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북한, SLBM '북극성3' 탑재 3000t급 잠수함 연내 진수"

등록 2017.09.14 09:55:54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서울=뉴시스】미국 북한전문 웹사이트 38노스가 북한이 탄도미사일 탑재가 가능한 신포급 잠수함이 해상 기동훈련에 나선 정황이 포착됐으며 더 큰 잠수함 제작을 위한 것으로 보이는 건설작업도 꾸준하게 진행되고 있다고 19일(현지시간) 밝혔다. 2016.12.20. (사진=38노스 홈페이지)  photo@newsis.com

【서울=뉴시스】미국 북한전문 웹사이트 38노스가 북한이 탄도미사일 탑재가 가능한 신포급 잠수함이 해상 기동훈련에 나선 정황이 포착됐으며 더 큰 잠수함 제작을 위한 것으로 보이는 건설작업도 꾸준하게 진행되고 있다고 19일(현지시간) 밝혔다. 2016.12.20. (사진=38노스 홈페이지)  [email protected]


【서울=뉴시스】이재준 기자 = 북한은 잠수함 발사 탄도 미사일(SLBM) 발사관 2~3기를 장착하고 장시간 잠행 가능한 3000t급 신형 잠수함을 연내 진수할 전망이라고 도쿄신문이 14일 보도했다.

신문은 북한 관계 소식통을 인용해 북한이 이 같은 신형 잠수함을 개발, 현재 건조 작업이 80%까지 진행 중이라고 전했다.

북한 국방 부문 관계자 정보로는 신형 잠수함에는 발사 실험을 한 적이 없는 최신형 SLBM '북극성 3'을 탑재할 가능성이 크다고 한다.

신형 잠수함의 건조가 끝나면 북한은 발사 징후를 탐지하기가 어려운 SLBM의 실전 배치를 본격화, 핵 위협이 한층 커질 것이 확실하다고 신문은 지적했다.

북한이 지금 보유하는 SLBM 탑재 잠수함은 발사관이 1기뿐이고 수심이 얕은 해역에서 며칠간만 운영할 수밖에 없는 신포급 잠수함(2000t급)이 유일하다.

관계자에 따르면 완성을 앞둔 북한 잠수함은 3000t급으로 연내 진수식을 갖기 위해 건조를 서두르고 있으며 장착 엔진은 평안북도 룡천의 북중기계공장이 개발 제조했다.

동력 시스템은 부상하지 않고 연속적으로 항행이 가능한 AIP(공기불요체계) 기술을 채용했다는 정보이다.

관계 소식통은 북한 노동당 위원장 김정은이 작년 6월 중거리 탄도 미사일 무수단(사정 2500~4000km) 발사 직후 열린 과학자 공로 연회에서 군수공업 담당 간부에 공산정권 수립 70주년을 맞는 2018년 9월9일까지 신형 SLBM 잠수함을 건조하라고 명령했다고 소개했다.

소식통은 신형 잠수함 건조공정이 80% 정도 마친 것은 예정보다 빠른 진도라고 설명했다.

북한은 지난해 8월 발사 움직임을 탐지하기 힘든 SLBM '북극성(사정 2000km 이상)'의 실험에 성공했다.

더욱이 북한이 북극성3 개발을 진행하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평양=북한조선중앙방송·AP/뉴시스】북한 최고지도자 김정은이 23일 북한국방과학연구원 화학재료연구소를 시찰하고 있다. 김정은의 뒷편 벽에 북한의 새 미사일 2종으로 보이는 미사일들의 개념도가 걸려 있다. 하나는 북극성 3호가 확실하며 다른 하나는 사진 질이 좋지 않아 식별이 어렵긴 하지만 화성 13호 또는 화성 11호인 것으로 추측된다. 북극성 3호는 이제까지 알려지지 않은 북한의 새로운 미사일이다. 이 사진은 북한조선중앙방송이 방영한 동영상을 캡처한 것이다. 2017.8.23

【평양=북한조선중앙방송·AP/뉴시스】북한 최고지도자 김정은이 23일 북한국방과학연구원 화학재료연구소를 시찰하고 있다. 김정은의 뒷편 벽에 북한의 새 미사일 2종으로 보이는 미사일들의 개념도가 걸려 있다. 하나는 북극성 3호가 확실하며 다른 하나는 사진 질이 좋지 않아 식별이 어렵긴 하지만 화성 13호 또는 화성 11호인 것으로 추측된다. 북극성 3호는 이제까지 알려지지 않은 북한의 새로운 미사일이다. 이 사진은 북한조선중앙방송이 방영한 동영상을 캡처한 것이다. 2017.8.23

  한미일 등은 그간 북극성3의 발사 실험을 경계해왔다.

미국 존스홉킨스 대학 북한 분석 사이트 38노스는 2016년 9월 위성사진을 토대로 북한 동북부 신포에 있는 조선소에서 새로운 잠수함을 건조할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한 바 있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