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강기정 "김봉현 '정무라인' 문자, 로비 아닌 사기 증거 기사"

등록 2020.10.15 12:03:57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김봉현 과거 문자 공개, 조선일보 보도 반박

"이강세 만나기 전에 문자…사기 치고 다닌 것"

"김봉현, 추징금 줄여보려고 허위 주장 추정"

[서울=뉴시스]최진석 기자 = 강기정 전 정무수석이 12일 서울 양천구 서울남부지검에서 김봉현 및 조선일보 손해배상 소장 접수에 앞서 취재진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2020.10.12.myjs@newsis.com

[서울=뉴시스]최진석 기자 = 강기정 전 정무수석이 12일 서울 양천구 서울남부지검에서 김봉현 및 조선일보 손해배상 소장 접수에 앞서 취재진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email protected]

[서울=뉴시스]김태규 기자 = 강기정 전 청와대 정무수석은 15일 김봉현 전 스타모빌리티 회장이 과거 '청와대 민정수석과 정무라인을 타고 있다'고 지인에게 보낸 문자메시지 보도와 관련해 "로비의 증거가 아니라 김봉현의 사기 증거라는 기사"라고 말했다.

강 전 수석은 이날 오전 TBS 라디오 ‘김어준의 뉴스공장’에 출연해 조선일보 기사와 관련해 "김봉현 씨가 (지인과) 문자를 주고받은 것은 (지난해) 6월5일이고, 이강세 씨가 저를 만나러 온 것은 7월28일이다. 김봉현 씨는 그 전부터 강기정 또는 민정수석을 팔고 다니고, 사기를 치고 다닌 것"이라며 이렇게 말했다.

자신은 김봉현 전 스타모빌리티 회장과 일면식도 없을 뿐더러 친분이 있는 이강세 전 스타모빌리티 대표를 만나기 전에 '정무라인을 타고 있다'는 문자메시지를 지인에게 보낸 것으로 미뤄볼 때 로비가 아닌 처음부터 사기를 목적으로 했을 수 있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앞서 조선일보는 이날 조간에 김 전 회장이 라임 펀드 환매 중단 사태 4개월 전인 2019년 6월5일 지인에게 보낸 문자메시지를 보도했다. 해당 문자는 라임 사태를 우려한 지인을 안심키려는 상황에서 '민정수석, 정무수석의 라인을 타고 있다'는 내용의 문자를 보냈다는 게 조선일보 보도의 취지다.

강 전 수석에게 5000만원을 전달하라며 이 전 대표에게 돈을 건넸다는 김 전 회장의 법정 진술을 계기로 보수 야당은 라임 사태 무마를 위한 로비 창구로 청와대가 개입된 것이 아니냐는 의혹을 제기하고 있다.

하지만 김 전 회장의 진술과 달리 이 전 대표는 5000만원이 아닌 1000만원을 받았으며, 강 전 수석에 대한 로비 자금이 아닌 기자들 접대 명목이었다고 주장하는 등 서로의 진술이 엇갈리는 양상이다.

[서울=뉴시스]최진석 기자 = 강기정 전 정무수석이 12일 서울 양천구 서울남부지검에서 김봉현 및 조선일보 손해배상 소장 접수에 앞서 취재진의 질문에 답하며 머리카락을 쓸어 넘기고 있다. 2020.10.12.myjs@newsis.com

[서울=뉴시스]최진석 기자 = 강기정 전 정무수석이 12일 서울 양천구 서울남부지검에서 김봉현 및 조선일보 손해배상 소장 접수에 앞서 취재진의 질문에 답하며 머리카락을 쓸어 넘기고 있다. [email protected]

강 전 수석은 김 전 회장이 자신에게 5000만원을 전달하라고 지시했다고 주장하는 배경에 관해 "추징금을 줄여보려고 출처를, 돈이 나간 것을 막 이야기한 것 아니냐"면서 "(또는) 자기의 사기꾼 느낌을 희석시키려고 하는 것 둘 중에 하나일 것 같다"고 추정했다.

그러면서 "이것은 금융 사기 사건인데, 조선일보의 허위 기사와 김봉현 씨의 위증으로 인해서 권력형 게이트로 변화가 되고 있다"며 "사기 범죄인인 김봉현 씨가 권력 투쟁의 선봉장이 되어 있는 등 지금 이상하게 돼 있다"고 했다.

강 전 수석은 의혹의 핵심인 이 전 대표와의 청와대 만남에서 5000만원을 받았는지 여부에 대해선 "그런 사실이 없다"고 잘라 말했다. 수령 후 안 받은 것으로 이 전 대표와 말을 맞췄을 가능성도 없다고 했다.

강 전 수석은 "5000만원을 청와대 안으로 가지고 들어와야 한다는 전제가 성립이 돼야 저와 이강세 씨가 입을 맞춰서 안 받았다 할 수 있겠다"면서 "그건 절대 있을 수 없는 일"이라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