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신한은행은 전년 대비 5.6% 늘어난 6401억원으로 증가폭이 가장 적었다. 무수익여신 비율도 지난해 0.18%로 전년(0.19%)보다 줄었다.
5대 은행의 기업 무수익여신은 3조411억원으로 전년(2조4549억원) 대비 5862억원(23.8%) 급증했다. 지난해 글로벌 경기 불확실성 속 국내 경기 둔화세가 이어진 영향으로 풀이된다. 올해 미 상호관세 부과 등에 따른 국내 기업의 피해가 커질 경우 대출 부실화 위험도 가팔라질 것이라는 우려가 나온다.
![[서울=뉴시스] 고범준 기자 = 서울의 아파트 가격이 오름세를 보이면서 서울시가 강남권 핵심 지역인 '잠삼대청(잠실·삼성·대치·청담)'의 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을 해제해 시장이 들썩이고 있다. 이에 강남권 집값이 본격적으로 상승 기류를 타게 될지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20일 오후 서울 송파구 롯데월드타워 전망대 서울스카이에서 바라본 잠실동 아파트 모습. 2025.02.20. bjko@newsis.com](https://img1.newsis.com/2025/02/20/NISI20250220_0020707451_web.jpg?rnd=20250220144606)
[서울=뉴시스] 고범준 기자 = 서울의 아파트 가격이 오름세를 보이면서 서울시가 강남권 핵심 지역인 '잠삼대청(잠실·삼성·대치·청담)'의 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을 해제해 시장이 들썩이고 있다. 이에 강남권 집값이 본격적으로 상승 기류를 타게 될지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20일 오후 서울 송파구 롯데월드타워 전망대 서울스카이에서 바라본 잠실동 아파트 모습. 2025.02.20. bjko@newsis.com
가계 무수익여신은 1조2545억원으로 기업에 비해 규모는 적었지만, 1년 전(9959억원)보다 2586억원(26%) 늘어 높은 증가세를 보였다. 지난해 집값 상승에 대한 기대감 등으로 가계대출이 늘어나면서 가계 무수익여신도 함께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
은행들은 대출 부실화 위험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특히 경기 불황에 미 관세 조치로 취약 중소기업, 소상공인을 중심으로 타격을 입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는 만큼 기업대출 관리에 비상이 걸린 상황이다. 은행들은 기업대출 건전성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취약 업종별·차주별 관리 방안 마련에 나섰다. 대외 리스크에 직접 노출된 산업을 중점 관리하는 한편 기업 부실이 현실화되기 전 금융 지원 등에 나설 방침이다.
◎공감언론 뉴시스 hacho@newsis.com
Copyright © NEWSIS.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