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갯벌, 연간 승용차 11만대 온실가스 흡수…"블루카본 주목"

등록 2021.07.06 11:00:00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서울대 연구팀, 우리나라 갯벌 탄소흡수 역할·기능 규명

[인천=뉴시스] 이종철 기자 = 흐린 날씨속 간간히 비가 내리는 10일 오전 인천시 연수구 송도갯벌에서 백로들이 먹이를 찾고 있다. 2020.08.10. jc4321@newsis.com

[인천=뉴시스] 이종철 기자 = 흐린 날씨속 간간히 비가 내리는 10일 오전 인천시 연수구 송도갯벌에서 백로들이 먹이를 찾고 있다. 2020.08.10. [email protected]



[서울=뉴시스] 박성환 기자 = 우리나라 갯벌이 연간 승용차 11만대가 내뿜는 온실가스를 흡수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국가 차원에서 우리나라 갯벌의 탄소흡수 역할 및 기능을 세계 최초로 규명한 것으로, 갯벌을 비롯한 연안습지 생태계를 이르는 '블루카본(Blue Carbon)'이 기후변화의 대응책이 될 수 있다는 것으로 시사한다.

블루카본은 바다에서 자라는 염생식물·해조류·잘피 등 연안에 서식하는 식물생태계와 퇴적물을 포함한 갯벌 등이 흡수하는 탄소를 말한다.

6일 해양수산부(장관 문성혁)에 따르면, 서울대(김종성 교수) 연구팀이 지난 2017년부터 4년간 진행한 '우리나라 연안습지의 블루카본 국가목록(인벤토리) 구축'을 위한 연구에서 이 같은 사실을 확인했다.

해수부는 갯벌의 블루카본 흡수량 및 범위 등을 전반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2017년도부터 '블루카본 정보시스템 구축 및 평가관리기술 개발연구(주관 해양환경공단)'를 지원하고 있다.

김종성 교수 연구팀은 지난 4년간(2017~2020년) 전국 연안의 약 20개 갯벌에서 채취한 퇴적물을 대상으로 총유기탄소량과 유기탄소 침적률을 조사한 뒤 인공위성 촬영자료를 활용한 원격탐사 기법을 통해 전국 단위의 연안습지 내 블루카본과 온실가스 흡수량을 평가했다.

연구팀은 이를 통해 우리나라 갯벌이 약 1300만t의 탄소를 저장하고 있고, 연간 26만t의 이산화탄소를 흡수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이는 연간 승용차 11만 대가 내뿜는 수준으로, 막대한 양의 이산화탄소를 갯벌이 자연적으로 흡수한다는 것을 과학적으로 입증한 것이다.

특히 이번 연구는 그간 국제사회에서 연안습지 중 블루카본으로 주목받지 못한 갯벌의 이산화탄소 흡수 잠재량을 국가 차원에서 전국적으로 조사한 세계 최초의 연구다.

전 세계적으로 국가 단위에서 해초류, 염습지, 맹그로브(연안의 염분이 있는 곳이나 기수에서 자라는 나무나 관목 혹은 열대 해안의 식물 군락)를 대상으로 연안습지가 보유한 블루카본 잠재량 및 연간 온실가스 흡수량을 보고한 국가는 현재까지 미국과 호주밖에 없다.

2013년에 유엔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IPCC) 습지 분야의 온실가스 산정지침 작성을 주도한 캐나다 맥길 대학의 게일 쉬무라 교수 등 국제 학계에서도 해수부의 갯벌 블루카본에 대한 선도적 연구에 대해 큰 관심과 기대감을 피력해 왔다.

김종성 교수는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전 세계적 노력의 일환으로 우리나라가 갯벌의 역할을 세계 최초로 과학적으로 입증했다는 점이 고무적"이라며 "갯벌 블루카본이 탄소 감축원으로 인정받을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연구를 수행해 국제사회와 우리나라의 2050 탄소중립 목표 달성에 앞장서겠다"고 소감을 밝혔다.

해수부는 해양부문 탄소중립을 위해 갯벌, 염습지 등에서 지속적으로 갯벌복원사업을 추진하고, 2022년부터는 갯벌에 염생식물을 조성하는 사업을 신규로 추진해 이산화탄소 흡수원으로 갯벌 블루카본의 잠재력을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송상근 해수부 해양정책실장은 "이번 연구는 세계 5대 갯벌 중 하나인 한국 갯벌이 탄소흡수원으로서의 가치를 지녔다는 것을 확인한 것"이라며 "앞으로도 갯벌의 중요성을 국제사회에서 인정받아 한국 과학계가 국제 갯벌 블루카본 연구를 선도할 수 있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저명학술지인 '종합환경과학회지(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최신호에 실렸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