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식지 살려 10년내 멸종위기 25종 복원한다
10년간 개체수 증식 초점 '생물보전 종합계획'
서식지 조사·연구 거쳐 밀렵 등 위협요인 감시
컨트롤타워 '멸종위기종복원센터' 31일 개원
【거창=뉴시스】정경규 기자 = 지리산 반달가슴곰.2018.05.11.(사진=거창군 제공) [email protected]
환경부는 이런 내용의 '멸종위기 야생생물 보전 종합계획 2018~2027'을 수립했다고 30일 밝혔다.
2006~2017년 '멸종위기 야생생물 증식·복원 종합계획'이 멸종위기종 개체수를 늘리는 데 초점을 맞췄다면, 이번 계획은 '멸종위기 야생생물의 안전한 서식처, 생명의 한반도'를 비전으로 서식지의 조화로운 연결·복원을 통해 야생생물 25종 복원을 추진한다는 점이 다르다.
우선 환경부는 멸종위기종 267종(1급 60종, 2급 207종) 가운데 64종을 '복원 대상종'으로 선정하고 25종을 '우선 복원 대상종'으로 결정했다.
25종 우선 복원 대상은 복원 가능성이 큰 생물들이다. 반달가슴곰, 산양, 여우, 수달, 저어새, 황새, 비바리뱀, 수원청개구리, 여울마자, 모래주사, 나도풍란, 만년콩(이상 1급), 무산쇠족제비, 따오기, 양비둘기, 남생이, 금개구리, 큰줄납자루, 한강납줄개, 소똥구리, 참달팽이, 가는동자꽃, 서울개발나물, 신안새우난초, 한라송이풀(이상 2급) 등이다.
이들을 보전하기 위해 서식지부터 보전하는 게 이번 계획의 특징이다.
조사·평가 결과 개선이 필요한 산줄기·하천·습지 등 멸종위기종 서식지는 생태축 연결·복원 사업 등 관련 사업이 적용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전국 멸종위기종 서식지를 사전 평가한다. 이때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라 변동가능성을 고려하고 외래종, 오염물질, 인간간섭, 올무, 밀렵 등 위협요인 감시를 강화한다.
도로관리청 등이 생태통로를 설치하려면 환경부와 사전협의를 거쳐야 하고 야생동물 찻길 사고 현황을 정보화해 동물이 자주 다니는 길목에 생태통로, 유도방벽 등 저감대책을 확대한다.
【서울=뉴시스】멸종위기 야생생물 복원대상 64종과 우선 복원대상 25종. 2018.10.30.(표 = 환경부 제공)[email protected]
센터는 또 축구장 358개 규모인 255만㎡ 부지에 총면적 1만6029㎡ 크기의 연구·증식·복원 시설 등을 갖추고 전문가까지 양성하는 멸종위기종 컨트롤타워 역할을 맡는다. 이에 따라 국립생물자원관이 수행하던 멸종위기종 조사·연구 및 정보관리와 국립공원관리공단의 반달가슴곰 등 주요 종 복원 사업 등은 2020년까지 센터로 이관한다.
이후 국립공원관리공단은 야생적응훈련, 야생방사, 관찰(모니터링) 등 서식지와 현장 관리 기능을 맡는다.
이 같은 서식지와 종 복원 사업 과정에서 국민들의 체감도를 높이기 위해 마을 멸종위기종은 관·산·학 협력으로 복원하면서 해당 종을 마을 상징화해 기업과 지역주민들의 인식 향상을 돕는다.
북한과는 남북 비무장지대(DMZ) 생물상 조사, 호랑이 서식환경 보호, 대륙사슴·따오기·반달가슴곰 교류 등 한반도 위기종 보전 협력사업을 논의할 계획이다. 전문가와 시민단체가 참여하는 '멸종위기종 보전 정책위원회'를 운영해 종 보전 정책에 대한 사회적 가치와 전문성도 반영한다.
이번 종합계획은 10년 단위로 멸종위기 야생생물 보전 대책 이행 계획을 세우도록 한 '야생생물 보호 및 관리에 관한 법률'에 따른 조치다.
정종선 환경부 자연보전정책관은 "반달가슴곰 복원을 시작으로 환경부가 종 보전 정책을 추진한지 15년이 지나고 있다"며 "앞으로 10년간 서식지 개선과 종 복원을 위한 세부과제들을 잘 이행해서 한반도의 많은 생물이 비무장지대(DMZ)에서 만나고 백두대간 생태축을 따라 안전하게 남북을 서로 오가며 공존할 수 있는 기반을 만들겠다"고 말했다.
[email protected]
Copyright © NEWSIS.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