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자수가 교양? 여성 혁명"…박혜성 학예연구사 "근현대 자수 담론 확장됐으면"

등록 2024.04.30 15:17:54수정 2024.05.30 22:29:05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국립현대미술관 최초 근현대 자수 역사 조명

덕수궁미술관 '한국 근현대 자수: 태양을 잡으려는 새들' 개최

[서울=뉴시스] 이영환 기자 = 30일 오전 서울 중구 국립현대미술관 덕수궁관에서 열린 '한국 근현대 자수: 태양을 잡으려는 새들' 언론공개회에 숙명여고보생들이 공동 제작한 작품인 '등꽃 아래 공작'이 공개됐다. 2024.04.30. 20hwan@newsis.com

[서울=뉴시스] 이영환 기자 = 30일 오전 서울 중구 국립현대미술관 덕수궁관에서 열린 '한국 근현대 자수: 태양을 잡으려는 새들' 언론공개회에 숙명여고보생들이 공동 제작한 작품인 '등꽃 아래 공작'이 공개됐다. 2024.04.30. [email protected]



[서울=뉴시스] 박현주 미술전문 기자 = 미안하다 몰라봤다. '자수'는 '여성 혁명'이었다는 것을.

그 옛날 있는 집 여식의 '교양 수업'처럼 고리타분하게 느껴졌던 자수가 AI시대 새로운 부활을 예고하고 있다.

국립현대미술관 박혜성 학예연구사 덕분이다. 미술이 아닌 자수를 덕수궁미술관에 보란 듯이 전시한 그는 "취미생활이자 일상 용품이라는 편견과 폄훼로 예술적인 작품들을 남기고도 수많은 자수인들이 무명으로 사라지고 있는 것이 안타깝다"고 했다.

사실 20세기 이후 우리나라에는 자수가 역사를 가지고 있는 않은 것처럼 근현대 자수는 낯설다. 작가 생전 본인의 이름을 내건 자수박물관을 개관한 박을복(1915~2013)정도를 제외하면 자수 작가는 일찍이 일본 유학을 다녀왔건, 조선미술전람회나 대한민국미술전람회에서 수상했건, 대학에서 학생들을 가르쳤건 미술계예서 알려진 경우가 드물다.
[사진=박현주미술전문기자] 박혜성 학예연구사가 한국 근현대 자수전에 나온 작품들을 설명하고 있다.2024.04.20. hyun@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사진=박현주미술전문기자] 박혜성 학예연구사가 한국 근현대 자수전에 나온 작품들을 설명하고 있다.2024.04.20. [email protected] *재판매 및 DB 금지



"이는 자수가 기존의 밑그림에 여성들의 반복적인 손동작만으로 만들어져 창의성도, 개성도 부족하다는 인식, 즉 개성, 독창성, 천재성 등을 중시한 모더니즘 미학이 만들어낸 선입견 및 가치절하와 무관하지 않아요."

이번 전시를 준비하면서 박혜성 학예연구사는 시인 에밀리 디킨슨의 특히 그녀의 짧은 시 "마녀의 마법에는 계보가 없다"가 떠올랐다고 했다.

"19세기 엄숙한 청교도 및 가부장적 사회에서 은둔의 삶을 살았던 그녀는 주변의 일상과 자연을 시에 담에 사랑, 죽음, 상실, 영원, 아름다움, 글쓰기와 읽기의 즐거움을 노래했다. 이번 전시에서 만나게 되는 20세기 한국의 자수 작가들 역시 근대화=서구화, 식민, 전쟁, 분단 산업화 등 특수한 사회 조건 아래서 혹은 조건에 맞서 자신들의 예술에 대한 열정, 사랑과 소망 절망과 고통, 저항 등을 한 땀 한 땀 자수에 담았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5월1일부터 덕수궁미술관에서 펼치는 한국 근현대 자수의 흐름을 입체적으로 구성한 '한국 근현대 자수: 태양을 잡으려는 새들'전시는 반전이다. '이 시대에 웬 자수?'라거나 '미술관에서 왜 자수전?'이라는 어설픈 의혹을 타파한다.
[서울=뉴시스] 이영환 기자 = 박혜성 국립현대미술관 학예연구사가 30일 오전 서울 중구 국립현대미술관 덕수궁관에서 열린 '한국 근현대 자수: 태양을 잡으려는 새들' 언론공개회에서 비단에 자수를 놓은 보료에 대해 설명 하고 있다. 2024.04.30. 20hwan@newsis.com

[서울=뉴시스] 이영환 기자 = 박혜성 국립현대미술관 학예연구사가 30일 오전 서울 중구 국립현대미술관 덕수궁관에서 열린 '한국 근현대 자수: 태양을 잡으려는 새들' 언론공개회에서 비단에 자수를 놓은 보료에 대해 설명 하고 있다. 2024.04.30. [email protected]



19세기 말 이후 동시대에 이르기까지 급변하는 시대 상황과 미술계의 흐름 속에서 역동적으로 변화해 온 한국 자수의 다양한 면모를 소개한다. 미국 메트로폴리탄미술관(1점)과 필드 자연사박물관(3점), 일본민예관(4점), 국립중앙박물관, 국립고궁박물관 등 국내외 60여 기관과 개인이 소장한 근현대 자수, 회화, 자수본 170여 점, 아카이브 50여 점이 출품됐다.

"전시는 실과 바늘을 매개로 세상과 소통한 여성 작가들의 마법에 경지에 다다른 바느질을 보여준다."
[서울=뉴시스] 이영환 기자 = 30일 오전 서울 중구 국립현대미술관 덕수궁관에서 열린 '한국 근현대 자수: 태양을 잡으려는 새들' 언론공개회에서 한 관계자가 최유현 작가의 팔상도를 감상하고 있다. 2024.04.30. 20hwan@newsis.com

[서울=뉴시스] 이영환 기자 = 30일 오전 서울 중구 국립현대미술관 덕수궁관에서 열린 '한국 근현대 자수: 태양을 잡으려는 새들' 언론공개회에서 한 관계자가 최유현 작가의 팔상도를 감상하고 있다. 2024.04.30. [email protected]


한국 자수는 동아시아 국가들과의 교류 속에서 시대마다 독특하고 아름다운 문화를 꽃피웠다. 현전하는 고대, 중세 유물의 수가 극히 한정적인 탓에 흔히 ‘전통자수’로 불리는 작품의 대부분은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에 조선 시대 여성들이 제작하고 향유한 규방 공예로서의 자수다. 하지만 19세기 이후 자수의 변화상은 개항, 근대화 및 서구화, 전쟁, 분단, 산업화, 세계화 등 격변의 시기를 거치면서 주류 미술사의 관심 밖에 놓여왔다.

생활 자수, 복식 자수, 병풍 등 조선 시대 규방 공예로서 탈피한 건 일본 유학파들이 생기면서다. 일제강점기 한국 부잣집 여성들은 일본 ‘여자미술전문학교(현 여자미술대학, 이하 조시비(女子美))’에 유학하여 자수를 전공 하는 게 최고의 학력이었다. 1932년 제11회 조선미술전람회부터 공예부가 신설되면서 공예품이 ‘미술공예’로 거듭나는 데 중요한 발판이 마련되었다. 조시비 출신인 윤봉숙의 작품 '오동나무와 봉황'(1938)이 '회화 같은 자수'가 등장했다.
[서울=뉴시스] 이영환 기자 = 30일 오전 서울 중구 국립현대미술관 덕수궁관에서 열린 '한국 근현대 자수: 태양을 잡으려는 새들' 언론공개회에서 한 관계자가 최유현 작가의 태양을 잡으려는 새들을 감상하고 있다. 2024.04.30. 20hwan@newsis.com

[서울=뉴시스] 이영환 기자 = 30일 오전 서울 중구 국립현대미술관 덕수궁관에서 열린 '한국 근현대 자수: 태양을 잡으려는 새들' 언론공개회에서 한 관계자가 최유현 작가의 태양을 잡으려는 새들을 감상하고 있다. 2024.04.30. [email protected]



해방 직후 이화여자대학교에 국내서는 처음으로 자수과가 설치되면서 부흥기를 맞았다. 1950년대 이후 조시비와 이화여자대학교 출신 작가들의 다양한 활동과 작업은 한국 자수가 조시비 자수의 영향에서 벗어나는 과정의 전모를 보여준다.
독학으로 예술 자수의 경지를 보이는 송정인의 '작품 A'(1965), 김인숙의 '계절 Ⅱ'(1975) 등은 추상화 같은 자수화의 혁신을 이룬다.

자수는 규방에서 벗어나 여성의 자립기반이 됐다. "1960년대 당시에는 미술품보다 자수가 인기였다 부업으로 자수를 제작했고, 수출용으로 많이 만들었고 혼수로도 수요가 많았다. 자수를 잘 놓는 여성들은 집을 몇 채씩 살 정도로 돈도 많이 벌었다. 하지만 1980년대 기계 자수가 등장하면서 전통 자수는 사양길로 접어들었다."


국립현대미술관, 한국 근현대 자수: 태양을 잡으려는 새들 전시 *재판매 및 DB 금지

국립현대미술관, 한국 근현대 자수: 태양을 잡으려는 새들 전시 *재판매 및 DB 금지



옛날 여성의 취미정도로 취급받은 자수를 공예 예술의 반열에 올려놓은 이는 1963년 자신의 이름을 내건 수공예학원을 설립한 한상수 씨로, 그는 1984년 국가무형문화재 제 80호 자수장으로 지정되었다. 문화재보호법이 제정되고 유 무형의 문화재가 국가적 보호 대상으로 규정된 지 20여 년 만의 일이다. 그로부터 12년 후인 1996년 최유현이 두번째 자수장으로 지정되었다.

박혜성 학예연구사는 "한상수(불수)와 최유현(불화)의 전방위적인 활동과 이들의 스승이 일제 강점기에 일본에서 자수를 배운 신여성이었다는 사실을 상기하면, 스승으로부터 전통 자수의 원형을 전수 받고 그대로 보전했다기보다 직접 전통을 찾아내고 전통 자수의 새로운 전형을 만들어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라며 "산업 공예로만 인식됐다가 이 분들의 노력으로 보존해야 할 전통문화로서 재인식되는 계기였다"고 설명했다.

국립현대미술관, '한국 근현대 자수: 태양을 잡으려는 새들' 전시에 선보인 옵아트 같은 송정인의 자수 작품. 2024.04.30. hyun@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국립현대미술관, '한국 근현대 자수: 태양을 잡으려는 새들' 전시에 선보인 옵아트 같은 송정인의 자수 작품. 2024.04.30. [email protected] *재판매 및 DB 금지



이번 전시는 한국 근현대미술사에서 변화된 자수 실천이 어떻게 전개해 왔는지 시대별로 나눠 4부로 구성했다.

"20세기 한국자수의 역사라는 아름다운 실의 향연 뒷면에는 서양(일본) 동양(한국) 남성/여성, 근대/전통, 공/사, 순수예술/공예, 독창성/모방 등 무수한 길항의 관계가 존재합니다. 회화의 재료인 붓과 물감이 주로 종이와 캔버스의 표면과 상관한다면, 자수의 재료인 바늘과 실은 바탕 천의 표면을 뚫고 이면을 접촉하고 다시 표면으로 돌아오는데, 이는 마치 세상을 명확하게 구분되는 이분법적 경계에 의문을 던지듯 경계를 넘나드는 것 같습니다."

박혜성 학예연구사는 "20세기 후반 이후 현대미술가들은 섬유를 주요 매체로 자유자재로 사용하는데, 이번 전시를 계기로 근현대 자수의 실천과 담론에 대한 연구가 보다 심화, 확장되었으면 한다"고 바랐다.
국립현대미술관, 한국 근현대 자수: 태양을 잡으려는 새들 전시에 출품된 함경아 작품. '나는 상처를 받았습니다'. 북한 자수 노동자들이 제작했다. 2024..430. hyun@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국립현대미술관, 한국 근현대 자수: 태양을 잡으려는 새들 전시에 출품된 함경아 작품. '나는 상처를 받았습니다'. 북한 자수 노동자들이 제작했다. 2024..430. [email protected] *재판매 및 DB 금지


국립현대미술관, 《한국 근현대 자수: 태양을 잡으려는 새들》 전시 포스터 *재판매 및 DB 금지

국립현대미술관, 《한국 근현대 자수: 태양을 잡으려는 새들》  전시 포스터 *재판매 및 DB 금지



근현대 자수가들의 작품과 함께 선보인 현대미술가 함경아, 홍영인, 이강승, 이인선 등의 작품은 무한히 연장되고 있는 자수의 혁명으로 새롭게 보인다. 기계 못지않게 제작한 근현대 자수품들에 혀를 내두를 정도다.

자수장 최유현이 쓴 글은 자수인 뿐 만 아니라 예술가들에 전한 조언이다. "수놓는 기술자에 그치지 말고 혼을 불어넣어 주제 의식을 작품에 제대로 구현하는 작가가 되기를 바랍니다. 그렇게 진정으로 임할 때 오늘날 자수가 하나의 독립된 예술세계로 인정받게 될 것이며 자연히 자수인 또한 한 명의 작가로서 받아들여 줄 것입니다."

3년 간의 준비로 근현대 자수사를 새롭고 꼼꼼하게 정리한 이번 전시는 자수화가 현대미술 매체로서의 지위를 확보하게 될지 주목된다. 전시는 8월4일까지. 관람료 2000원.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