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거래소 "코스닥 상장 심사도 주관사와 사전 협의"[일문일답]

등록 2024.06.27 16:20:46수정 2024.06.27 18:28:57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상장 심사 신속하게…인력 충원하고 산업별 심사 전담팀 구성

거래소 "코스닥 상장 심사도 주관사와 사전 협의"[일문일답]


[서울=뉴시스]이종혜 기자 = 한국거래소는 상장예비심사 지연 해소를 막기 위해 기술특례상장와 일반심사를 분리하는데 초점을 두겠다고 27일 밝혔다. 또 산업별 심사 전담팀을 구성해 심사를 전문화하는 등 심사 절차과 관행을 개선할 예정이다.

거래소는 최근 기업공개(IPO)를 신청하는 기업이 증가하면서 상장 예비심사의 기간이 늘어진다는 지적이 나오면서 처음으로 종합 개선방안을 제시했다.

홍순욱 거래소 코스닥시장본부장은 이날 오후 여의도 서울사옥에서 브리핑을 열고 "최근 들어 심사 기간이 예전보다 점점 길어지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시장 참여자나 기업의 불만이 쌓여가고 있다고 심각하게 느꼈다"며 "조직을 별도로 구성해서 심사 지연 해소를 위한 방안을 밝힌 것이 이번이 처음"이라고 말했다.

홍 코스닥시장본부장은 최근 발생한 이노그리드의 상장 예비심사 승인이 취소된 것과 관련해 "이노그리드 중요사안 누락 부분은 사전에 확인할 수 있도록 투자은행(IB) 업계와 간담회를 통해 의견 수렴을 할 예정"이라며 "신청서 첨부서류 중 듀 딜리전스 체크리스트(Due Diligence Checklist)를 보완을 준비하고 있고 주관사와도 충분한 소통을 통해 가이드라인을 잡겠다"고 강조했다.

다음은 홍순욱 한국거래소 코스닥시장본부 본부장의 일문일답.

-심사 이슈 지연 해소 방안이 기존 규정인 45영업일 이내를 지킨다는 의미인가.

"기술기업들의 기술성에 대해 자료 제출이 부족한 경우가 있었다. 그동안은 기업들에게 기간을 많이 부여해오며 기다렸지만 이것이 심사 지연의 원인이 됐다. 앞으로는 자료 제출을 위한 기간 연장을 무한정할 수 없고 45영업일 내 원칙을 위해 코스닥상장 시장위원회에 빨리 부의하겠다. 지금 당장은 적체된 종목이 많아서 45영업일 내 심사를 장담하기는 어렵다."

-주관사와 사전협의 활성화해서 주요 이슈사항을 사전에 논의하고 심사 이슈 해소 후 상장을 신청하도록 유도한다고 했다. 어떠한 배경에서 나온 것인가.

"지금은 상장주관사에서 상장 예비심사 신청을 하고  특별한 경우가 아니면 바로 심사 절차 진행한다. 코스피 시장은 심사 실무자가 절차를 진행하기 전에 주관사와 충분한 사전협의를 하지만, 코스닥 시장은 신청부터 하고 이후에 이슈가 발생하는 사례가 많다. 기업 규모가 작고, 시스템화 되지 않은 곳이 많아서 앞으로는 코스닥시장에서도 주관사와 충분한 사전에 협의를 거쳐서 이슈가 장기화될 상황이 있으면 해소하고 신청하는 방향으로 유도할 예정이다."

-이번에 주관사와 사전 협의를 활성화겠다는 게 이노그리드때문인가. 투자자 보호를 위해 누락된 건이 발생했기 때문인가.

"특정사건과 연관해서 내놓은 방안은 아니고, 일반적으로 기술기업의 기술성이라는 것이 숫자로 딱 잘라서 평가할 수 있는 사안이 아니기 때문에 심사위원들이 봤을 때 문제가 있어 보이면 주관사와 사전협의를 하겠다는 것이다. 심사를 여러번 해본 위원들이니 사전에 먼저 해결하고 나서 신청하는게 낫지 않냐는 생각이다. 심사 기업을 직접 불러 얘기할 수 없고 주관사와 먼저 협의하는 것이 절차상 맞다."

-심사지연의 단기간 내 신속한 해소를 위해 발족하는 특별심사 태스크포스팀(TF)는 연내 추진하는가. 인력을 얼마나 늘리는지.

"이미 TF팀 설치는 구성 중이고 인사과와 협의해 조만간 발족될 예정이다. 기술기업상장부는 팀별로 전문산업 전문 심사체계를 3팀으로 구축했고, 당장 다음주부터 진행할 것이다. 심사인력이 기술상장부 2개 부서에 총 20명이다. 거래소에서 심사 전력 경험이 있는 타부서에 근무하는 직원들의 도움 받으려고 한다. 각 부서별 업무가 있기 때문에 TF를 구성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어 4~5명 정도로 선발해 구성할 예정이다.
전체 심사인력의 20%가 증가하는 셈이니 상장 예비심사 지연 단축효과는 있지 않을까 생각하고 있다. 적체 문제가 해소될 때까지 TF팀은 한시적으로 인력을 늘릴 예정이다."

-유가증권시장에서도 상장 신청이 늘어나면서 효율적 심사 방안을 밝힌 바 있다. 코스닥 상장예비심사 지연을 위한 방안 마련도 그러한 차원인가.

"코스피에서 상장된 기업은 10개 밖에 안돼서 크게 문제되지 않지만 코스닥은 2021년 132개 상장, 2022년에 129개 상장 하는 등 코스피 시장 대비 6배 이상 상장이 많다. 고질적 상장 심사 지연 문제는 코스닥에 국한된다. 조직을 별도로 구성해서 지연 해소를 위한 방안을 밝힌 것이 이번이 처음이다. 연초에 인사발령과 맞물려서 심사지연이 된다는 지적이 있었고, 전반적인 과정을 점검해 단축시킬 수 있는 방안 검토를 통해 최대한 심사 일정을 단축시켜서 하겠다고 밝히는 것은 처음이다."

-기술기업상장부는 심사기법 고도화를 추진하지만, 증시 전반에서는 기술특례 상장 트랙 자체에 대한 문제점을 지적한다. 산업 특성 반영해서 마련된 기술기업 상장이 촉진될 수 있는가.

"한국거래소의 상장 기준 자체는 그대로 유지하면서 산업 특성별로 심사 전문성을 강화하는 데 있다. 기술심사 1팀은 바이오, 2팀은 ICT·서비스, 3팀은 제조업(소재부품장비) 등으로 세분화하는 것이다. 심사 기조를 변화시키거나 강화해 상장기업 수의 변동이 있지는 않을 것이다."

-이노그리드의 사태가 재발되지 않으려면 상장 심사 단계에서 제도나 규정 변화가 있어야하는거 아닌가.

"이론적으로는 맞는 말이지만, 거래소가 수사기관이 아니기 때문에 현실적으로 기업이 먼저 문제를 밝히지 않는 한 문제를 발견하고 거를 수 있는 방법이 없다. 제출한 자료만으로 판단하는 것이기 때문에 진실성 여부를 현실적으로 심사할 수는 없기 때문에 제도화하기 어렵다.
파두 사태 이후에 심사 기준이 강화됐다고 하지만 거래소의 심사 원칙은 바뀌지 않았다. 파두 사태 본질 자체도 기술평가기관으로부터 'AA', 'A'로 높은 점수를 받았다. 파두는 심사 승인 여부의 문제가 아니라 승인 이후 증권신고서를 제출하고 공모 후 최종 상장할 때 변화된 매출을 제대로 공시 안했다는 점이 문제였다. 그런 부분은 금융감독원에서 제도 개선 간담회를 개최하면서 매출을 공시하도록 구성해놨다. 시나리오별로 파두 사태 이후로 심사가 강화됐다거나 많은 자료 제출 요구한다거나 다소 과장된 측면이 있다."

"이노그리드 중요사안 누락 부분은 사전에 확인할 수 있도록 투자은행(IB)업계와 간담회를 통해 의견 수렴을 할 예정이다. 신청서 첨부서류 중 듀 딜리전스 체크리스트(Due Diligence Checklist)를 보완을 준비하고 있고 주관사와도 충분한 소통을 통해 가이드라인 잡겠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