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아르테미스 프로젝트 포함된 日탐사선 '오모테나시', 달 착륙 포기

등록 2022.11.22 11:30:33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배터리 충전 못해 통신 끊겨…달 지나쳐 착륙 불가 판단

[플로리다=AP/뉴시스]지난 16일(현지시간) 미국 플로리다주 케이프커내버럴 케네디우주센터의 39B 발사대에서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무인 달 탐사 프로그램 아르테미스의 로켓이 발사되고 있다. 이번 발사는 아르테미스 프로그램의 첫 비행 시험이다. 일본의 달 탐사기 '오모테나시'도 여기에 실렸다. 2022.11.22.

[플로리다=AP/뉴시스]지난 16일(현지시간) 미국 플로리다주 케이프커내버럴 케네디우주센터의 39B 발사대에서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무인 달 탐사 프로그램 아르테미스의 로켓이 발사되고 있다. 이번 발사는 아르테미스 프로그램의 첫 비행 시험이다. 일본의 달 탐사기 '오모테나시'도 여기에 실렸다. 2022.11.22.


[서울=뉴시스] 김예진 기자 = 일본의 달 탐사기 오모테나시가 달 착륙을 포기했다고 일본 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JAXA)가 22일 발표했다.

니혼게이자이 신문(닛케이), 요미우리 신문 등에 따르면 지난 16일 발사된 미국 주도 달 탐사선 아르테미스 프로젝트에는 무게 700g의 착륙선을 발사해 달 표면 충돌 실험을 할 오모테나시라는 이름의 일본 소형 우주선이 포함돼 있었다.

발사 후 16일 밤 스페이스 론치 시스템(SLS)에서 분리됐으나 통신이 끊겨 복구하지 못했다. 통신이 연결되지 않아 오모테나시의 구체적인 위치 등을 알 수 없는 상태였다.

원래대로라면 21일 밤 심야쯤 달에 착륙을 시도할 계획이었다.

그러나 통신이 끊긴 채로 달을 지나치는 바람에 착륙이 불가능해졌다.

오모테나시는 태양 배터리 쪽이 태양과는 반대 방향을 행한 채 고속 회전했던 것으로 판명났다. 배터리 충전이 되지 않아 통신이 전원이 꺼졌고, 통신이 끊긴 것이다.

JAXA는 착륙 예정 시간을 넘긴 22일 새벽까지 통신을 시도했으나 반응은 없었다.

오모테나시는 가로 11㎝, 세로 24㎝, 높이 37㎝로 일반 탐사기에 비해 작은 규모였다. 달에 착륙하는 세계 최소 탐사기가 될 것으로 기대를 받았다.

개발비는 수억엔(약 수십억원) 규모로 비교적 적은 비용이 들었다. 적은 비용으로 달을 탐사하는 기법 검토에 도움이 될 것으로 주목을 받았다.

오모테나시는 앞으로 태양을 주변을 돌게 된다. 몇 달 후면 태양과 위치 관계가 바뀌어 배터리 충전이 시작될 가능성도 있다. 그러나 그 때쯤이면 달에서 거리가 멀어져 착륙을 시도할 수 없다.

JAXA는 이번 사건에 대한 원인 규명, 앞으로의 운용 계획에 대해 관계 기관과 협력해 상세히 정리할 방침이다.

오모테나시를 우주의 방사선량 측정 등 달 착륙 이외의 실험을 위해 통신 복구에 나설 생각이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