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화성시, 산업안전본부 신설 추진…공장화재 재발 방지

등록 2024.06.28 17:14:21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화성산업진흥원에 설치

산업안전 시설 안전관리 권한 없어…정부·광역단체 의존 한계

산업단지관리공단 설립 승인 요청도

[화성=뉴시스] 정명근 화성시장(사진 가운데)과 김광재 화성산업진흥원장(사진 왼쪽), 안상교 화성상공회의소장이 산업안전본부 설치 등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사진=화성시 제공)2024.06.28.photo@newsis.com

[화성=뉴시스] 정명근 화성시장(사진 가운데)과 김광재 화성산업진흥원장(사진 왼쪽), 안상교 화성상공회의소장이 산업안전본부 설치 등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사진=화성시 제공)[email protected]


[화성=뉴시스] 문영호 기자 = 경기 화성시가 서신면 리튬 배터리 공장 화재와 같은 사고 재발 방지를 위해 ‘산업안전본부’ 신설을 추진한다.

28일 화성시에 따르면 시는 이번 공장 화재사고를 계기로 시의 주도로 산업안전 시설을 집중 진단하고 현장 지원 체계를 마련할 수 있도록 화성 산업진흥원 내 산업안전본부 설치를 추진한다.

산업안전본부에는 고위험기업 안전진단 및 안전관리, 외국인 근로자를 포함한 산업안전 교육과 전문가 양성, 안전시설 구축지원 등을 골자로 가칭 안전감독기획팀과 안전예방지원팀을 신설할 계획이다.

시는 더 나아가 산업단지관리공단 설립 승인을 행정안전부에 요청해 산업구조와 규모에 걸맞은 안전 관리를 위해 전담조직을 점차 확대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화성시는 서울시의 1.4배에 달하는 넓은 면적을 보유, 산업단지는 2400만㎡ 면적에 22개,  제조업체 수는 2만8590개로 전국에서 가장 많다. 그만큼 위험물질을 취급하는 기업체가 많은데다, 외국인근로자 수도 2만3465명으로 전국에서 가장 많다.

시는 이러한 지리적·환경적 요인에도 불구하고 기초지자체의 산업안전 시설에 대한 단속 및 안전관리 권한이 없고, 정부와 광역단체의 관리에만 의존하고 있어 그동안 산업 현장에 대한 안전조치가 제대로 이루어 질 수 없었다는 점을 적극 호소할 계획이다.

정명근 화성시장은 “화성 아리셀 공장 화재 사고를 계기로 중대재해의 사전 예방이 중요하다는 걸 몸소 느꼈다”며 “기업이 자기 규율 예방체계로 전환하고 안전의식을 확산할 수 있도록 행⸱재정적으로 적극 지원해 산업안전을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