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현장] 방경만 KT&G 대표 "해외 궐련사업 확대·자사주 소각 적극 추진"

등록 2025.03.26 13:00:26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26일 KT&G 정기주주총회

정관 변경·이사 선임 안건 등 승인

향후 대표이사 선임 시 찬반투표 진행

[대전=뉴시스] 김민성 기자 = 방경만 KT&G 대표이사 사장이 26일 오전 대전 KT&G 인재개발원에서 열린 정기 주주총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2025.03.26. kms@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대전=뉴시스] 김민성 기자 = 방경만 KT&G 대표이사 사장이 26일 오전 대전 KT&G 인재개발원에서 열린 정기 주주총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2025.03.26. kms@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대전=뉴시스]김민성 기자 = "해외 궐련 사업을 확대하고 주주가치 중심 경영을 강화하겠습니다."

방경만 KT&G 대표가 26일 오전 대전광역시 KT&G 인재개발원에서 열린 제38기 정기 주주총회에서 이같이 밝혔다.



이날 주주총회는 출석주식 수 집계에 시간이 걸리면서, 당초 예정 시간인 10시보다 40분 가량 늦게 시작됐다.

방 대표는 인사말을 통해 "2025년은 미래 성장 모멘텀을 확보하기 위해 중요한 시기"라며 "기존 궐련 사업은 높은 성장 잠재력을 보유한 해외 사업을 중심으로 본업 경쟁력 강화를 통해 최대 이익이라는 성과 달성할 것"이라고 말했다.

NGP(Next Generation Products·전자담배) 사업에 관해선 새로운 성장동력을 확보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방 대표는 "NGP 사업은 비연소 카테고리에서 새로운 미래 성장동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다양한 영역에서 새로운 도전을 이어 나갈 것"이라고 했다.
방경만 KT&G 대표이사 사장이 26일 오전 대전 KT&G 인재개발원에서 열린 정기 주주총회에서 발언하고 있다.(사진=KT&G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방경만 KT&G 대표이사 사장이 26일 오전 대전 KT&G 인재개발원에서 열린 정기 주주총회에서 발언하고 있다.(사진=KT&G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또 올해 주주 환원 정책을 확대하겠다는 의지도 보였다.

방 대표는 "지난해 1조1000억원 규모를 주주 환원하며 당기순이익의 100%에 이르는 총주주환원율을 기록했다"며 "이 뿐만 아니라 기보유 자기주식 350만주를 포함, 총 846만주의 자사주 소각으로 발행주식수를 6.3% 감소시키며 주당 가치를 상승시켰다"고 말했다.

이어 "올해도 배당과 자사주 매입·소각을 핵심으로 하는 주주환원정책의 적극적인 추진을 통해 주주가치를 더욱 제고해 나가겠다"고 덧붙였다.
 
이날 KT&G는 ▲정관 변경 ▲재무제표 승인 ▲이사 선임 등 안건을 원안대로 모두 승인했다.

KT&G 총괄부문장인 이상학 수석부사장이 사내이사로 신규 선임됐다. 사외이사로는 지난 3년간 KT&G 사외이사로 활동해온 손관수 전 CJ대한통운 대표이사, 이지희 더블유웍스 대표이사가 재선임됐다.

또 지난해 결산배당금을 주당 4200원으로 확정했다. 연간 배당금은 지난해 지급된 반기배당금 1200원을 포함해 5400원으로 전년대비 200원 증가했다.

특히 사장·이사 선임 방식을 규정하는 정관에 '집중투표의 방법에 의해 이사를 선임하는 경우 대표이사 사장과 그 외의 이사를 별개의 조로 구분한다'라는 조항을 신설하는 내용의 정관 변경 안건도 통과됐다.

집중투표제는 두 명 이상의 이사를 선임할 때 선임하는 이사 수만큼의 의결권을 주주에게 부여하는 제도다.

원하는 후보에게 집중적으로 투표할 수 있어 일반적으로 소수주주가 지지하는 후보의 선임 가능성을 높여 소수주주 보호 방안으로 활용되지만, 국내 기업 중 집중투표제를 도입한 곳은 극소수에 불과하다.

이날 안건 승인으로 KT&G는 향후 대표이사 사장을 선임할 때 나머지 이사와 분리해 찬반투표를 진행한다.

이에 대해 KT&G 측은 대표이사를 집중투표제로 선임할 경우 과반의 찬성을 얻지 못한 대표가 선임될 가능성이 있다며, 주주 의사를 정확히 반영하기 위해 정관을 변경했다고 설명했다.

KT&G는 "통합집중투표를 통해 대표이사를 선임할 경우 득표순으로 선임된다"며 "이때 50% 이상의 찬성을 얻지 못한 사장이 선임될 경우 사장 후보에 대한 전체 주주의 찬반 의사를 정확히 반영하지 못하고, 향후 경영안전성을 저해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이 때문에 국내외 유력 기관투자자와 주요 주주들은 통합집중투표를 통해 대표이사를 선임했던 지난해 당사 주총에 대해 우려를 전달해왔다"며 "이에 1주 1의결권 원칙에 따라 전체 주주의 찬반 여부를 정확히 반영하고자 정관을 개정했다"고 설명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kms@newsis.com

많이 본 기사

많이 본 기사