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뉴스 분석 시스템 '빅카인즈', AI 기반 뉴스 서비스로 개편

등록 2025.04.07 10:30:39수정 2025.04.07 11:06:25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핵심 뉴스 선별·요약, 뉴스 외 일반문서 분석 등 기능 강화

뉴스 분석 시스템 빅카인즈 홈페이지. (빅카인즈 홈페이지 캡처) *재판매 및 DB 금지

뉴스 분석 시스템 빅카인즈 홈페이지. (빅카인즈 홈페이지 캡처)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김주희 기자 = 문화체육관광부는 한국언론진흥재단과 국내 최대 뉴스 분석 시스템인 빅카인즈를 인공지능(AI) 기반 뉴스 서비스로 전면 개편했다고 7일 밝혔다.

2016년부터 대국민 서비스를 시작한 빅카인즈는 종합일간지, 경제지, 지역일간지, 방송사 등 국내 1억 건 이상의 뉴스 빅테이터를 분석하는 서비스다.



회원으로 가입하면 뉴스 원문을 검색하고 분석 자료 내려받기, 관심 뉴스 메일로 받기 서비스를 무료로 이용할 수 있다.

지난해 2월부터는 기사 속 정보를 근거로 이용자 질문에 대한 답변을 도출하는 '빅카인즈 AI' 서비스를 시작해 1년간 기능을 고도화했다.

이번 개편에서는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이고, 단순한 뉴스 검색 서비스를 넘어 뉴스 요약부터 파일 분석 기능을 강화했다. 또한 이전 대화 내용을 기억하고 질문의 맥락을 이어 연속적으로 대화하는 꼬리 질문(멀티턴) 대화 기능을 도입했다.



특히 분야별로 '오늘의 이슈'를 확인하고 다양한 언론사의 시각을 비교·분석할 수 있는 기능을 탑재했다.

'오늘의 이슈'는 매일 104개 언론사에서 수집된 1만여 건의 뉴스 기사를 정치·경제·사회 등 분야별로 분류하고, 핵심 현안을 선별해 '빅카인즈 AI'가 요약해 주는 기능이다.

뉴스 외의 자료를 분석할 수 있는 기능도 추가했다. 이용자가 문서 파일을 등록하면 '빅카인즈 AI'가 그 내용을 분석하고, 이용자와 분석 결과에 대한 대화를 나눌 수 있다.
'빅카인즈' 주요 연혁. (문화체육관광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빅카인즈' 주요 연혁. (문화체육관광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문체부 관계자는 "이번 개편은 빅카인즈가 AI 기반의 뉴스 분석 플랫폼으로 진화하는 중요한 전환점"이라며 "문체부는 언론인과 연구자 등 모든 국민이 뉴스를 더욱 쉽게 분석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빅카인즈 서비스를 계속 개선해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공감언론 뉴시스 juhee@newsis.com

많이 본 기사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