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이란, "우크라 '영토' 인정해"…드론 러시아 제공은 계속부인

등록 2022.10.21 19:03:32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키이우=AP/뉴시스] 17일(현지시간) 우크라이나 키이우 상공에서 공격 몇 초 전에 발견된 드론이 비행하고 있다. 2022.10.18.

[키이우=AP/뉴시스] 17일(현지시간) 우크라이나 키이우 상공에서 공격 몇 초 전에 발견된 드론이 비행하고 있다. 2022.10.18.

[서울=뉴시스] 김재영 기자 = 러시아와 무기 거래 및 방위 협력 의혹을 받고 있는 이란은 21일 외무장관을 통해 유럽연합(EU) 외교안보 대표에게 우크라이나의 '영토 보전' 권리를 존중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날 호세인 아미랍돌라히안 이란 외무장관은 호셉 보렐 외교위원장과의 통화에서 이란이 러시아에 우크라 강타의 드론을 제공했다는 의혹은 사실이 아니라고 부인했다.

이란 외무부가 트윗에 올린 통화록에서 이란 장관은 "우크라 전쟁에 관한 이란의 정책은 그 나라의 '영토 보전'을 존중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영토적 통합성으로 직역되는 영토 보전은 주권 국가에게 국경과 역외 영토를 지킬 수 있는 권리를 부여하는 국제법 원칙으로 유엔 헌장 2항에 명시되어 있다. 주권과 영토 보전(권리)는 상호 연관된 것이며 영토 보전은 영토를 다른나라로부터 지켜 보존하는 행위와 영토적 주권을 함꼐 뜻한다.

이어 이란 외무장관은 "이란은 우크라에서 싸우고 있는 양측 누구에게도 무기를 보내지 않고 있으며 전쟁이 끝나는 것과 사람들이 집을 버리고 피난 다니는 것이 끝나기를 원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우크라 내 전쟁행위가 외교를 통해 중지되는 데 이란도 노력하고 있으며 유럽연합은 (무기 제공 의혹) 사안을 현실적 접근법으로 보기를 바란다고 덧붙였다.

러시아는 우크라군의 역공이 본격화한 8월부터 이란제 자폭 드론을 대거 사용하고 있으며 이란은 수많은 증거에도 불구하고 제공 의혹을 일관되게 부인하고 있다.

미 백악관은 20일 이란 요원이 크름반도에 직접 가 러시아의 민간 인프라 드론 공격작전을 도왔다고 주장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