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해 NLL 부실 경비 논란에…군 "북 목선 계속 추적"(종합)
북한 주민 4명 동해상으로 들어와 귀순 표시
'어민이 먼저 신고' 논란에 "우리도 계속 추적"
"4시경 NLL 이북서 특이동향 감지하고 초계기 출격"
[서울=뉴시스] 합동참모본부와 해양경찰 등에 따르면 24일 오전 북한 주민 4명이 소형 목선을 타고 동해 북방한계선(NLL)을 넘어 속초 동방 약 11㎞ 해상에서 포착돼 귀순 의사를 밝혔다. (그래픽=안지혜 기자) [email protected]
[서울=뉴시스] 남빛나라 기자 = 북한 주민 4명이 24일 소형 목선을 타고 강원도 속초 인근 해상으로 들어와 귀순 의사를 표시한 것과 관련해 부실 감시·경계 논란이 일었다. 군 당국은 이례적으로 시간대별 대응 조치를 공개하며 해명에 나섰다.
이날 합동참모본부(합참) 관계자는 기자들과 만나 "중간에 특별히 놓치거나 한 부분 없이 작전은 정상적으로 진행됐다"고 밝혔다. 특히 2019년 6월 북한 주민들이 탄 목선이 아무런 제지 없이 해상·해안 경계망을 뚫고 동해 북방한계선(NLL)을 넘어 삼척항에 입항했던 이른바 '대기 귀순' 때와는 다르다고 강조했다.
관계자에 따르면 오전 4시 전부터 해군 함정 레이더를 통해 NLL 북쪽 외해에서 특이 징후가 탐지됐다. 해당 특이 동향이 이날 귀순 사태와 연관 있는지는 확인되지 않았다.
5시께 NLL 일대로 긴급 출격한 해상초계기 P-3와 함정들이 전반적인 탐색 작전을 진행했다.
5시30분 육군 레이더는 10노티컬마일(18.5㎞) 떨어진 해상에서 느린 속도로 대각선을 그리며 남쪽을 향해 내려오는 미상의 물체(목선)를 최초 탐지하고 해군과 상황을 공유했다.
합참 관계자는 보안상 대중에 공개할 수는 없지만 기사 작성 시 이해를 돕기 위해서라며 레이더 화면 사진을 기자들에게 직접 보여주기도 했다. 이동 경로에 따라 지도상에 작은 점들이 연이어 찍힌 모습이었다. '미상 물체'보다 큰 의미를 부여하고 당장 조치에 나서긴 이른 시점이었다고 적극적으로 설명에 나선 것이다.
이날 들어온 목선은 7.5m 크기로 목선 중에서도 작은 편이라 탐지가 쉽지 않았다고 한다. 2019년 삼척항에 정박했던 목선은 10m 정도였다.
위치표시(V-PASS·브이패스)를 탑재한 통상적인 선박과 달리 브이패스가 탐지되지 않으면 의심 선박으로 추적하는데, 널빤지 등 부유물일 때도 잦다고 관계자는 설명했다.
6시30분 이 물체가 10㎞ 내외 범위로 들어와 열영상감시장비(TOD)에도 잡혔으며, 6시59분 TOD상에서 선박 형태가 식별됐다.
이에 따라 7시3분 레이더 기지는 가까이에서 추가로 확인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해 표적번호를 부여했다.
군 작전과 별개로 7시10분께 조업 중이던 어민이 '이상한 배가 있다'고 신고해 해경이 출동했다. 신고 사실은 군에도 전파됐다.
먼저 도착한 해경이 해상에서 배에 탄 북한 주민 4명과 접촉했다. 뒤이어 8시가 조금 넘어 해군도 현장에 도달했다. 해경 순찰정은 목선을 예인했으며, 해군 고속정은 북한 주민들을 태워 이동한 뒤 정부 합동정보조사팀으로 넘겼다.
일각에선 NLL이 허술하게 뚫린 것 아니냐고 우려하고 있다. 군이 계속 추적하고 있긴 했지만 표적의 정체를 규정하지 못한 상황에서 어선이 먼저 북한 목선임을 확인했단 점에서다.
특히 레이더상 이상 물체가 포착된 이후 실제로 목선에 접근하기 까지 두시간 반이나 걸렸다는 지적에 관계자는 "바다에 수많은 표적이 있다. 어느 미상 표적이 왔다고 해서 출동하는 건 물리적 제한이 있어 확인될 때까지 추적한 것"이라고 답했다.
또 "동해 NLL은 동서 400여㎞로, 수척의 함정으로는 소형 표적을 포착하는 데 상당한 어려움이 있다"고 말했다.
2019년 삼척항 귀순 사태 이후 시스템이 바뀐 부분이 있냐는 질문에 관계자는 "가장 중요한 게 레이더 식별인데, 교육을 통해 레이더 운용 수준을 높여왔다"고 밝혔다.
아울러 당시엔 새벽 4시까지 TOD를 운용하다가 꺼버린 이후 해당 목선이 삼척항으로 들어왔지만, 현재는 취약 시간에도 집중 운용하는 체계라고 덧붙였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Copyright © NEWSIS.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