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공의 사직 처리 1만1732명, 하반기 지원 125명…"심각한 위기 온다"
최보윤 의원, 복지부 제출 자료 공개
인턴 96.4%, 레지던트 83.4%가 떠나
사직률은 재활의학·산부인과 90%↑
사직 처리 1만명 넘는데 지원 125명
지원자 중 98명이 수도권…영남 11명
[서울=뉴시스] 김근수 기자 = 지난 8월16일 오후 서울 시내의 한 대학병원 전공의 생활관이 텅 비어 있는 모습. 2024.08.16. [email protected]
6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최보윤 국민의힘 의원이 보건복지부로부터 제출받은 전공의 전공의 사직 현황 자료에 따르면 지난 9월 기준 전국 전공의 1만3531명 중 사직 처리된 전공의는 1만1732명으로, 사직률은 86.7%였다.
정부는 지난 2월 의대 증원을 발표하면서 각 수련병원에 전공의 사직서 수리를 하지 못하도록 행정명령을 내렸다가 의료계와의 관계 개선을 고려해 6월4일부로 사직서 수리 금지 명령을 철회했다.
사직률을 연차별로 보면 통상 전공의 1년차인 인턴은 96.4%, 레지던트 1년차는 85.3%, 레지던트 2년차는 87.8%, 레지던트 3년차는 82.3%, 레지던트 4년차는 78%다. 인턴을 제외한 레지던트 사직률은 83.4%다.
과목별 사직자는 내과가 1686명으로 가장 많고 마취통증의학과 739명, 정형외과 695명, 응급의학과 521명, 영상의학과 503명, 산부인과 428명, 정신건강의학과, 재활의학과 386명, 외과 380명, 이비인후과 362명, 안과 360명, 신경외과 349명, 신경과 323명, 가정의학과 307명, 성형외과 245명, 피부과 244명, 소아청소년과 189명, 비뇨의학과 175명, 진단검사의학과 112명, 직업환경의학과 99명, 흉부외과 93명, 병리과 90명, 병사선종양학과 49명, 핵의학과 16명, 예방의학과 1명 순이다.
과목별 사직률은 재활의학과 91%, 산부인과 90.3%, 마취통증의학과 89.7%, 내과 87.7%, 영상의학과 87.3%, 비뇨의학과 87.1%, 흉부외과 86.9%, 피부과 86.2%, 신경외과와 이비인후과 각각 86%, 응급의학과 85.7%, 신경과 85.2%, 외과 85%, 안과 84.9%, 성형외과 83.9%, 진단검사의학과 81.8%, 방사선종양학과 81.7%, 정형외과 80.5%, 소아청소년과 80.1%, 정신건강의학과 76.8%, 직업환경의학과 74.4%, 핵의학과 69.6%, 병리과 62.9%, 가정의학과 59.7%, 예방의학과 6.7% 등이다.
인턴을 제외한 레지던트 사직률 평균 83.4%와 비교하면 재활의학과, 산부인과, 마취통증의학과, 내과, 영상의학과, 비뇨의학과, 흉부외과, 피부과, 신경외과, 이비인후과, 응급의학과, 신경과, 외과, 안과, 성형외과 등은 평균보다 사직률이 높았다. 반면 소아청소년과는 전체 평균보다 사직률이 낮았고 예방의학과는 15명 중 1명만 사직했다.
사직 처리된 전공의는 1만 명이 넘었지만 이번 하반기 전공의 신규 지원에 응시한 전공의는 125명에 그쳤다. 이마저도 98명이 수도권에 집중됐고 영남권에는 11명, 충청권과 호남권에는 각각 8명 뿐이다.
[서울=뉴시스] 김금보 기자 = 사직 전공의들이 지난달 8일 오전 서울 용산구 대한의사협회에서 열린 '사직전공의들을 위한 근골격계 초음파 연수 강좌'를 듣고 있다. 2024.09.08. [email protected]
지난 2일 기준 211개 수련병원에 출근한 전공의는 1176명으로 출근율은 8.7%다. 전공의가 많은 100개 수련병원 전공의 출근율은 7.5%, 환자들의 선호도가 높은 '빅5 병원' 전공의 출근율은 8.4%다.
인턴의 경우 211개 수련병원에서 106명만 근무 중인 것으로 나타나 출근율은 3.5%로 저조하다.
전공의 이탈이 장기화되면서 응급의료에도 차질이 빚어지고 있는데 지난 3일 기준 전국 406개 응급실 중 4개소가 일부 시간 응급일 운영을 중단했다.
권역·지역응급의료센터 180개소 중 27종 중증응급질환별 진료 가능한 기관은 지난 2일 기준 101개소로 평시 109개보다 감소한 상태다.
최 의원은 "전공의 사직률이 이처럼 높은 것은 국가 의료 시스템에 심각한 위기를 초래할 수 있다"며 "필수의료 과목에서의 인력 부족이 곧 환자들의 생명과 직결되는 문제인 만큼, 정부와 의료계가 함께 머리를 맞대고 실질적인 의료 환경 개선을 포함한 근본적인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Copyright © NEWSIS.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