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초점]'친환경車 메카', '한국의 슈투트' 광주의 꿈 실현되나

등록 2018.06.01 13:19:23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현대차, 광주시에 투자 의향 밝혀, 광주형 일자리 첫 성과

1조원 투자, 일자리 1만2000개 창출, 연간 10만여대 생산

구체적인 비전, 적자 발생시 책임론, 노조 반발 등은 과제

【광주=뉴시스】류형근 기자 = 윤장현 광주시장이 1일 오전 광주 서구 광주시청 5층 브리핑룸에서 "현대자동차가 광주시가 추진하고 있는 신규 자동차 공장에 투자한다"는 내용의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2018.06.01. hgryu77@newsis.com

【광주=뉴시스】류형근 기자 = 윤장현 광주시장이 1일 오전 광주 서구 광주시청 5층 브리핑룸에서 "현대자동차가 광주시가 추진하고 있는 신규 자동차 공장에 투자한다"는 내용의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2018.06.01. [email protected]

【광주=뉴시스】송창헌 기자 = 글로벌기업인 현대자동차가 완성차 광주공장 건립에 적극 투자키로 해 이른바 '광주형 일자리'의 첫 성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국내 자동차 생산능력 1위를 자랑하는 현대차가 광주에 매머드급 자금을 쏟아붓기로 해 광주시가 꿈꿔온 '친환경차 메카' '한국의 슈투트가르트'에도 한 발 짝 더 다가설 수 있게 됐다. 슈투트가르트는 메르세데스 벤츠와 포르쉐의 본고장이다.

 더욱이 이번 투자는 휘발유 차량의 60여 년 지배 체제에 도전장을 낸 '미래 블루오션', 전기차 분야 등 친환경차에 대한 집중 투자가 주요 골자여서 광주의 지속가능한 미래 먹거리로 기대감을 더욱 키우고 있다.

 물량 감소에 따른 노조의 반발과 투자 방식, 적자 발생 시 책임 소재 등은 풀어야 할 선결과제로 대두되고 있다.

 ◇현대차, 투자 의향서 제출…광주시 "협상 개시"

 1일 현재까지 알려진 현대차의 투자 규모는 1조 원 안팎, 직·간접 고용 인원은 1만∼1만2000명에 현대차 브랜드가 찍힌 전기차 등 완성차 연간 10만대 생산으로, 액면 그대로 매머드급 투자다.

 광주시가 최대 지분을 확보해 경영을 주도하고, 생산은 위탁생산 방식으로 신설 법인에 맡기되, 현대차는 연구개발과 설계, 판매, 투자 자문 등의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 공장 명칭도 '현대차 광주공장'이 아니라 '광주시 자동차공장'으로 예상되고 있다.

 광주 빛그린산단에 들어설 공장은 현대차 계열이 아닌 광주시가 추도하는 사업체로 시는 최대 지분을 확보해 대주주로 독립 신설 법인을 이끈다는 복안이다. 차종은 '경제성을 갖춘 차종으로 신규 개발하고, 생산 규모는 시장 수요를 따져본 뒤 합리적 수준에서 결정하겠다'는 게 현대차의 기본적 입장이다.

 시는 즉각 협상에 돌입했다. 투자의향서를 면밀히 검토하는 한편 관계기관과 전문가를 중심으로 투자협상단을 꾸려 가능한 빨리 실질 투자를 이끌어낸다는 방침이다. 법인 설립을 위해 부품업체, 지역 기업 등과도 물밑 접촉을 강화하고 있다.
[초점]'친환경車 메카', '한국의 슈투트' 광주의 꿈 실현되나

◇광주형 일자리 첫 성과…'광주의 꿈' 성큼
 
 우선, 산업구조가 척박한 광주에서 '메이드 인 광주' 전기차 완성품이 생산된다는 측면에서 지역 경제에는 더 없는 단비가 되고, 청년과 퇴직 숙련공들의 일자리 창출을 통한 실업난 해소에도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22년만에 자동차 공장이 신설된다는 점도 상징적이다.

 특히, 광주시가 민선 6기 윤장현 시장 체제에서 사활을 걸고 추진해온 '광주형 일자리 프로젝트'의 실질적 첫 성과라는 측면에서 파급 효과도 적잖을 것으로 예상된다.

 광주형 일자리는 노(勞)와 사(使), 행정과 시민사회가 함께 사회통합형 일자리를 만들어 '기업하기 좋고 일하기 좋은 환경'을 만들자는 게 기본 취지다. 사회적 대타협을 토대로 임금을 기존 대기업의 절반 수준으로 하는 노동조건, 생산방식 등을 정하고 경영에 있어 공동책임을 지는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핵심이다. 독일 슈투트가르트 모델, 연봉 4000만원 일자리 등으로 불리기도 했다.

 윤장현 시장은 "광주형 일자리가 대한민국 일자리 창출의 마중물이 되길 희망하고, (현대차 투자는) 새로운 도전의 시작"이라고 밝혔다. 지역 내에선 "자동차 르네상스를 꿈꾸는 광주시에 현대차가 백기사로 나섰다"는 의견도 나오고 있다.

 광주 자동차 생산에 양적 팽창도 기대된다. 광주의 자동차 생산능력은 연간 62만대로 울산 150만대에 이어 국내 2위다. 경기도 부평(GM), 소하리(기아), 아산(현대), 부산(르노 삼성)보다는 두 배 가량 많다. 광주지역 제조업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42%에 이른다. 해마다 내수용, 수출용 합쳐 50만대 안팎을 생산해 울산, 화성과 더불어 '빅3'다. 여기에 전기차를 중심으로 한 완성차 공장이 더해지면 생산 다각화와 양적 성장이 동시에 기대된다.

 전기차 생산과 보급에 주력하고 있는 대구, 전북, 제주, 울산과의 경쟁에서도 차별화된 우위를 점할 수 있고 적정임금과 각종 세제 혜택 등으로 도요타, 포드, GM 등 수입차와의 글로벌 경쟁에서도 경쟁력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광주=뉴시스】송창헌 기자 = 지난해 10월 광주시청에서 열린 지역노사민정 광주형 일자리 성공기원 정책협의회에서 홍영표 당시 국회 환경노동위원장이 발언하고 있다. 2017.10.19 (사진=광주시 제공) photo@newsis.com

【광주=뉴시스】송창헌 기자 = 지난해 10월 광주시청에서 열린 지역노사민정 광주형 일자리 성공기원 정책협의회에서 홍영표 당시 국회 환경노동위원장이 발언하고 있다. 2017.10.19 (사진=광주시 제공) [email protected]

◇운영 방식, 구체적 로드맵, 노조 반발 등 과제

 당장 현대차가 최종적으로 얼마를 투자할지, 위탁투자 유형은 어떤 식으로 정할 지 세부 로드맵이 시급하다. 경우에 따라서는 계열 회사와의 교통정리도 필요할 수 있다.

 광주시의 채무규모가 1조원에 육박한 가운데 대주주로 참여할 만큼 시의 재정적 여유가 있는지, 법률적 문제는 없는건지 꼼꼼히 살펴봐야 하고, 손실이나 적자 발생 시 1차적 책임도 광주시에게 떠넘겨질 공산이 크다.

 또 적정 평균임금 수준을 어느 정도로 정할지도 민감한 현안이다. 같은 회사 직원들과의 임금 격차, 즉 '동일 노동, 동일 임금' 기준이 깨질 경우 예상되는 노조 반발과 물량 감소가 현실화될 경우 우려되는 기존 현대맨들의 집단 저항도 선결과제다.

 업계 한 관계자는 "기존 임금을 절반 수준으로 낮춰 대규모 신규 채용이 이뤄질 경우 일자리 나눔에도 도움이 되지만 임금 격차에 따른 부작용과 불편함은 어떤 식으로든 나올 수 있다"고 우려감을 보였다.

 전기차 공공 급속 충전시스템 등 인프라 구축도 고민해야 할 대목이다.

 이상배 광주시 전략산업본부장은 "이제 막 협상이 시작됐고, 합작법인의 설립방식과 투자 규모, 생산 차종과 규모, 임금수준 등은 모두 정해진 바 없고, 추후 세밀한 논의를 거쳐 하나 둘 밑그림을 그려 나갈 계획"이라며 "중요한 건 노사합의 뿐만 아니라 지역 사회와 지방 정부가 힘을 보태 기업하기 좋은 환경, 일하기 좋은 기업을 만드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