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이커머스 생태계 교란" 논란…정부도 나섰다 [中알리·테무 공습③]
韓업계 "각종 규제로 공정 경쟁 불가" 의견 전달
소비자원 "자율협약체에 들어오게 할 수 있어"
[서울=뉴시스] 알리익스프레스. (사진=뉴시스 DB). [email protected]
[서울=뉴시스] 이준호 기자 = 알리익스프레스와 테무 등 초저가에 빠른 배송으로 무장한 중국 이커머스 플랫폼 기업들이 한국 시장에 뿌리를 내리고 급성장을 이어가는 가운데, 정부와 국내 주요 이커머스 업체들이 대책 마련에 나섰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지난 14일 서울 대한상공회의소에서 '해외플랫폼 진출에 따른 국내 온라인시장 영향 간담회'를 열기도 했다.
이 자리에는 쿠팡과 11번가, G마켓, SSG닷컴 등 국내 이커머스 업계 실무진이 참석했다.
이들은 간담회에서 각종 규제로 인해 해외 이커머스 업체와 공정 경쟁이 불가하다고 사실상 '기울어진 운동장'이라고 입을 모은 것으로 전해졌다.
이날 발제를 맡은 정연승 단국대 경영학과 교수는 "관세와 부과세부터 상품 KC인증까지 국내 사업자와 해외 사업자가 동등한 규제를 받을 수 있도록 개선 방안을 마려해야 한다"며 "소비자 피해가 발생했을 때 이를 처리할 수 있는 법적인 근거 역시 필요한 상황"이라고 전했다.
그는 이 자리에서 국내 중소 제조사의 브랜드 역량 강화, 개인 판매자의 역량 강화 방안에 대해서도 제시했다.
정 교수는 "우리가 중국 제조업체와 비교해 원가 경쟁력이 약한데, 원가를 극복할 수 있도록 품질이나 브랜드를 강화해 나가야 한다"며 "판매자들은 가격 중심 영업을 하고 있는데 제품 소싱이나 마케팅을 강화해야 항후 시장에서 생존이 가능하다"고 강조했다.
[서울=뉴시스] 김민성 기자 = 14일 오후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 소회의실2에서 '유통업계 간담회'가 열렸다. 2024.02.14 *재판매 및 DB 금지
한국소비자원도 자율협약체 가동을 언급하며 국내 이커머스 업계에 힘을 보탰다.
윤수현 한국소비자원 원장은 지난 16일 오전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열린 출입기자 간담회에서 중국 온라인쇼핑 플랫폼의 '짝퉁 논란' 관련 "해외 플랫폼에 대해서는 소비자원이 직접 규제할 수 있는 권한이 없다"며 "소비자원에서 할 수 있는 것은 자율협약체제에 들어오게 할 수 있다"고 말했다.
한편, 알리익스프레스는 2018년 한국 시장에 처음 발을 내디뎠다.
이후 한국 전용 고객센터를 오픈한 뒤 지난해 3월에는 1000억원을 들여 마케팅과 물류 서비스를 강화했다. 올해 초 국내에 물류센터까지 세우게 되면 그간 약점으로 꼽혔던 배송 기한도 대폭 줄어들 전망이다.
이미 알리익스프레스는 다수의 국내 이용자를 확보한 상태다. 앱·리테일 분석 서비스 와이즈앱·리테일·굿즈에 따르면 지난해 8월 알리익스프레스 앱의 국내 사용자 수는 551만명으로 전년 동월(227만명)과 비교해 약 2배 늘었다.
중국 전자상거래 플랫폼 핀둬둬가 만든 쇼핑앱 테무(Temu)도 미국과 유럽, 일본을 거쳐 지난해 7월 한국에 본격 진출했다.
이후 "억만장자처럼 쇼핑하세요"라는 슬로건을 내세워 국내에서 공격적인 마케팅을 진행했다.
그 결과 지난해 9월에는 국내 사용자가 170만명으로 늘면서 앱 출시 한 달 만에 국내 사용자가 3.2배 증가하기도 했다.
이들 기업의 가장 큰 장점은 초저가 상품을 판매하고 있다는 점이다. 중국에서 생산된 물품을 직접 판매하고 배송까지 진행해 가격 경쟁력에서 우위를 점하고 있다.
중국 이커머스 기업의 인기가 날로 높아지면서 국내 이커머스 시장의 재편은 피할 수 없는 흐름이 됐다.
한 이커머스 업계 관계자는 "중국 자본이 국내에 들어오게 되면 국내 이커머스 업체들을 중심으로 생존의 고민은 더욱 깊어질 것으로 보인다"며 "결국 살아남지 못한 기업은 인수·합병을 하는 등 구조조정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다만 일각에선 가품(짝퉁) 논란과 저품질 문제가 꼬리표처럼 따라다니며 국내 시장 점유율 확보에 어려움을 겪을 것이라는 분석도 내놓고 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Copyright © NEWSIS.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