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정부가 걷는 부담금, 지난해 22.4조…기업들 "전면 재검토해야"

등록 2023.08.22 12:00:00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대한상의, '부담금 3대 평가 기준' 제시

"기준에 맞지 않는 부담금 개선해야"

[서울=뉴시스]대한상공회의소는 22일 전문가에게 의뢰해 분석한 '법정부담금 제도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보고서를 공개했다. (사진 = 대한상의)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대한상공회의소는 22일 전문가에게 의뢰해 분석한 '법정부담금 제도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보고서를 공개했다. (사진 = 대한상의) [email protected]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이현주 기자 = 경제계가 법정부담금 제도의 개선을 촉구하고 나섰다. 법정부담금은 특정 공익사업과 관련해 국민과 기업에 부과하는 조세 외의 금전지급의무를 말한다.

대한상공회의소(대한상의)는 22일 전문가에게 의뢰해 분석한 '법정부담금 제도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보고서를 통해 "법정부담금은 공익사업 추진, 정책목표 달성 등을 이유로 부과되고 있지만 국민과 기업에게 필요 이상의 부담을 지워 민간 경제활동을 저해한다는 부정적 인식이 증가하고 있다"고 밝혔다.

경제·사회적 변화를 반영해 타당성이 떨어진 부담금은 폐지하고 과도한 부과요율은 조정하는 등 제도 정비가 필요하다는 주장이다.

부담금은 1961년 도입되기 시작해 경제개발기인 1980년대 큰 폭으로 증가해 현재 90개에 달한다. 2002년부터 부담금관리 기본법을 시행해 무분별한 부담금 신·증설을 억제하고 부과·징수의 투명성을 높이기 위한 부담금 관리제도를 운영해 오고 있다.

그러나 조세와 달리 부담금은 납부 저항과 국회의 통제를 적게 받는다는 점, 일반회계 대신 기금 또는 특별회계로 관리되어 정부부처의 사업비 확보가 용이하다는 점 때문에 정부가 제도개선에 소극적으로 대응하고 있고 국민과 기업에게 과도한 부담을 지우는 상황이 지속되고 있다는 지적이다.

실제 부담금 규모는 지속적으로 증가해 2002년 7조4000원에서 2022년 22조4000억원으로 3배 이상 늘어났다.

부담금 관리제도는 개별부담금의 존치 필요성을 3년마다 평가해 합리성이 낮은 부담금은 폐지하도록 하고 있으나, 폐지된 부담금은 미미하며 20년 이상 유지되고 있는 부담금이 67개로 전체 부담금의 74%에 달한다.

현행 부담금 관리제 한계…'3대 평가기준' 제시

상의는 현행 부담금 관리제도가 부담금 통제에 한계가 있음을 지적하면서 ▲부담금 목적의 타당성 ▲부담금 부과의 적절성 ▲부담금 사용의 적합성 등 '부담금 3대 평가기준'을 제시하고 기준에 맞지 않는 부담금을 개선할 것을 주장했다.

목적 타당성이 부족한 대표적인 부담금으로는 ▲영화상영관 입장권 부과금 ▲국제교류기여금 ▲출국납부금(외교부, 문체부) ▲광물 수입부과금 및 판매부과금 ▲재건축부담금 등을 들었다.

법적 근거가 불명확해 부과 적절성이 문제되는 부담금으로는 ▲신용보증기금 출연금 ▲환경부 수계별 물이용부담금 ▲혼잡통행료 ▲지하수이용부담금 등을 지적했다. 납부능력을 고려하지 않거나 원인행위에 비해 지나치게 높은 요율이 설정돼 있는 부담금으로는 ▲교통유발부담금 ▲혼잡통행료 ▲재건축부담금 등을 꼽았다.

사용 적합성이 부족한 부담금으로는 ▲전력산업기반기금 부담금 ▲국민건강증진부담금 ▲카지노사업자 납부금 ▲지하수이용부담금 ▲국제교류기여금 등을 지적했다.

이수원 대한상의 기업정책팀장은 "법정부담금은 국민에게 금전적 부담을 지운다는 점에서 조세와 동일하나 조세법률주의 같은 엄격한 통제 없이 부과·징수가 이뤄지고 있어 정당성에 대한 문제가 계속 제기되고 있다"며 "전면 재검토해야 한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