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갑자기 왈칵' 겨울 눈물의 역설…"안구가 건조하시군요"

등록 2025.02.25 05:01:00수정 2025.02.25 06:00:24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찬바람에 눈물은 안구건조증 대표 증상 중 하나

인공눈물 치료가 보편적…장기간 컴퓨터 피해야

[서울=뉴시스] 25일 의료계에 따르면 안구건조증 환자에게 찬바람은 눈 표면을 자극해 반사적으로 눈물을 과도하게 분비하는 현상을 유발한다. (사진=세란병원) 2025.02.24.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 25일 의료계에 따르면 안구건조증 환자에게 찬바람은 눈 표면을 자극해 반사적으로 눈물을 과도하게 분비하는 현상을 유발한다. (사진=세란병원) 2025.02.24.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송종호 기자 = 최근 메마른 날씨 속에 찬바람까지 불면서 눈에서 눈물이 나는 경우가 많아졌다. 이는 겨울철 흔한 사례지만 안구건조증 환자가 겪는 대표 증상으로 병원을 찾아 진료를 받아보는 것이 좋다.

25일 의료계에 따르면 안구건조증 환자에게 찬바람은 눈 표면을 자극해 반사적으로 눈물을 과도하게 분비하는 현상을 유발한다.



공기가 차고 건조한 겨울은 덥고 습한 여름보다 눈 표면이 건조해지기 쉬워 눈물 흘림증이 더 심해질 수 있다. 즉 찬바람을 눈에 직접 맞거나 속눈썹 찔림 등의 자극이 생길 때 눈을 보호하기 위한 반응으로 눈물이 과하게 분비되는 것이다.

안구건조증으로 인한 눈물 흘림증이라면 원인을 치료해야 한다. 우선 안구건조증을 진단하기 위해선 세극등 현미경 검사를 통해 눈물막의 높이, 결막 충혈, 안검염의 정도, 알레르기, 마이봄샘 기능 장애 등의 상태를 파악한다. 가장 보편적인 치료 방법은 인공 누액을 이용해 모자라는 눈물 성분을 공급하는 것이다. 연고 형태, 안약과 연고의 중간 정도인 묽은 형태 등 여러 점안액이 있다.

안검염으로 인한 안구건조증은 IPL(Intense Pulsed Light) 치료가 도움이 될 수 있다. 눈꺼풀 주변이 가렵고 붓는 안검염은 환자의 60% 이상이 만성 안구건조증을 경험한다. 안검염은 눈 주위의 기름샘이 막혔거나 세균감염이 원인이 되며 콘택트렌즈 착용이 원인이 되기도 한다.



눈물막의 구성성분 중 지방층은 마이봄샘이라는 눈꺼풀 기름선에서 생성된다. 마이봄샘에 염증이 생기거나 막히면 지방질 분비가 적어진다. IPL 치료는 눈 주변 피부에 레이저를 조사해 눈꺼풀에 굳어 있는 기름을 녹여서 배출시키고, 눈물층 지방 윤활유 순환을 개선하여 눈물의 과도한 증발을 막아 준다. 꾸준히 치료하면 충혈, 건조감, 뻑뻑함을 개선할 수 있다.

세란병원 안과센터 김주연 센터장은 "눈물층은 각막쪽에서부터 점액층, 수성층, 지방층으로 나뉘게 된다"라며 "수성층의 부족에 따른 안구 건조증은 인공 눈물 점안, 지방층의 부족에 의한 눈물 증발 증가일 경우에는 눈꺼풀 염증 치료를 시행한다"라고 말했다.

안구의 염증이 주된 원인일 경우 항염증 치료를 시행한다”며 “가장 보편적인 치료법은 인공 눈물 점안이며, 눈물점을 막아 배출되는 눈물의 양을 줄이기도 한다.

김주연 센터장은 "안구건조증은 완치가 어려우며 증상을 호전시키고 염증 반응을 가라앉히기 위한 여러 치료법 중 본인의 눈 상태에 맞는 적절한 치료를 받게 된다"라며 "안구건조증이 아주 심한 경우에는 각막이 말라 시력이 심하게 저하되므로 안구건조증 증상이 있을 때에는 적절한 약물로 증상을 경감시키고 장기간의 컴퓨터 작업을 피해야 한다"라고 설명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song@newsis.com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