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배터리 정보 더 알려야"…인증제 필요성도 제기[전기차 위기 돌파①]

등록 2024.08.18 09:00:00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서울=뉴시스] 이영환 기자 = 14일 오후 서울 시내에서 기아 전기차가 운행하고 있다.현대차(제네시스 포함)와 기아는 지난 13일 전국 서비스 거첨을 방문한 전기차 보유 고객을 대상으로 전기차를 무상으로 점검하는 '전기차 안심 점검 서비스'를 실시한다고 전했다. 점검 대상은 현대차·기아·제네시스 승용 및 소형 상용 전기차 등 전 차종이다. 이용을 원하는 고객은 각사 고객센터를 통해 원하는 일정과 장소를 선택해 예약하면 된다. 현대차(제네시스 포함) 고객은 전국 22개 직영 하이테크센터 및 1234개 블루핸즈에서 이용할 수 있다. 기아 고객은 전국 18개 직영 서비스센터 및 757개 오토큐에서 점검이 가능하다. 2024.08.14. 20hwan@newsis.com

[서울=뉴시스] 이영환 기자 = 14일 오후 서울 시내에서 기아 전기차가 운행하고 있다.현대차(제네시스 포함)와 기아는 지난 13일 전국 서비스 거첨을 방문한 전기차 보유 고객을 대상으로 전기차를 무상으로 점검하는 '전기차 안심 점검 서비스'를 실시한다고 전했다. 점검 대상은 현대차·기아·제네시스 승용 및 소형 상용 전기차 등 전 차종이다. 이용을 원하는 고객은 각사 고객센터를 통해 원하는 일정과 장소를 선택해 예약하면 된다. 현대차(제네시스 포함) 고객은 전국 22개 직영 하이테크센터 및 1234개 블루핸즈에서 이용할 수 있다. 기아 고객은 전국 18개 직영 서비스센터 및 757개 오토큐에서 점검이 가능하다. 2024.08.14. [email protected]



[서울=뉴시스]이창훈 기자 = 인천 청라동 아파트 단지에서 발생한 전기차 화재 사고로 전기차 안전에 대한 우려가 커진 가운데, 완성차 업체가 앞다퉈 배터리 제조사 정보를 공개하는 등 진화에 나섰다.

전문가들은 완성차 업계의 배터리 정보 공개를 긍정적으로 평가하면서도, 소비자 불안을 잠재우기 위해서는 더 구체적이고 세밀한 정보를 알려야 한다고 제언했다. 또 정부가 직접 배터리 셀의 안전성을 검증하고, 차량 정기 검사도 강화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배터리 제조사 정보만 공개

국내에서 전기차를 제조·판매하는 완성차 브랜드 17곳은 지난 13일부터 국토교통부 자동차리콜센터 홈페이지를 통해 전기차 모델에 탑재된 배터리 제조사를 모두 공개했다.

앞서 현대차는 지난 9일 국내 완성차 업체 중 처음으로 단종 차종을 포함해 총 13종(제네시스 3종 포함)의 배터리 정보를 공개했다. 이어 기아도 전기차 7종의 배터리 제조사 정보를 알렸으며 한국GM, 르노코리아, KG모빌리티 등이 뒤를 이었다.

수입차 중에서는 BMW가 지난 12일 처음으로 배터리 제조사를 공개했으며, 메르세데스-벤츠와 볼보, 스텔란티스 등이 배터리 공개 행렬에 동참했다.

다만 완성차 업계가 공개한 것은 배터리 제조사 정보일 뿐, 배터리 셀 종류 등 구체적인 정보를 알리지 않았다. 전기차 배터리는 크게 리튬인산철(LFP) 배터리와 NCM(니켈·코발트·망간) 등 삼원계 배터리로 나눠지는데 성질이 아주 다르다.

배터리 분야 권위자로 꼽히는 윤원섭 성균관대 에너지과학과 교수는 "전기차에서 가장 중요한 부품이 배터리"라며 "이용자들의 안전을 생각하면, 배터리 셀 제조사뿐 아니라 NCM 등 보다 구체적인 정보를 공개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윤 교수는 "완성차와 배터리 제조사들이 어느 정도 합의를 거쳐 배터리 셀의 특징에 대한 정보도 조금 더 상세히 공개하면 좋을 것"이라며 "배터리 제조사의 이력 공개도 필요해 보인다"고 했다.

[서울=뉴시스] 황준선 기자 = 사진은 11일 서울 시내 한 쇼핑몰에 설치된 전기자동차 충전소 모습. 2024.08.11. hwang@newsis.com

[서울=뉴시스] 황준선 기자 = 사진은 11일 서울 시내 한 쇼핑몰에 설치된 전기자동차 충전소 모습. 2024.08.11. [email protected]


"배터리 인증제 도입 서둘러야"

배터리 안전에 대한 우려가 커지면서 전기차 배터리 인증제를 서둘러야 한다는 의견도 나온다. 정부가 내년 2월 전기차 배터리 인증제 도입을 추진 중이지만, 셀이나 팩 단계가 아닌 모듈 단계에만 해당해 안전성 점검에 미흡하다는 지적도 있다.

배터리 업계가 자체적으로 인증 브랜드를 만들 수 있다는 얘기도 나온다. 지금은 전기차에 완성차 마크만 있지만, 향후 배터리를 보증할 수 있는 제조사 마크까지 붙일 수 있다는 것이다.

실제로 중국 CATL은 중국 내 전기 중장비를 대상으로 '정품 인증 마크'를 붙이고 있다. 믿을 수 있는 품질의 배터리를 사용했다는 것을 배터리 제조사 스스로 보여주는 것이다.

업계 관계자는 "지금은 완성차 업체가 전기차 배터리 성능을 보증하고 있지만, 앞으로 배터리 제조사가 직접 배터리 품질을 보증하는 시대가 올 수 있다"며 "만약 화재 사고가 발생하면, 책임 소재를 가리는데도 더 유리할 수 있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