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최민국 시의원 "흉물로 방치된 한국국제대, 진주시가 매입해야"

등록 2025.03.17 16:28:38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진주=뉴시스] 진주시의회 최민국 의원. *재판매 및 DB 금지

[진주=뉴시스] 진주시의회 최민국 의원. *재판매 및 DB 금지


[진주=뉴시스]  경남 진주시의회 최민국 의원은 17일 제263회 임시회에서 폐교 후 방치되고 있는 한국국제대학교에 대해 진주시에 대책 마련을 요구했다.

최 의원은 “한국국제대 폐교 이래 1년6개월이 지났지만 이에 대한 진주시의 해결 의지가 보이지 않다”며 “시는 부지 매입을 검토하고 경남도나 지역 공공기관과의 상생 협력으로 시설 활용 방안 등 실질적인 해결책을 마련해 신속히 실행하라”고 했다.



최 의원은 ▲기존 대학 커뮤니티의 지역 내 경제효과 소멸 ▲경남 최대 펜싱훈련장 등 대학 내 체육시설 폐쇄 ▲실직 및 임금체불에 따른 교직원 생계 곤란 ▲창업 육성 공간과 기능 상실 등 부작용을 언급했다.

특히 “학교법인 파산 직전까지 애쓴 교직원들은 수년간의 임금체불로 생계유지에 어려움을 겪고 있고, 이미 신용불량자로 전락한 교직원들도 있다”고 했다.

현재 대학 본 캠퍼스 부지의 입찰가는 감정 평가 결과에 따라 980억원에서 시작해 십여 차례나 거듭된 유찰로 300억원까지 떨어졌다. 하지만 워낙 거액인 데다 용도변경과 개발비 부담, 국내 경기 악화 등 여러 이유로 입찰에 나서는 민간사업자를 찾기 어려운 실정이다.



게다가 파산관재인에 따르면 체불임금은 200억원 이상으로 확인됐으며 밀린 공과금을 포함해 재단채권과 일반채권이 300억원대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고 있어 매각이 성사되더라도 채권 변제에는 금액이 턱없이 부족하다.

최 의원은 "자산 매각 처리가 늦어져 적절한 시설 및 부지 활용 시기를 놓치면 다른 폐교들처럼 아예 손대지 못하는 상황이 올 수 있다"고 우려했다.

그러면서 “지역 대학 소멸은 곧 지역의 소멸이며, 서로를 가속하고 있다”며 “말뿐인 ‘지자체와 대학의 상생’이 아니라 사명감을 가지고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고 말했다.

많이 본 기사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