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페트병 분리배출표시에 "라벨을 떼서" 문구 적힌다

등록 2020.09.09 12:00:00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포장재 재질구조·분리배출표시 고시' 개정 행정예고

2주간 제품·포장재·배달용기 분리배출표시 집중조사

[세종=뉴시스] 환경부가 전국 공동주택(아파트)에 배포한 '올바른 분리배출 방법에 대한 안내서' 일부분. 페트(PET)를 비롯해 각종 재활용품 수거 방법을 안내하고 있다. (사진=환경부 제공). 2020.09.09. photo@newsis.com

[세종=뉴시스] 환경부가 전국 공동주택(아파트)에 배포한 '올바른 분리배출 방법에 대한 안내서' 일부분. 페트(PET)를 비롯해 각종 재활용품 수거 방법을 안내하고 있다. (사진=환경부 제공). 2020.09.09. [email protected]

[세종=뉴시스] 정성원 기자 = 앞으로 재활용품 분리배출 방법이 포함된 분리배출표시를 볼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페트(PET) 생수병 비닐 라벨에서 '투명 페트병'이라 적힌 분리배출표시에 "라벨을 떼서"라는 문구를 함께 볼 수 있다.

환경부는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포장재 재질구조 등급표시 및 분리배출 표시에 관한 고시' 개정안을 오는 10일부터 20일간 행정예고한다고 9일 밝혔다.

개정안에 따라 현행 분리배출표시에 쓰이는 철, 알루미늄,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등의 재질명과 함께 '깨끗이 씻어서', '라벨을 뗴서' 등 배출 방법을 표기한다.

분리배출표시 심벌마크 크기도 8㎜에서 12㎜로 확대해 보다 쉽게 볼 수 있도록 한다.

현행 분리배출 표시에선 플라스틱, 비닐, 캔 등의 재질을 표기하지만, 세부적인 배출방법을 알 수 없어 분리배출 실효성이 높지 않았다. 또 폐플라스틱은 세척해서 버려야만 재활용할 수 있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가 많아 재활용에도 어려운 점이 많았다.

당국이 행정예고에 앞서 진행한 대국민 온라인 설문조사에서도 분리배출표시 개선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많았다.

응답자 가운데 72.3%는 '분리배출표시 개선이 필요하다'고 답했다. 과반수가 '분리배출표시가 도움은 되지만 실효성 부족'(66.9%), '분리배출표시 크기 확대 필요'(68.6%) 등을 지적하기도 했다.

다만, 업계 부담을 줄이기 위해 오는 2021년까지 기존 도안과 변경된 도안을 모두 허용해 순차적으로 도안을 개선할 방침이다.
[세종=뉴시스] 분리배출표시 도안 변경(안). (사진=환경부 제공). 2020.09.09. photo@newsis.com

[세종=뉴시스] 분리배출표시 도안 변경(안). (사진=환경부 제공). 2020.09.09. [email protected]

환경부는 전국 지자체, 한국환경공단과 함께 오는 15일부터 2주간 제품·포장재, 배달용기 분리배출 표시 여부 등을 조사한다.

분리배출표시는 '분리배출표시에 관한 지침'에 따라 적정 도안을 사용하고. 제품·포장재 정면·측면, 바코드 상하좌우에 8㎜ 이상의 심벌마크를 표시해야 한다.

분리배출표시 의무 대상이 아닌 제품은 한국환경공단 승인을 받아야 한다. 당국은 문구·완구류 등 복합재질 플라스틱 제품, 합성수지가 코팅된 종이 등 임의로 분리배출 표시를 넣는 사례를 집중해서 살펴볼 예정이다.

앞서 환경부는 또 품목별 분리배출 방법, 재활용품으로 잘못 배출되는 사례를 그림으로 정리해 분리배출 사례를 그림으로 정리해 지난달 말 전국 공동주택(아파트)에 배포했다. 지자체와 함께 사회관계망서비스(SNS) 등 다양한 온라인 소통창구를 통해 올바른 분리배출 방법을 지속해서 홍보할 예정이다.

이달 중에는 제1기 자원관리도우미들이 공동주택 재활용 현장에 배치돼 분리배출 지원에 나선다. 이달 말 제2기 도우미가 현장에 투입되면 총 1만여명이 활동하게 된다.

이영기 환경부 자원순환정책관은 "재활용품으로 옷, 가방, 화장품 용기 등을 만드는 고품질 재활용체계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배출 단계부터 올바르게 분리배출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 정책관은 "이번 분리배출표시 개정은 국민들이 보다 쉽게 분리배출할 수 있도록 제도의 본래 취지를 최대한 살리는 것으로, 행정예고 등으로 보다 많은 국민들과 업계 의견을 수렴해 개선안을 확정하겠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