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광주 제조업, 3분기 체감경기 '흐림'…소비·금리·환율영향

등록 2024.06.28 11:52:07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3분기 기업경기전망지수 97, 전분기보다 20p 하락

올해 하반기 내수 소비 위축(52.6%)이 가장 우려돼

[광주=뉴시스] 광주지역 제조업 기업경기실사지수(BSI) 실적 및 전망 추이. (사진=광주상공회의소 제공) 2024.06.28. photo@newsis.com

[광주=뉴시스] 광주지역 제조업 기업경기실사지수(BSI) 실적 및 전망 추이. (사진=광주상공회의소 제공) 2024.06.28. [email protected]


[광주=뉴시스] 배상현 기자 = 광주지역 제조업체들의 체감경기가 2분기(4~6월) 반짝 회복했지만 3분기(7~9월)에는 기준치(100) 밑으로 다시 떨어지면서 다소 악화될 것으로 전망됐다. 

28일 광주상공회의소(광주상의)가 광주지역 152개 제조업체를 대상으로 '2024년 3분기 기업경기전망지수'를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BSI(기업경기실사지수) 전망치가 전분기(117)보다 20p 하락한 '97'로 나타났다.

미국 등의 글로벌 경기 회복 기대감과 수출 확대 등에도 불구하고 소비심리의 더딘 회복 및 미중 갈등과 중동사태 등에 따른 금리·환율 불확실성이 증가하면서 체감경기 상승세가 다소 둔화됐기 때문으로 보인다.

BSI는 수치가 100 이상이면 다음 분기 경기가 이번 분기보다 호전될 것으로 예상하는 기업이 더 많다는 의미다. 100 미만이면 그 반대다.

업종별로는 전자제품·통신, 기계·장비, 석유화학·고무·플라스틱은 전분기보다 경기가 호전될 것으로 전망됐다. 자동차·부품, 철강·금속, 식음료, 비금속광물은 전분기보다 경기가 더욱 악화될 것으로 보인다.

전자제품·통신(125)은 에어컨 등 계절가전들의 성수기 진입에 따른 수요 증가로 향후 경기를 긍정적으로 전망됐다. 기계·장비(118), 석유화학·고무·플라스틱(111)은 주요국 중심의 경기 회복에 따른 설비투자 증가 등으로 전망치가 크게 상승하면서 기준치(100)를 상회했다.

자동차·부품(78)은 신차 출시와 스포츠유틸리티차랑(SUV) 수출 호조에도 불구하고 경기 부진에 따른 소비심리 위축이 계속되면서, 철강·금속(61) 또한 원자재가격 상승과 중국 등 경쟁국들의 공급과잉 등이 우려되면서 체감경기가 더욱 악화됐다.

식음료(75)는 휴가철 등 계절적 성수기 진입에도 불구하고 고물가에 따른 민간소비 위축에 따라, 유리·시멘트(60)는 건설경기 침체 및 건설업의 계절적 비수기 진입 등으로 다음 분기 경기가 부정적으로 예상됐다.

기업규모별로는 대·중견기업(88)은 고물가·고금리 장기화와 금리·환율 불확실성 증가로 인해 경기 부진이 지속될 것으로 예측된다. 중소기업(99)도 기준치(100)를 겨우 회복했던 전분기(102)를 뒤로하고 전망치가 다시 하락하면서 경기가 다소 악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수출규모별로는 수출기업(112)은 미국 등 주요국 중심의 경기회복과 함께 수출 호조가 기대되면서 향후 경기를 긍정적이다. 내수기업(94)은 소비·투자심리 위축 등으로 체감경기가 다소 악화됐다.

2분기 실적(100)은 건설업 등의 계절적 성수기 진입과 주요국 중심의 경기회복으로 2년만에 기준치(100)를 회복했다. 하지만 고금리·고물가 장기화에 따른 소비와 투자 위축 등이 하방 요인으로 작용하면서 전분기의 실적 부진이 지속된 것으로 분석됐다.

올해 하반기에 가장 우려되는 대내외 리스크로는 가장 많은 기업이 '내수소비 위축'(52.6%)을 꼽았다. 당사 사업실적에 가장 영향이 클 것으로 예상되는 리스크로 기업들은 '유가·원자재가 상승'(35.5%), '고금리 장기화'(23.0%), '해외수요 부진'(20.4%), '환율 변동성 확대'(10.5%), '규제강화 등 국내 정책 이슈'(7.9%), '관세부과 등 무역장벽 강화('2.0%)’를 우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광주상의 관계자는 "글로벌 경기회복에 대한 기대감으로 지역 제조업체들의 체감경기가 다소 개선되는 듯 했으나 여전히 지속되는 내수 위축과 중동사태 및 미중 갈등 장기화 등 국제정세 불안 또한 심화되면서 기업들의 시름은 여전한 실정"이라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